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이 넘치는 골퍼라도 한 라운드에 적어도 두어 홀은 있다. 레귤러 온을 시키기 버거운 홀이 말이다. 레귤러 온(Regular On)이란 퍼팅을 두 번 해서 홀 아웃을 하면 파(Par)가 될 수 있는 타수로 퍼팅 그린에 공을 온 시키는 것을 말한다.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고? 파5에서 공을 세 번 스트로크 해서 퍼팅 그린에 올렸다면 레귤러 온을 한 셈이다. 파4라면 몇 번 만에 그린에 올려야 레귤러 온이겠는가? 떠먹여 주는 데도 못 맞히면 애독자 자격이 아슬아슬 하다. 그나저나 뱁새 김용준 프로도 레귤러 온을 시키기 어려운 홀이 있느냐고? 흠흠. 많았다. 골프를 처음 시작할 때는 말이다. 지금은 어떠냐고? 드물다. 어떻게 줄였냐고? 그 이야기는 이따 하기로 하자.
독자가 한 라운드에 레귤러 온을 시키기 어려운 홀이 여러 개라면? 점수를 까먹지 않기 위해 애를 먹을 것이다. 파4에서 드라이버를 시원하게 날렸다고 치자. 그런데도 까마득히 남았다면? 이어지는 세컨 샷 마저 우드나 하이브리드 같은 클럽을 잡을 수 밖에 없다.
긴 클럽을 힘껏 휘둘렀는데도 공이 그린에 미치지 못했다면? 좌절하기 딱 좋다. 숏 게임 기량이 출중한 골퍼라면 이런 상황에서도 꿋꿋하게 플레이를 할 수 있다. 그렇지 못한 골퍼라면? 암담하기 마련이다.
이런 골퍼를 위해 지혜로운 누군가가 만든 말이 있다. 바로 ‘자신만의 파를 정하라’는 말이다. 스트로크 두 번으로 도저히 올릴 수 없는 파4가 있다면? 파5로 여기라는 뜻이다. 스트로크를 세 번 하고도 올릴 수 없는 홀은? 당연히 파6로 치라는 말이고. 한 라운드에 이런 홀이 두 개 있다면? 그 코스는 파72가 아니라 파74로 생각하면 된다는 뜻이다. 그런 코스에서 84타를 쳤다면? 12 오버 파라고 생각하지 말고 10 오버 파라고 생각하면 된다는 말이기도 한다.
어떤가? 이 말을 들으니 답답한 마음이 풀리는가? ‘그렇다’고 고개를 끄덕였다면 여간 태평한 독자가 아니다. 현자가 한 조언을 따라 자신만의 파를 정하고 느긋하게 골프를 즐기면 된다. 그런데 승부근성이 조금이라도 있는 독자라면 여전히 찜찜할 것이다. “나 혼자 파72를 파74라고 생각한다고 그게 파74가 되느냐”고 되물을 것이 틀림 없다. 경쟁하는 다른 플레이어가 세운 기준이 자신과 같지 않다면? 매번 자신과 기량이 비슷한 골퍼와 라운드를 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결국 ‘파는 파일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절감하기 십상이다.
애독자가 편지를 보냈다. ‘자신은 기량이 제자리에 머무는데 주변 사람은 눈에 띄게 발전하는 경우가 많아 당혹스럽다’는 고민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현재에 만족하고 즐기면서 라운드를 해야 하느냐’고 물었다. 그는 여성 시니어 골퍼이다. 파워를 키우려고 무리하다가는 다치기 딱 좋은 상황이라는 것도 이미 알고 있는 듯 보였다. 바로 그가 던진 질문에 답하기 위해 한 동안 고민한 것이 이번 칼럼이다.
뱁새 김 프로에게 주저하다 편지를 보낸 그 독자도 이미 절반쯤은 답을 알고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자신이 만족하려고 해도 골프가 내버려두지 않는다는 사실을 말이다. 자신이 아직은 골프가 정한 기준을 맞추기 위해 힘을 쓸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그리고 그 그 기준은 ‘파’라는 것을. 그가 더 이상 승부를 다투는 것이 무의미한 나이가 되기까지는 말이다.
뱁새는 골프가 정한 기준 즉, 파에 최대한 가까이 가기 위해 그가 할 수 있는 것을 최대한 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무엇인지는 너무나 분명하다. 그 중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은 파워이다. 파워를 늘릴 수는 없더라도 줄어들게 놓아두어서는 절대 안 된다.
시니어 골퍼가 어떤 운동을 해야 하는 지에 대한 조언은 뱁새가 아니어도 많이 했다. 그 다음은 퍼팅이다. 골프 채널이 중계한 아마추어 대회에서 입이 떡 벌어질 만큼 퍼팅을 잘 하는 여성 시니어 골퍼를 본 적이 있다. 퍼팅을 잘 하는 비결을 묻자 그가 한 대답은 너무나 간단했다. “하루에 이천 개씩 퍼팅을 연습한다”라고 그는 답했다. 또 숏 게임에도 시간과 노력을 쏟아야 한다. 파워와 상관 없이 숏 게임으로 점수를 지킬 수 있다는 것은 말하나 마나이다. 이것은 파워 자랑이나 하다가 내년 한국프로골프협회(KPGA) 시니어 투어 시드전 파이널에서 쓴 잔을 마신 뱁새 스스로에게도 하는 다짐이기도 하다.
어느 정도 시간과 땀을 투자해야 하느냐고? 여기에 대해서는 뱁새도 정답을 내놓을 수가 없다. 골퍼마다 운동감각 등이 다 다르기 때문이다. 몇 달 만에도 눈이 휘둥그래질 만큼 달라지는 골퍼도 있다. 안간힘을 쓰는데도 더딘 골퍼도 있고. 그래도 한가지는 분명하다. 발전하기 어렵다고 멈추면 퇴보한다는 사실 말이다. 다른 독자는 뱁새에게 편지를 한 독자와 조금 처지가 다를 수도 있다. 그에 맞춰서 새겨 들으면 틀림 없이 내년에는 다른 모습을 보일 수 있을 것이다.
‘뱁새’ 김용준 프로와 골프에 관해서 뭐든 나누고 싶은 얘기가 있다면 메일을 보내기 바란다. 지메일 ironsmithkim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