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트먼 CEO는 4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미디어데이에서 "에너지, 인터넷, 반도체 등 경쟁력을 보면 한국은 강력한 AI(인공지능)를 채택할 수 있는 국가"라며 "우리에게도 좋은 나라"라고 말했다.
대담에 앞서 무대에 올라 인사하는 과정에서 정신아 카카오 대표와 포옹을 하거나 악수하는 등 친근한 모습을 연출하기도 했다. 전날 오픈AI와의 파트너십 발표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카카오 주가가 약 9% 뛰기도 했다.
예상했던 대로 카카오는 오픈AI와의 파트너십을 공식화했다. 재무적 투자가 아닌 공동 개발 차원에서 일단 손을 잡았다.
올트먼 CEO는 최근 발표한 두 번째 AI 에이전트 '딥 리서치'를 두고 "챗GPT는 대화는 할 수는 있지만 일을 대신하지는 못했다"며 "딥 리서치는 몇 시간 또는 수일이 걸리는 작업을 몇 분 안에 AI가 처리한다는 아이디어에 기반을 두고 있어 올해 프로젝트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말했다.
올트먼 CEO와 정신아 대표는 구체적인 협업 방향을 공유하지는 않았다. 지난해 9월부터 논의를 시작해 현재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영역을 발굴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정 대표는 "카카오톡 내 구현되는 AI 에이전트는 카카오만의 자산이 될 것"이라며 "다양한 AI 서비스를 출시해 올해 한국에 제대로 된 AI가 대중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메신저를 비롯해 지도, 모빌리티, 결제 등 서비스에도 오픈AI의 기술력을 녹일 방침이다.
올트먼 CEO는 특히 AI가 과학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삶의 질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다. 그는 "AI는 과학의 발견을 가속할 수 있다. 질병도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며 "AI가 교육에 사용되는 것도 좋은 사례 중 하나"라고 말했다.
양사는 카카오 서비스 안에서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AI 관련 니즈를 찾아 적용 방안을 점진적으로 구체화할 예정이다.
올트먼 CEO는 "장기적 관점에서 카카오를 항상 좋아했다. AI 비전을 공유하고 있다"며 "두 회사 모두 메시징에 관심이 많다. 탐구할 수 있는 부분이 풍부해 할 수 있는 일이 많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