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리스마형' 지도자 대명사인 김태형 롯데 자이언츠 감독은 올 시즌 이전과는 다른 성향의 공식 멘트를 자주 한다. 특정 선수의 기록을 챙겨주지 못해 미안한 마음을 드러내는 게 대표적이다. 너무 자주 등판하는 불펜 투수들을 향해서 고마운 마음을 드러내기도 한다.
가장 많이 등장한 선수가 선발 투수 나균안이다. 김태형 감독은 나균안이 지난 2일 고척 키움 히어로즈전에서 5와 3분의 2이닝 5피안타 2실점으로 호투하고도 타선이 터지지 않아 승수 추가에 실패한 상황을 두고 "나균아닝 초반부터 잘 던져 줘서 팀 전체에 좋은 흐름을 만들어줬는데 승리를 챙겨주지 못해 미안하다"라고 했다. 이튿날 키움 3연전 3차전을 앞두고도 "계속 승리하지 못하면 부담될 수 있다. 사실 타선이 더 득점을 해줬어야 했다. 선수단을 대표해서 얘기한 것"이라고 밝혔다.
김태형 감독은 시즌 초반이었던 4월 3일 대전 한화 이글스전에서도 나균안에게 미안하다고 했다. 나균안이 6회 말 1사 1·3루 위기에 빠진 뒤 그를 교체했지만 구원 투수들이 리드를 지키지 못해 승리 요건이 사라진 상황을 상기한 것. 나균안이 4월 20일 대구 삼성 라이온즈전에서 5와 3분의 1이닝 1실점으로 호투하고도 노디시전을 받아든 뒤에도 김 감독은 같은 메시지를 보냈다.
실제로 나균안은 승운이 없었다. 개막 로테이션부터 소화해 6월 첫째 주까지 12번 선발 등판했지만 1승도 거두지 못했다. 퀄리티스타트(QS·6이닝 이상 3자책점 이하)는 2번뿐이었지만, 7경기에서 5이닝 이상 막아냈다. 이중 5점 이상 내준 경기는 1번뿐이었다.
나균안은 로테이션 한 차례를 거르고 불펜 대기했던 6월 11일 수원 KT 위즈전에서 구원 등판해 1과 3분의 1이닝을 실점 없이 막아낸 뒤 타선이 역전한 덕분에 비로소 시즌 첫 승을 거뒀다. 선발 등판 복귀전이었던 6월 19일 부산 한화전에서도 6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시즌 2승째를 챙겼다. 하지만 이후 6경기에서 다시 1승도 올리지 못했다. 투구 내용은 기복이 있었던 3~5월보다 훨씬 좋았다. 모두 5이닝 이상 막아냈다. 자책점 4 이상 기록한 경기는 6월 28일 부산 KT전 한 번뿐이었다. 이 기간 평균자책점(3.89) 이닝당 출루허용률(1.33)도 나쁘지 않았다. 하지만 득점 지원이 팀 선발진 중 가장 적은 1.33점에 불과했다. 이 기간 나균안은 QS 3번을 했지만, 1승도 하지 못했다. 반면 QS가 1번뿐이었던 터커 데이비슨은 3승을 거뒀다.
이런 점을 두루 고려해도 나균안을 향한 김태형 감독의 배려는 눈길을 끈다. 그가 일단 6월 11일 KT전에서 '무승' 수렁을 벗어났기에 더욱 그렇다.
롯데는 그동안 부상으로 이탈했었던 주축 야수들이 거의 돌아왔다. 1·2일 키움 3연전 1·2차전에서 각각 무득점, 3득점에 그치며 잠잠했지만 3차전에서 1~3회만 9점을 내며 다시 살아났다.
나균안이 다시 선발로 복귀해 보여준 좋은 투구 내용을 이어가면, 더 많은 승리를 추가할 수 있을 전망이다. 분명한 건 그가 사령탑으로부터 크게 인정받고 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