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인터뷰를 최근에 본 적이 없습니다. 오랫동안 억눌린 감정이 느껴지는 말이었습니다. LG 트윈스의 4년 차 투수 김영준(25) 선수 코멘트입니다. “죽고 싶을 정도였다. 프로 선수는 1군에서 뛰지 않으면 비전이 없다고 생각한다. 매일 고통스러웠다.”
6월 16일 롯데 자이언츠전은 김 선수에게 1년여 만의 1군 복귀 무대였습니다. 경기 후반에 등판, 연장전까지 3이닝을 던진 김 선수는 역전승의 발판을 놓아 시즌 첫 승도 따냅니다. 앞에 인용한 선수의 말은 다음 날 인터뷰에서 나왔습니다. 많은 기자분 앞에서 솔직하게 감정을 드러내기가 쉽지 않았을 텐데 말이죠. 그런 표현까지 꺼냈다는 것이 놀랍습니다. 지금은 어떤 상태인지, 힘든 시기에 어떻게 마음을 정리했는지, 비전이란 무슨 의미는 무엇일까 더 궁금해졌습니다.
혹시 어떤 신호를 보내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가까운 사람의 어떤 말과 행동이 지나서 보면 ‘알아 달라는 사인이었구나’라고 느낄 때가 있습니다. 무턱대고 내뱉은 자신의 혼잣말에서 여러분은 그런 걸 느낀 적 없으신가요. 유난 떨지는 말고 조용히 살펴보긴 해야 합니다. 관심입니다. 자신이 아는 답을 주기보다는 듣고 공감해 주면 더 좋을 겁니다. 그건 우리 자신에게도 마찬가지입니다.
에너지 넘치는 어느 코치는 공황 장애를 앓고 있습니다. 수면 장애를 호소하는 사람도 제법 있습니다. 육체적으로 건강하고, 화려해 보이는 스포츠 세계의 사람들은 강인함을 요구받기에 정작 마음의 위기 신호는 꼭꼭 숨겨 놓습니다. 그라운드에선 강인한 승부사였다가 집에 돌아오면 온순한 양이 되길 원하고 또한 요구받습니다. 그러나 조명 스위치처럼 그렇게 집중력과 에너지, 감정을 자유자재로 껐다 켰다 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패배의 고통, 실수의 아픔은 더욱 쓰려서 계속 리플레이를 돌려 보다가 새벽을 맞습니다.
제게 문의하거나 알려오는 정도라면 그래도 전문가 상담을 받거나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경우입니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발표된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우울증으로 치료받은 사람이 2022년 처음으로 100만명(100만 744명)을 넘었습니다. 인구 100명 중 2명입니다. 어떻게 봐야 할까요. 평소 ‘스트레스일 뿐이야’ ‘괜찮다’며 자신하다가 정작 막막하다 싶을 때 무엇을 할지 모르는 사람이 여전히 많습니다. 선수도, 코치도, 감독도, 프런트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럴 때 두려워하거나 눈치 보지 않고 멈출 수 있는 환경과 장치가 우리도 필요합니다.
메이저리그(MLB)에는 마음건강 이슈로 부상자 명단(injured list)에 오르는 제도가 마련돼 있습니다. 올스타에 뽑히거나 신인왕을 받은 경우처럼 수준급 선수도 숨기지 않고 자신의 상태를 공개하고 처치를 받습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5월 MLB에서는 ‘마음 건강 인식의 달(Mental Health Awareness Month)’ 캠페인을 크게 진행하기도 했죠. MLB 사무국과 선수노조의 노사협약(CBA) 13조(안전과 건강) J항에는 ‘각 구단은 선수에게 마음건강 전문가의 도움을 제공해야 한다. 선수들은 스스로 선택할 수 있고, 개별 공간에서 비밀을 보장받는다’는 내용이 들어 있습니다.
이제 7월입니다. 23년 전 7월, 당시 롯데 야구 사령탑 김명성 감독님이 세상을 떴습니다. 극도의 스트레스로 인한 심근경색이 원인입니다. 최하위로 떨어진 팀 성적, 올스타전에 앞서 불거진 감독 교체설에 낙심하던 그분 얼굴이 기억납니다. 야구기자였던 저는 분위기를 바꾼다고 그분이 좋아하던 음악 이야기를 꺼내곤 했습니다. 서울대 음대 작곡과 백병동 교수와 교류하며 클래식 음악에도 조예가 깊던 그는 "힘들면 콜니드라이를 듣는다"라고 말했습니다. 그에 대한 제 마지막 기억입니다. 어떤 메시지였을까 저는 가끔 생각해 보곤 합니다.
독일 낭만파 작곡가 막스 브루흐의 첼로와 관현악을 위한 그 곡은 비감미가 가득합니다. 낮고 느린 음, 쓸쓸하고 슬프고 간절한 선율 속에 감독님은 무엇을 흘려 보내고 싶었을까요.
한국코치협회 인증코치 김종문 coachjmoon 지메일
김종문은 중앙일보 기자 출신으로, 2011~2021년 NC 다이노스 야구단 프런트로 활동했다. 2018년 말 '꼴찌'팀 단장을 맡아 2년 뒤 창단 첫 우승팀으로 이끌었다. 현재 한국코치협회 인증코치(KPC)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