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륜은 그야말로 찰나의 순간에 승부가 갈리는 경기다. 2000분의 1초로 순위가 결정되는 경기가 있을 정도다. 그래서 선수들은 조금이라도 더 빠른 기록을 위해 고민한다. 자전거 차체(프레임)와 타이어 선택을 고심하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경륜 선수들은 자전거 부품 중에서도 특히 자전거 차체에 대해 굉장히 예민할 수밖에 없다. 지난 2022년까지는 극히 일부 선수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선수가 한 곳의 업체에서 제작된 자전거 차체를 사용했다. 그러나 2023년 두 업체가 새로 등장하면서 선택지가 넓어졌다. 체형이나 지구력형·순발형·복합형 등 각질, 선호 전법 등에 따라 자전거 차체를 다르게 선택하기 시작했다.
순발력이 필요한 추입 또는 젖히기를 잘하는 선수들이나, 힘보다는 회전력을 중시하는 선수들은 가벼운 자전거 차체로 바꾸는 추세다. 임채빈(25기·SS·수성)이나 전원규(23기·SS·동서울) 양승원(22기·SS·청주) 신은섭(18기·S1·동서울) 등이 대표적이다. 전원규의 경우 자전거 차체를 변경한 게 슈퍼특선으로 올라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자평할 정도다.
반대로 무겁고 단단한 소재로 만들어진 자전거 차체를 선호하는 선수들도 있다. 순간적으로 속도를 올리는 건 가벼운 자전거 차체보다 어렵지만, 한번 올라간 속도를 유지하는 데 큰 장점이 있다. 정종진(20기·SS·김포)을 비롯해 박용범(18기·S1·김해B), 김우겸(27기·S1·김포) 등이 무거운 차체를 선호하는 선수들이다.
차체뿐만 아니라 타이어 소재도 중요하다. 지난해 말부터 라텍스 소재의 타이어를 사용하는 선수들의 비중이 늘어난 게 특징이다. 타이어의 경우 각질 또는 전법에 따라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유형의 선수들이 있다. 선행 전법(마지막 바퀴 1코너를 넘어서기 전부터 선두에서 경주를 주도하는 전법) 또는 젖히기 전법(마지막 바퀴 1~3코너 구간에서 앞 선수 또는 선두 선수들을 넘어서는 전법)을 주로 쓰는 선수들에게 훨씬 더 효과가 있다.
결국 중요한 건 선수 특성에 잘 맞는 자전거 차체를 찾고, 여기에 각질과 맥을 같이하는 타이어까지 절묘한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정종진은 이 두 조화를 잘 찾은 대표적인 선수로 꼽힌다. 절정의 기세를 과시하고 있는 김우겸 역시도 바뀐 차체와 타이어가 잘 맞는 대표적인 선수다.
선수들 개개인의 특성은 물론 자전거 차체, 타이어의 조화 등을 파악하는 건 적중률에 높이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됐다. 박창현 최강경륜 발행인은 “경륜 선수의 장비가 다양화하면서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은 물론, 전체적으로 경주의 질 자체가 높아졌다”며 “앞으로 경륜 선수를 위한 다양한 장비가 추가돼 더욱 박진감 넘치고 짜릿한 경주가 펼쳐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