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에 마련된 SK텔레콤 로밍센터에서 출국자들이 유심 교체를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연합뉴스 SK텔레콤의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자가 2000만명에 근접했다.
4일 SK텔레콤 데일리 브리핑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유심보호서비스' 누적 가입자는 1991만명을 기록했다.
'유심보호서비스'는 동일한 유심 정보로 다른 기기에서 전화번호를 이용할 수 없도록 막는 기능이다. 유심(가입자식별모듈) 교체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하고 있다. 유심을 교체한 가입자는 96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SK텔레콤은 디지털 취약계층을 우선으로 지난 2일부터 로밍·정지 사례를 제외한 모든 고객에게 '유심보호서비스' 자동 가입을 진행하고 있다.
김희섭 SK텔레콤 PR센터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오늘이 지나면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자는 2000만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가입 비중이 전체의 90%를 향하고 있다.
재고가 부족한 유심 대신 디지털 다운로드 방식의 이심 교체 수요가 늘어난 것과 관련해 임봉호 SK텔레콤 MNO(이동통신) 사업부장은 "이심으로 고객이 직접 변경하다 보면 문제가 생겼을 때 바로 대응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유통망을 방문해 이심으로 교체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앞서 시민단체와 법무법인이 소송을 제기한 것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김희섭 센터장은 "지켜야 할 임무를 소홀히 했다든가 하는 질책이나 처벌은 당연히 감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날 KISA(한국인터넷진흥원)가 서버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악성코드가 추가로 발견된 것과 관련해선 "조사 중인 사안이라 답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