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오전 서울 종로구 한 카페에서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 시즌3’(이하 ‘오징어 게임3’)을 연출한 황동혁 감독의 인터뷰가 진행됐다.
이날 황동혁 감독은 “성기훈(이정재)이 죽으면서 한 사람의 여정을 통해서 하고 싶은 이야기는 다 전달했다. 그다음은 이제 없어졌다”며 속편 제작 가능성이 없음을 명확히 했다.
극 말미 ‘딱지 우먼’으로 등장한 케이트 블란쳇이 미국판 영화 제작을 시사하는 게 아니냐는 질문에는 “처음에는 성기훈이 살아서 미국에 가서 그걸 보는 걸 생각했다. 근데 성기훈이 죽음으로써 그런 (다음을) 의미가 있진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황 감독은 “한 사람의 노력으로 한국의 게임은 종료됐지만, 이 시스템은 공고하고 퍼져있는 것이라 그렇게 쉽게 끝나지 않는다는 생각으로 만든 장면”이라며 “내가 미국판을 만들거나 미국판으로 연결시켜 주려고 만든 장면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황 감독은 “(온라인상에 떠도는 설들은) 전혀 근거 없는 이야기”라고 선을 그으며 “우선 난 넷플릭스 측에서 공식적으로 전달받은 게 없다. 어디까지 사실인지 모르겠지만, 내가 미국판 감독을 하고 거기에 케이트 블란쳇이 나오는 건 근거가 없다”고 밝혔다.
다만 황 감독은 “내가 ‘헤븐’(2002) 때부터 케이트 블란쳇 팬이다. 그냥 내가 좋아해서 만들면 재밌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고 보고 싶기도 하다”며 “만약 미국판 영화가 만들어져서 내게 요청이 들어오면 진지하게 생각해 볼 의사는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황 감독은 또 스핀오프 제작 여부를 묻는 말에 “하고 싶은 메시지는 다 전달해서 뒤를 이어가는 건 의미가 없으니 한다면 다른 톤의 이야기가 될 것”이라며 “시즌1과 2 사이에 3년의 공백이 있다. 그 시간 박 선장(오달수), 딱지남(공유), 프론트맨(이병헌)의 시간을 이야기하면 재밌겠다는 생각은 했다”고 털어놨다.
황 감독은 “실제 시즌2 박 선장 집 사진을 보면 프론트맨과 찍은 것도 있다”면서 “구체적인 생각이 있는 건 아니다. 막연하다. 만약 스핀오프를 하게 되면 메시지 부담감은 내려놓고 팬들을 위해서 재밌는 이야기를 하면 좋겠다는 생각 정도다. 언제 기회가 되면 해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엿다.
한편 지난 27일 공개된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3’는 시리즈의 대단원을 마무리하는 작품으로, 자신만의 목적을 품고 다시 참가한 게임에서 가장 친한 친구를 잃은 성기훈과 정체를 숨긴 채 게임에 숨어들었던 프론트맨, 그리고 그 잔인한 게임 속에서 살아남은 참가자들의 마지막 운명을 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