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드레드는 KBO리그 첫 2경기 등판에서 모두 투수판(pitcher's plate)의 가운데를 밟고 투구했다. 투구 시 지렛대 역할을 하는 투수판은 밟는 위치에 따라 투구 궤적 등이 달라진다. 보통 오른손 투수는 3루 쪽, 왼손 투수는 1루 쪽 투수판을 밟는다. 알드레드처럼 투수판의 가운데를 활용하는 선수가 없는 건 아니지만, 그의 투구 유형을 보면 다소 의외다.
팔 각도가 낮은 알드레드는 왼손 스리쿼터에 가깝다. 만약 1루 쪽 투수판을 밟고 던진다면, 왼손 타자 입장에선 흡사 등 뒤에서 공이 날아오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알드레드의 두 번째 등판(14일 수원 KT 위즈전)을 중계한 장성호 KBS N 스포츠 해설위원은 "1루 쪽을 밟고 던지는 게 알드레드 투구 폼에 최적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알드레드가 가운데 투수판을 밟는 이유는 뭘까. 그는 본지와 인터뷰에서 "등판마다 조금씩 (투수판 밟는 위치가) 다르다"는 전제하에 "투심 패스트볼(투심)을 던지려면 1루보다 가운데를 밟을 때 더 편하게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눈길을 끄는 대목은 '투심'이라는 구종이다. 왼손 투수가 던지는 투심은 왼손 타자 기준 몸쪽, 오른손 타자 기준 바깥쪽으로 향한다. 1루 쪽이 아닌 가운데 투수판을 밟고 던지면 왼손 타자 몸쪽을 좀 더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다는 판단. 오른손 타자 상대로는 몸쪽에서 바깥쪽으로 흘러 나가는 궤적을 기대할 수 있다.
야구통계전문업체 스포츠투아이에 따르면, 올 시즌 알드레드의 투심 비율은 24.4%. 포심 패스트볼(직구·35.4%)을 더하면 패스트볼 계열이 전체 투구의 절반 이상이다. 윤희상 KBS N 스포츠 해설위원은 "왼손 투수는 오른손 타자를 많이 상대한다. 그러면 (투구) 기준이 오른손 타자의 바깥쪽일 수 있다"며 "알드레드처럼 패스트볼 계열이 50% 넘어가면 주 무기가 슬라이더(31.1%)라도 왼손 타자를 잡겠다고 굳이 1루 쪽 투수판을 밟을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스리쿼터에 가까운 투구폼은 그 자체만으로 왼손 타자에 까다롭다. 1루 쪽 투수판까지 밟아 강점을 극대화하는 것보다 투수판 가운데를 활용해 약점을 보완하는 게 나을 수 있다.
정재훈 KIA 투수 코치는 "알드레드가 미국에서 (투수판의) 이쪽(1루)도 저쪽(가운데)도 다 해보지 않았을까 싶다. 결과적으로 왼손 타자 상대로 스위퍼(슬라이더)만 계속 쓸 게 아니라 투심도 던져야 하니까 그런 걸 고려한 결과물이지 않을까 한다"며 "1루를 밟고 던지면 스위퍼가 좋아지겠지만, 투심을 던지는 게 불편해지니까 중앙을 밟는 거 같다"고 말했다.
투수판의 위치만큼 중요한 건 투구 밸런스다. 오른손 투수인 윤희상 해설위원은 선수 시절 3루 쪽 투수판을 밟고 투구했다. 그는 "(알드레드 같은 유형의 투수는) 1루 쪽 투수판을 밟으면 손(릴리스 포인트)이 더 안 보이지만 팔을 끄집어내서 스트라이크존에 넣어야 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오른 어깨가 더 빨리 열려 밸런스 측면에서 안 좋을 수 있다"며 "자기 밸런스에 맞는 투수판을 밟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