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금융감독원장과 은행장들의 간담회 모습. 연합뉴스 금융당국이 금융권 내부통제 강화 대책을 연달아 발표했지만 횡령 사고는 올해 매달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이달(14일 기준)까지 발생한 횡령액은 총 1804억2740만원으로 집계됐다. 금융감독원이 2022년 11월 내부통제 혁신 방안을 발표한 이후 내부통제 강화를 집중적으로 주문해왔음에도 크고 작은 횡령 사고들이 줄 잇고 있다.
올해 가장 많은 횡령 사고가 일어난 곳은 하나은행, 횡령액 규모가 가장 큰 곳은 우리은행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서도 1월에 2건(신한저축은행 500만원·수출입은행 1200만원), 2월 1건(예가람저축은행 3160만원), 3월 1건(AIA생명 2400만원), 4월 3건(하나은행 6억원·농협은행 330만원·하나은행 40만원), 5월 2건(신한은행 3220만원·코리안리 6억7500만원), 6월 2건(하나은행·농협은행 1500만원) 등 매달 횡령 사고가 보고되고 있다.
하나은행은 올해 3건의 횡령 사고가 발생해 최다를 기록했다. 우리은행의 100억원대 규모의 횡령 사건은 아직 수사 중인 상황이라 이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 사건이 포함된다면 우리은행의 횡령액이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은행은 사고 직원이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 등 혐의로 구속된 상태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횡령 규모는 은행이 1533억2800만원(85.0%·115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저축은행 164억5730만원(9.1%·11명), 증권 60억6100만원(3.4%·12명), 보험 43억2000만원(2.4%·39명), 카드 2억6100만원(2명)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