홍명보 울산 현대 감독이 ‘조기 우승’을 확정할 수 있는 경기를 앞두고 선수들에게 전한 메시지가 공개됐다. 홍 감독은 “해왔던 대로 주도권을 잡아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에 맞선 최원권 대구FC 감독은 “우리 선수들이 악당 기질을 발휘하길 기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울산과 대구는 29일 오후 2시 울산문수축구경기장에서 열리는 하나원큐 K리그1 2023 35라운드에서 격돌한다.
이날 경기의 관전 요소는 바로 울산의 ‘조기 우승’ 시나리오다. 시즌 내내 울산을 추격한 포항이 전날 전북과 비기면서 최대 승점이 69로 한정됐다. 즉, 울산(20승7무7패·승점 67)이 이날 대구를 상대로 승리한다면 잔여 일정과 상관없이 조기 우승을 차지할 수 있다는 의미다.
지난 2019년부터 3시즌 연속 준우승의 아픔을 맛본 울산은 2022시즌 마침내 왼쪽 가슴에 3번째 별을 추가했다. 무려 17년이라는 세월을 극복하고 거둔 극적인 3번째 우승이었다. 그리고 이날, 구단 역사상 최초의 2연패에 도전할 무대가 갖춰졌다. 무엇보다 홈에서 축포를 터뜨릴 수 있을지가 관전 요소다. 지난 시즌에는 37라운드 강원FC와의 경기에서 우승을 확정했는데, 당시에는 원정경기였다.
홍명보 울산 감독은 경기 전 취재진과 마주한 자리에서 “이목이 집중되는 경기지만, 제 상태는 평소와 같다”라고 덤덤히 말했다.
홍명보 감독은 이날 경기 운영에 대해선 “해왔던 대로 주도권을 잡아야 한다. 우리가 주도권을 잡는다면, 상대의 라인을 파괴할 것이고 선수들이 잘할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울산은 지난해와 달리, 일찌감치 조기 우승 기회를 잡았다. 당시에는 37라운드에서 극적인 승리를 거두며 우승을 확정했는데, 올해는 35라운드 만에 기회를 잡았다. 홍명보 감독은 “분명 지난해와 다른 조건, 환경이다”면서도 “사실 막바지 우리가 완벽하지 못한 느낌이었는데, 선수들에겐 ‘이런 기회를 잡을 수 있게 만들어 준 모든 사람에게 감사하라’라는 마음으로 경기에 나오라고 주문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날 선발 기용에 대해선 “우선 마틴 아담이 휴식도 취했고, 직접 경기에 뛰진 못했지만 컨디션이 좋았다. 코치진과 상의 끝에 마틴 아담이 먼저 나서기로 결정했다. 중원에 이청용-김성민은 공·수에서 역할을 나눠 임무를 수행해 줄 것이다. 체력적으로 문제는 없을 것이다”라고 기대했다.
최원권 대구FC 감독. 사진=프로축구연맹 이에 맞선 최원권 대구 감독은 “우리 선수들이 악당 기질이 있다. 잔칫집에 재 뿌리는 걸 좋아하는 선수들이라 기대가 된다”라고 말했다.
대구는 울산 원정에서 유독 고전했다. 최근 11경기서 3무 8패로 크게 밀린다. 최원권 감독 역시 이런 전적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 이기려면 실점하지 않아야 하는데, 최근 실점이 많긴 하다. 실점하지 않기 위해 준비했다. 역습 훈련도 마찬가지다”라고 설명했다.
눈길을 끄는 건 이근호의 선발이다. 이근호는 올 시즌을 끝으로 축구화를 벗기로 결정했다. 최원권 감독은 이근호의 기용에 대해 “은퇴 시즌이라 출전시킨 것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은 뒤 “컨디션이 굉장히 좋고, 어떤 선수들보다 간절함이 있다. 또 울산 원정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줬다. 과거 울산 유니폼을 입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근호의 발끝에서 분명 무언가 일어날 것이라고 기대했기 때문에 선발로 내세웠다”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취재진이 ‘선수들에게 어떤 지시 사항을 전했는지’라고 묻자 최원권 감독은 “사실 동기 부여하기 쉽지 않았다. 파이널 A 첫 경기인 전북 현대전에서 이겼다면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ACL) 출전권 경쟁에서 유리한 시나리오가 있을 수 있었는데, 일단은 어려워졌다”라고 돌아봤다. 하지만 최 감독은 “그래도 선수단 분위기가 좋다. 무엇보다 선수들이 조금 악당 기질을 갖고 있다. 잔칫집에 재 뿌리는 걸 좋아한다. 대구팬들도 매진으로 우리에게 힘을 실어주셨다. 그런 부분 덕분에 동기부여가 되고, 선수들의 활약을 기대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홍명보 감독은 먼저 4-2-3-1 전형을 내세웠다. 마틴 아담이 최전방에 배치됐고, 2선에 바코·강윤구·엄원상이 나섰다. 중원은 김성준·이청용이 맡았다. 백4는 이명재·김영권·김기희·설영우고, 골키퍼 장갑은 조현우가 꼈다.
이에 맞선 최원권 대구 감독은 3-4-3 전형을 꺼냈다. 바셀루스·이근호·고재현이 전방에 배치됐다. 중원은 벨톨라·이진용이며, 측면에는 케이타와 황재원이 나섰다. 백3는 김강산·홍정운·김진혁이었고, 골문은 오승훈이 책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