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KIA 타이거즈 제공 '디펜딩 챔피언' KIA 타이거즈의 2025시즌 출발이 부진하다. 지난달 26일 키움 히어로즈전부터 29일 한화 이글스전까지 4를 내리 패했다가 30일 한화전 승리로 연패를 끊었다. 압도적 우승 후보로 꼽혔던 KIA엔 다소 예상 밖 성적표다.
가장 큰 문제는 뒷문이다. 3월 KIA의 불펜 평균자책점(8.07)이 KBO리그 9위까지 추락했다. 통합 우승을 거둔 지난해엔 불펜 성적 평균자책점 3위(4.98)였다. 다만 지난해 5승 4패 16홀드 평균자책점 3.94를 기록한 장현식이 자유계약선수(FA)가 돼 LG 트윈스로 떠났다.
전력 이탈이 있었지만, KIA는 자신 있었다. 국가대표 마무리 조상우(31)를 영입해서다. KIA는 지난해 12월 키움에 2026년 신인 드래프트 1·4라운드 지명권과 현금 10억원을 내주고 조상우를 트레이드해왔다. 그는 통산 88세이브 54홀드를 기록한 키움의 간판 클로저였다.
유니폼을 바꿔 입고 올 시즌 5경기에 등판한 조상우의 성적은 1패 2홀드 평균자책점 2.45로 나쁘지 않다. 다만 구위가 전성기에 미치지 못한다. 올 시즌 그는 9이닝당 탈삼진 7.36개를 기록 중이다. 입단 2년 차인 2014년 이후 이 기록이 8개 아래로 떨어진 건 올해가 처음이다.
구위 저하 때문이다. 조상우는 지난달 25일 키움전에선 직구 최고 스피드 150㎞/h를 찍은 바 있다. 그러나 나머지 피칭은 그렇지 못했다. 29일 한화전 직구 구속은 최고 146㎞/h, 평균 143.7㎞/h에 그쳤다. 시즌별 직구 평균 스피드를 보면 2019년 152.2㎞/h, 2021년 147.5㎞/h를 기록했다. 그러나 2024년에 145.5㎞/h, 올해는 145.3㎞/h로 떨어졌다.
사진=KIA 타이거즈 제공 올해 한국야구위원회(KBO)는 공식 구속 측정 장비를 트랙맨으로 바꿨다. 다른 장비보다 트랙맨의 구속이 더 나오는 경향이 있다고 알려졌다. 이를 고려하면 현재 조상우의 구속은 지난해보다 1~2㎞/h 느려졌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범호 KIA 감독은 "기다려야 한다. 조상우의 구속은 올라올 것"이라며 "몸 상태가 안 좋은 게 전혀 아니다. 선수 본인도 (상황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지금은 기다려주는 게 맞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이 감독은 이어 "지금 다른 부분에서 팀이 많이 흔들리는 상태다. 그런데 선수들을 한 명 한 명을 흔들고, 자극한다면 팀이 산으로 갈 수 있다"고 경계했다.
조상우는 일단 경험으로 버텼다. 지난달 30일 한화전에선 1과 3분의 2이닝을 퍼펙트로 막고 홀드를 수확했다. 이날 직구 구속은 평균 144.8㎞/h에 불과했으나, 노련한 경기 운영으로 임무를 완수했다. 그는 "앞으로 남은 경기가 많다. 몸 관리를 잘하면서 구속과 구위를 더 끌어올리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