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 바로 거기였어 잠시 머물던 거기가 제일 높은 곳이었어 / 더 올라가는 줄 알고 남은 힘을 쓰다가 느껴지는 건 / 나의 길은 나도 몰래 아래로 기울어진 내리막이란 걸”
첫소절부터 리스너들의 마음을 쿵 떨어뜨리는 노래다.
오르막길 뒤엔 필연적으로 내리막길이 따르는 법. 인생도 그리고 음악도 마찬가지다. 13년 전, 가수 정인의 목소리를 빌려 ‘오르막길’을 선보인 가수 겸 작곡가, 프로듀서 윤종신이 이번엔 직접 ‘내리막길’을 노래했다.
‘내리막길’은 2012년 5월 ‘월간 윤종신 6월호’로 공개된 ‘오르막길’의 후속작이자 답가 성격의 곡으로 지난달 31일 ‘2025 월간 윤종신 1월호’로 공개됐다. 어느덧 삶의 중반부를 지나 후반부로 향하는 이의 마음가짐을 담은 곡으로 1969년생, 50대 중반을 넘어선 중년 뮤지션의 ‘현재’의 마음이 담겼다.
“기억나니 올라갈 때 거친 숨을 버텨 줬던 우리 꿈은 이룬 걸까 / 이룬 줄도 모른 채로 오르기만 한건 아닐까 / 이제 남은 길이 보여 오르는 사람들이 더 부러운 건 / 굳게 서로 잡은 손”
뮤지션이자 엔터테이너로서 한 시대를 풍미한 그의 자전적 감정을 담았기 때문일까. ‘음유시인’ 윤종신이 미사여구 없이 담담하게 적어 내려간 가사는 유난히 더 큰 울림으로 다가온다.
“이제부터 웃음기 사라질 거야”라며 ‘오르막길’을 시작하다 언제인지도 모르게 더 오를 곳 없는 어느 지점을 밟고 반환점을 돌아 내려오는 화자는, “자 내려가자 터벅터벅 완만하고 길었으면 … 부디 가파르지 않았으면 결국은 도착하는 곳”이라며 넘어지지 않고 완만한, 잔잔한 마무리 여정을 기원한다.
멜로디나 분위기는 특유의 윤종신 발라드 그 자체다. 장장 6분 13초에 달하는 이 ‘내리막’ 여정에는 평균 3분으로 맞춰진 ‘요즘 K팝’에선 느낄 수 없는 ‘인생’ 이야기가 고스란히 담긴다. 한창 꿈을 찾아 달려나갈 2030 리스너들은 이해하기 어려운 감성이겠으나 그들의 부모 세대에 가까운 40대 후반이라면 충분히 공감할 만하다.
“자 도착하면 더 갈 곳이 없는 그곳에 닿으면 지쳐 누군가 먼저 잠이 든다면 귓가에 수고했다고 그대 함께여서 좋았다고 계속 사랑할게 저 끝까지”
곡은 마지막 순간까지 뭉클하면서도 깊은 여운을 남기며 마침표를 찍는다.
윤종신은 2010년부터 월간 윤종신 프로젝트로 꾸준히 음악으로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최근 MBC ‘라디오스타’에 출연한 그는 이 곡에 대해 “50대 중반을 지나는 동년배들에게 하고 싶은 말을 담았다”면서 “저는 이제 잘 내려가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앞을 내다볼 때의 마음가짐과 뒤를 돌아볼 때의 마음가짐은 완전히 다르다는 것을 실감하며 어떻게 황혼을 마무리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