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 스트레이 키즈와 BTS 지민이 ‘빌보드 200’에서 1·2위를 차지했다. K팝 앨범이 ‘빌보드 200’에서 나란히 정상 두 자리를 꿰찬 건 처음인 만큼 이들이 보여준 성과에 대해 이목이 쏠리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특정 K팝 아이돌만의 반복되는 빌보드 진입이 K팝 업계의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29일(한국시간) 빌보드 차트 예고 기사에 따르면 스트레이 키즈(이하 스키즈)는 지난 19일 발매한 미니 9집 ‘에이트’가 23만 2000장 상당의 판매량을 기록하며 8월 3일 자 ‘빌보드 200’ 1위를 기록했다.
이 차트에서 스키즈는 지난 2022년 ‘오디너리’부터 ‘맥시던트’, ‘파이브스타’, ‘락스타’에 이어 통산 다섯 번째 1위에 올랐다. 특히 ‘에이트’는 대부분 한국어로 돼 있음에도 이 같은 성적을 기록해 북미 시장에서 스키즈의 영향력이 얼마나 커졌는지를 확인시켰다.
소속사 JYP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스트레이 키즈는 K팝 보이그룹 특유의 강렬한 사운드를 기반으로 세련되고 트렌디한 장르적 요소들을 적절히 믹스해 냈고 또 다수의 현지 시상식, 페스티벌을 통해 선보인 역동적인 안무와 폭발적인 무대 장악력이 지속적으로 현지 팬덤을 크게 증대시켜 왔다”고 스트레이 키즈의 미국 인기 요인을 분석했다.
방탄소년단 지민은 솔로로 ‘빌보드 200’에 진입했다. 그가 최근 발매한 솔로 2집 ‘뮤즈’는 9만 6000장에 해당하는 앨범 유닛으로 2위에 올랐다. 지민 입장에서는 지난해 발매한 솔로 1집 ‘페이스’에 이어 통산 두 번째 ‘빌보드 200’ 진입이다. 특히 지민이 군 복무 중 낸 성적이라 더욱 뜻깊다.
빌보드는 “K팝 앨범이 ‘빌보드 200’에서 1·2위를 차지한 것은 처음”이라며 스키즈와 지민의 ‘빌보드 200’ 진입을 집중 조명했다.
미국에서 K팝은 이제 마니아 등 특정 팬덤이 좋아하는 음악이 아닌, 하나의 장르로 받아들여진다. 음악시장 조사업체 루미네이트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가장 많이 스트리밍된 상위 1만 곡의 언어를 분석한 결과 한국어 노래가 스페인어 노래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소비된 비영어 음악으로 조사됐다.
또한 K팝은 미국에서 공개 즉시 빠르고 집중적으로 음악재생(70~80%)이 이뤄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컨트리·라틴 등 다른 장르보다 K팝 팬덤의 충성도와 응집력이 높다는 걸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다.
하재근 문화 평론가는 “미국에서 아이돌 음악에 대한 욕구가 늘 있었는데 방탄소년단이 그 빈자리를 시기적절하게 채워줬다. 뿐만 아니라 다른 K팝 아이돌 역시 트랜디한 음악에 화려한 퍼포먼스까지 말 그대로 아이돌 문화의 정석을 잘 보여준다”면서 “K팝은 데뷔 때부터 혹독하고 체계적인 아이돌 트레이닝 문화가 잘 발달 되어 있고, 이 시스템 자체가 미국에서 신선하게 보여지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K팝이란 장르의 빌보드 메인 차트 상위권 진입이 특정 아이돌의 음악에만 국한되는 것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귀담아 들어야 한다.
정덕현 대중문화 평론가는 “이제 K팝 아이돌이 미국 빌보드 차트에 진입했다는 일은 크게 놀랍지 않다. 다만 유명한 아이돌 위주로 빌보드 진입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신인이나 새로운 인물이 별로 눈에 띄지 않는 것은 K팝 글로벌 공략의 한계점을 드러내는 것 같아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인기 아이돌들이 해체된다면 글로벌 시장에서 K팝의 미래를 찾기 어려워질 수 있다. 또 K팝에는 밴드부터 발라드 등 다양한 장르가 포진돼 있는데 ‘아이돌 음악’만이 미국에서 주목받는 것도 아쉽다”고 덧붙였다.
K팝의 강점으로 꼽혀왔던 ‘메시지’의 약화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 한국 아이돌의 북미권 시장 진출이 본격화하면서 영어 가사 비중이 나날이 높아지고 한국어 가사 비중은 낮아지고 있다. 방탄소년단 정국은 첫 솔로 앨범 ‘골든’에 수록된 11곡을 모두 영어로 불렀고, 미국 빌보드 차트에 12주 연속 랭크된 르세라핌 ‘퍼펙트 나이트’ 역시 한국어 가사가 없다.
한국어 가사는 외국 청취자들이 바로 알아듣기는 어렵지만, 곡에 담긴 성장과 치유의 메시지는 K팝만의 고유한 매력이었다. 미국 음악 시장을 타깃으로 해 그 문화에 적합한 곡을 발매하는 것도 하나의 전략이겠지만, 그 속에서 ‘K팝’의 정체성을 잃지 않고 ‘K팝’을 알릴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