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이 9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한 프레스 콘퍼런스에서 AI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은 9일 "삼성전자는 기술을 넘어 산업계 전반을 재구성하고 삶을 보다 편리하게 하는 인공지능(AI)을 구현하고자 10년 넘게 투자해왔다"며 "앞으로도 누구나 쉽고 안전하게 일상에서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24' 개막에 앞서 '모두를 위한 AI: 일상 속 똑똑한 초연결 경험'을 주제로 프레스 콘퍼런스를 개최했다. 글로벌 미디어와 파트너 1200여 명이 참석했다.
삼성전자는 AI 기능을 탑재한 TV·가전·모바일 제품으로 최고의 고객 경험과 가치 창출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먼저 'AI 스크린 시대'를 열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삼성전자는 2024년형 '네오 QLED 8K'에 전년 대비 8배 늘어난 512개의 신경망을 보유하고 2배 빨라진 NPU(신경망처리장치)를 적용한 AI 프로세서 'NQ8 AI 3세대'를 채택했다고 소개했다.
강력해진 AI 프로세서와 타이젠 OS(운영체제)로 콘텐츠와 서비스를 개인 맞춤형으로 추천하고, 다양한 기기와 더욱 매끄럽게 연결한다.
또 '8K AI 업스케일링 프로'와 '액티브 보이스 앰플리파이어 프로' 기술로 화질과 음질을 한층 개선한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
삼성전자는 AI로 연결성을 강화한 생활가전 신제품도 선보였다.
냉장고 전면부에 32형 와이드 스크린을 탑재한 2024년형 '비스포크 냉장고 패밀리허브 플러스'는 'AI 비전 인사이드'를 적용해 식재료를 넣거나 뺄 때마다 카메라가 인식하고 보관된 푸드 리스트를 자동으로 만들어준다.
인덕션 신제품 '애니플레이스'는 모바일이나 패밀리허브에서 전송한 요리 가이드를 7형 LCD 스크린으로 보며 쉽게 요리할 수 있다.
세탁물을 건조기로 옮길 필요 없이 한 대로 세탁물의 무게와 옷감 재질, 오염도에 따라 최적의 세제 투입과 맞춤 세탁∙건조하는 'AI 맞춤' 코스를 넣은 '비스포크 AI 콤보' 등도 공개했다.
삼성전자 자회사 하만은 차별화 전장(자동차 전기·전자 장치) 서비스를 선보였다.
AI와 카메라, 딥러닝 기술을 바탕으로 운전자의 얼굴과 생체 신호를 인식하고, 운전자의 행동과 패턴을 학습해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돕는 '레디 케어' 솔루션을 소개했다.
증강현실 기반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제품인 '레디 비전'도 공개했다. 레디 비전은 자동차 전면 유리에 내비게이션, 위험 정보 등의 운전 정보를 적시에 직관적으로 표시해 안전한 운전 경험을 보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