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축구협회(KFA) 신임 전력강화위원장에 정해성(66) KFA 대회위원장이 선임됐다.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 경질과 함께 물러난 마이클 뮐러의 후임이다. “축구대표팀의 재정비가 필요한 때”라며 고개를 숙이고도, 정몽규 KFA 회장은 보란 듯이 전력강화위원장 자리를 내부 사람으로 채웠다. 쇄신 의지가 없음을 드러낸 인선이다.
그 망신을 당하고도 변하는 게 없다. 지난 클린스만 사태의 핵심은 실력 없는 감독의 사실상 ‘낙하산 인사’가 원인이었다. 전력강화위원회가 클린스만 선임 과정에서 유명무실했다는 건 익히 알려진 사실. 당시 위원들조차 클린스만 감독 선임 30분 전 일방적으로 통보를 받았고, 클린스만 체제 이후 회의조차 없었을 정도다.
“파울루 벤투 전 감독과 똑같은 프로세스로 선임했다”는 정 회장의 해명을 믿는 이들은 없다. 오히려 카타르 월드컵부터 정 회장과 교감이 있었다는 클린스만의 인터뷰가 조명을 받으면서 거짓 해명 의혹마저 불거졌다. 클린스만과 독일 슈피겔의 인터뷰에 따르면, 정 회장은 클린스만과 따로 만나고 먼저 연락까지 할 만큼 적극적이었다. 유명무실했던 전력강화위와 맞물려 클린스만 선임에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한 건 정 회장이었다는 데 이견이 있을 수 없다.
새로운 전력강화위가 어떻게 꾸려지느냐는 그래서 더 중요했다. 클린스만의 후임 감독을 선임하기 위한 첫 번째 과정이자, 클린스만 사태로 고개 숙였던 정몽규 회장과 KFA의 쇄신 의지가 처음 드러나는 인사였기 때문이다. 물론 전력강화위 권한이 크게 축소된 상황이긴 하더라도, 적어도 클린스만 사태가 반복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믿음을 보여줄 수 있는 인선이 필요했다.
정 회장과 KFA의 선택은 이미 연결고리가 굵은 ‘내부 인사’였다. 심판위원장을 거쳐 대회위원장을 맡고 있던 정해성 위원장을 택했다. 22년 전 한일 월드컵 등 대표팀 코치 경험 등이 있지만, 축구 현장에 있던 건 베트남 호치민 시티 감독 시절이던 2020년이 마지막. KFA는 정 위원장의 선임을 알리면서 이같은 이력만 소개했을 뿐 어떠한 배경으로 중책을 맡겼는지에 대해선 설명조차 하지 않았다.
결국 정해성 신임 위원장은 이제 10명의 새로운 위원들과 함께 전력강화위를 이끌어야 한다. 세계적인 축구 트렌드에 맞는 감독 후보군을 추리고, 후보들과 심층 면접을 거쳐 가장 적합한 감독을 찾아야 하는 막중한 임무를 맡았다. 새 전력강화위가 어떤 감독들을 후보로 추리느냐에 따라 한국축구의 미래도 달라진다. 그런 중책을, 오랫동안 KFA와 정몽규 회장 곁에 머물렀던 정해성 위원장이 맡았다.
과연 납득할 만한 명확한 절차와 기준을 세우고, 감독들의 역량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이 앞서는 건 당연한 수순이다. 오랫동안 축구계에 있었던 만큼 한국인 감독 등 후배들과 접점은 많겠지만, 외국인 감독 등 얼마나 시야를 넓혀 감독을 물색할지는 미지수다. 가뜩이나 새 전력강화위가 채 꾸려지기도 전에 KFA 내부에서 '국내 감독이 차기 대표팀 사령탑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흘러나온 터다. 정 위원장의 선임은 한국인 감독의 부임을 의미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지점이다.
무엇보다 클린스만 사태처럼 '낙하산 인사'가 또 시도될 경우, 과연 목소리를 낼 수 있을지도 불분명하다. 이미 지난해 정몽규 회장이 주도적으로 진행했던 승부조작 사범 등 축구인 사면 논란 당시에도 정해성 위원장은 반대 의견을 내지 못한 바 있다. 결국 새 전력강화위 체제에서도 제2의 클린스만 사태, 망가진 감독 선임 프로세스는 반복될 수 있다. 클린스만 사태를 겪고도 그런 우려조차 지우지도 못한 이번 인사에, KFA의 쇄신 의지는 조금도 찾아볼 수 없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