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축구협회(KFA)가 황선홍 감독에게 A대표팀 임시 지휘봉을 맡겼다. 가뜩이나 파리 올림픽 최종예선 준비에 집중해야 할 시기에 또 다른 부담을 떠안긴 셈이다. 이로써 황 감독은 3월 2026 국제축구연맹(FIFA) 월드컵 예선에 이어 4월 올림픽 최종예선을 연이어 지휘한다. 본업인 올림픽 준비에 차질을 빚는 건 물론이고, 최악의 경우 한국축구에 심각한 위기가 찾아올 수도 있는 선택이다.
황선홍 감독의 선임 과정마저 고개를 갸웃하게 만든다. 정해성 위원장 체제의 새 국가대표 전력강화위원회는 출범 이후 세 차례 회의를 진행했다. 그러나 1차, 3차 회의는 결과적으로 아무런 의미가 없었다. 사실상 단 한 번의 회의로 황선홍 감독의 선임까지 이뤄진 셈이다.
지난 27일 정해성 전력강화위원장의 임시 감독 선임 경과보고에 따르면, 황선홍 감독은 24일 2차 회의 때 처음 후보에 올랐다. 첫 회의 때 K리그 현직 감독을 포함한 3월 정식 감독 선임으로 기준을 세웠다가 성난 여론과 마주한 뒤, 부랴부랴 임시 감독 체제로 방향을 튼 그날이었다.
전력강화위는 이 자리에서 황 감독을 포함한 3명의 최종후보를 결정했고, 우선순위 1순위가 황 감독이었다. KFA 소속인 데다 지난해 항저우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이끌었던 지도력, 아시아 축구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는 점 등에서 점수를 받았다. 결국 2차 회의 다음 날인 25일 황 감독에게 임시 감독직을 제안했고, 이튿날 황 감독의 수락으로 임시 감독 체제가 확정됐다. 24일 회의에서 첫 후보로 거론된 지 불과 이틀 만에 선임 절차까지 마무리된 것이다.
정 위원장의 설명에 따르면 결국 1차 회의 때 잡았던 기준은 없던 일이 됐고, 이 자리에선 후보 이름조차 거론되지 않았다. 3차 회의도 황 감독의 임시 감독직 수락 사실을 위원들에게 '통보'하는 자리였다. 결국 2차 회의가 열린 직후 주말 사이에 모든 결론이 난 셈이다. 더구나 제대로 된 절차를 거쳐 선임이 확정됐는지에 대한 비판 목소리마저 나온다. 추천만 할 뿐 선임 권한은 없는 전력강화위가 브리핑이 끝난 직후 이사회도 거치지 않고 '선임했다'는 결론을 낸 것도 같은 맥락이다.
황선홍 감독이 처한 상황, 황 감독이 떠안게 된 부담을 고려하면, 전력강화위 내부에서 심도 있는 논의조차 없이 황 감독을 선임했음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우선 황 감독이 이끄는 23세 이하(U-23) 올림픽 대표팀은 파리올림픽을 향한 준비가 한창이다. 그리고 오는 4월에는 올림픽 출전권이 걸린 최종예선을 치른다. 카타르에서 열리는 아시아축구연맹(AFC) U-23 아시안컵이다.
파리 올림픽에 가려면 이 대회 3위 이내에 들어야 하는데, ‘결코 쉽지 않다’는 게 축구계 공통된 시선이다. 당장 조별리그부터 일본과 아랍에미리트(UAE), 중국과 한 조에 속했다. 조 2위 안에 들어야 8강에 오를 수 있다. 8강에선 개최국 카타르와 호주, 요르단 등이 속한 A조 팀과 겨루고, 4강 이후 만나게 될 C조와 D조에도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라크, 우즈베키스탄 등 만만치 않은 팀들이 속해 있다. 2년 전 일본에 0-3으로 져 8강에서 탈락한 바 있던 그 대회다.
올림픽을 가기 위해선 그야말로 심혈을 기울여 올림픽 최종예선을 준비해야 하는 상황. 올림픽대표팀이 3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리는 중동 친선대회에 참가하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전술 완성도를 높이거나 선수 옥석 가리기 등 그야말로 최종예선 전 마지막 담금질을 해야 하는 아주 중요한 시기이기도 하다.
그런데 KFA가 황 감독을 A대표팀 임시 감독으로 선임하면서 올림픽대표팀의 모든 구상이 꼬였다. 3월 A매치 기간과 올림픽대표팀의 중동 친선대회 참가 기간이 겹치는 탓이다. 결국 황선홍 감독은 국내에 머무르며 A대표팀을 지휘해야 한다. 올림픽대표팀은 감독도 없이 다른 코치진 체제로 가장 중요한 마지막 담금질에 나서야 한다. 작은 변수조차 조심하고, 모든 걸 쏟아부어야 할 시기. KFA는 제대로 된 논의조차 이뤄졌는지에 대한 의심마저 드는 과정을 거쳐 황 감독에게 A대표팀 임시 감독직을 안긴 셈이다.
만약 파리 올림픽 출전이 무산되기라도 한다면, 그 후폭풍은 어마어마할 수밖에 없다. 황선홍 감독 스스로의 커리어에 치명상은 물론이고, 한국축구의 가장 큰 이벤트 중 하나인 올림픽에 나서지 못한다는 것만으로 여러 한국축구의 위기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올림픽을 바라보며 준비하던 선수들의 꿈도 순식간에 무너질 수 있다. 그 원인을 찾는 과정에서 KFA의 이번 결정도 무시할 수 없는 배경이 될 수 있다.
정해성 위원장은 “황 감독이 A대표팀을 임시로 맡아도 문제가 없는지 다각도로 논의했다”고 해명했지만, 선임 직후 축구계 전반에 걸쳐 우려와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는 건 그만큼 깊이 있는 논의가 이뤄지지 못했다는 뜻이다. “결과가 좋지 않으면 전적으로 책임지겠다”던 정 위원장의 발언은, 전력강화위가 권한도 없는 그저 조언 기구일 뿐이라는 점에서 의미도 없고 힘도 없다. 클린스만 사태를 겪은 만큼 한국축구의 정상화가 절실한 상황. 임시 감독 선임 과정부터 삐걱거리는 KFA와 전력강화위의 행보는 한국축구의 상황을 오히려 점점 더 꼬이게 만들고 있는 모양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