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른손 필승조 전상현(29·KIA 타이거즈)의 부진. 이범호 감독이 풀어야 할, 꼬인 실타래 중 하나다.
전상현은 올 시즌 첫 4번의 등판에서 평균자책점 15.00을 기록했다. 3이닝 5실점. 마무리 투수 정해영에 앞서 7~8회를 막아줘야 할 그가 흔들리니 KIA 불펜의 무게감이 이전만 못 하다. 7일 기준으로 불펜 평균자책점(7.62)이 리그 최하위, 역전패(6회)는 리그에서 가장 많다. 경기 중후반 점수 차가 뒤집히는 악순환을 반복하는데 전상현의 들쭉날쭉한 피칭도 한몫한다.
볼넷을 남발하다 제풀에 무너진다. 지난달 28일 대전 한화 이글스전 3분의 2이닝 1피안타 2볼넷 3실점, 지난 2일 광주 삼성 라이온즈전 3분의 1이닝 1피안타 2볼넷 3실점 하며 두 경기 연속 흔들렸다. 실점의 빌미를 제공한 건 볼넷이었다. 피안타율이 0.200으로 낮지만 이닝당 출루허용(WHIP)이 2.00으로 높은 것도 비슷한 이유. 9이닝당 볼넷이 12.00개에 이른다.
서스펜디드로 치러진 한국시리즈 1차전 삼성과 KIA의 경기가 23일 오후 광주 기아챔피언스필드에서 열렸다. KIA 투수 전상현이 6회 삼성 이재현을 투수땅볼 아웃시켜 이닝을 종료하고 들어오고 있다. 광주=정시종 기자 /2024.10.23.
스트라이크 비율이 54.1% 팀 평균인 61.1%보다 낮다. 이범호 감독은 "KIA에 있으면서 느끼는 게 상현이는 매년 한 2~3번 정도 페이스가 떨어지는 거 같다. 페이스가 좋았다가 안 좋았다 하고 (좋은) 구위에 비해 맞아 나가는 날도 있다"며 "너무 어려운 상황에 올라가 완벽하게 막아내는 것도 있는데 주자가 없는 상황에선 편해서 그런지 맞는 성향도 있다"라고 말했다.
전상현은 KIA 코칭스태프가 신뢰하는 계투 자원 중 하나다. 지난 시즌 한국시리즈 1차전이 서스펜디드(일시정지)로 치러질 때 재개된 경기의 6초 무사 1·2루 위기에서 마운드를 밟은 게 전상현이었다. 타자가 왼손 김영웅이라는 걸 고려해 여러 경우의 수가 가능했지만 "불펜 투수 중에서 구위가 가장 좋은 투수"라며 그를 소방수로 투입했다. 결과는 대성공. 6회를 무실점으로 막아낸 전상현의 호투(1과 3분의 2이닝 2탈삼진 무실점)에 힘입어 1차전을 승리한 KIA는 통합 우승의 기틀을 마련했다.
타이거즈 불펜의 중심을 잡아줘야 하는 오른손 투수 전상현. KIA 제공
공교롭게도 KIA는 곽도규(이하 평균자책점 12.00) 이준영(7.35) 정해영(6.75) 황동하(9.00) 등 대부분의 불펜이 초반 고전 중이다. 흔들리는 불펜의 중심을 잡으려면 전상현 같은 베테랑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범호 감독은 "밸런스가 좋을 때 있으면 안 좋을 때도 있다"며 "항상 여름쯤 힘이 떨어졌던 친구인데 초반에 안 좋으니 가면 갈수록 (초반 부진을 만회해야 하니) 좋게 만들려고 노력할 거다. 차츰차츰 좋아지지 않을까"라며 기대를 내비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