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연합뉴스 전남 장성에 가면 홍길동 생가가 있다. 소설 속 인물 홍길동이 실존인물이라는 말인가? 활빈당(活貧黨)을 세워 동에 번쩍 서에 번쩍 했다는 이야기가 실화인지는 나중에 따지기로 하자.
독자는 홍길동이 도적이 된 이유를 아는가? 그렇다. 호부호형(呼父呼兄)을 하지 못해서이다. 아버지를 아버지라고 부르지 못하고 형을 형이라고 부르지 못한다는 말이다. 조선 임금 세종 때 종모법(從母法)을 시행한 탓이다. 종모법이란 어머니 신분을 따르게 정한 법이다.
아차, 오늘 무슨 이야기를 하려고 했더라? 그렇지! 틀림 없이 자신의 공을 쳤는데도 페널티를 받는 기가 막힌 상황에 대해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분명히 내 공인데도 내 공이 아니라니! 호부호형을 못하는 홍길동과 같은 처지 아닌가! 골프 규칙은 종모법처럼 불합리한 것일까? 오늘은 그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우선 내 공을 쳤는데도 페널티를 받는 상황부터 짚어 보자.
플레이어가 티샷을 한 공이 페널티 구역으로 날아갔다. 공이 페널티 구역에 빠졌다고 보고 구제를 받기로 했다. 공을 드롭하고 막 샷을 하려는데 저 앞 일반구역에서 공을 하나 발견했다. 티샷 한 그 공이었다. 죽은 줄 알았던 공을 찾았으니 얼마나 기쁘겠는가?
구제받으려고 드롭한 공을 냉큼 집어 올렸다. 그리고 티샷 한 원래 공으로 플레이를 이어갔다. 퍼팅 그린에서 만난 경기위원에게 이 상황을 설명했다. 웬걸? 경기위원은 그 플레이어에게 페널티를 부가했다. 드롭한 공으로 플레이를 했어야 한다면서 말이다. 티샷 한 공이 아니라.
벌타만 받는다면 그나마 다행이다. 실격을 당하는 경우도 있다.
그 홀을 마치고 다음 홀 티샷을 한 이후에야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경우이다. 예로 든 상황은 중대한 규칙 위반이라서 반드시 시정을 해야 한다. 다시 돌아가서 페널티 구제를 받고 플레이를 해야 한다는 뜻이다. 벌타는 벌타 대로 받고 말이다.
이미 다음 홀을 시작해버렸다면? 규칙상 잘못을 시정하기에는 늦었다. 그렇다면? 실격이다. 내 공을 치고도 실격을 당하는 것이다. 틀림 없이 내 공을 쳤는데도 실격이라니? 말이 되느냐고? 억울하게 느끼는 것이 당연하다. 길동군도 얼마나 억울했으면 반가의 서출로 태어나 놓고도 도적이 되었겠는가?
골프 규칙은 어떤 때는 엄격하다 못해 가혹하게 느껴질 때도 있다. 그런데 실은 부득이하게 엄격한 것이다. 다른 불합리한 일을 막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말이다. 다음 설명을 들으면 조금 이해가 될 것이다.
Ireland's Shane Lowry takes a drop after hitting his ball into the grandstands on the 18th hole during the third round of the British Open Golf Championships at Royal Troon golf club in Troon, Scotland, Saturday, July 20, 2024. (Jane Barlow/PA via AP) UNITED KINGDOM OUT; NO SALES; NO ARCHIVE; PHOTOGRAPH MAY NOT BE STORED OR USED FOR MORE THAN 14 DAYS AFTER THE DAY OF TRANSMISSION; MANDATORY CREDIT/2024-07-21 05:44:35/ <저작권자 ⓒ 1980-2024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골프 규칙에는 얼핏 보면 비슷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차이가 있는 용어가 있다. 바로 ‘합리적 판단’과 ‘사실상 확실한’이라는 두 용어이다. 두 용어는 거의 비슷하게 들린다. 그런데 골프 규칙은 이 둘을 구분하고 있다. 사실상 확실한(Virtually Certain)이란 말은 뱁새 김용준 프로가 이미 한 번 자세히 설명한 적이 있다. 지난 칼럼을 찾아 보기 바란다.
사실상 확실하다는 말은 진짜 거의 확실하다는 이야기이다. 95% 이상 확실할 때 사실상 확실하다고 말한다. ‘공이 페널티 구역에 빠진 것이 사실상 확실하다’는 말은 페널티 구역이 아니면 갈 곳이 없을 정도로 확실하다는 이야기이다. 비록 공을 페널티 구역 안에서 찾은 것도 아니고 페널티 구역에 빠지는 것을 본 사람은 없어도 말이다.
사실상 확실해서 구제를 받기로 하고 드롭을 했다면? 드롭한 바로 그 공이 이제 자신의 공이 되는 것이다. 처음에 친 공은 더 이상 자신의 공이 아니라는 말이다. 뒤늦게 처음 공을 찾아도 소용이 없다. 그러니 처음에 친 공으로 플레이를 하면 내 공이 아닌 공 즉, 잘못된 공(Wrong Ball)을 친 것이 된다.
이 규칙을 헷갈려서 사달이 나는 것이다. 뒤늦게 찾은 공을 인정한다면 사실상 확실하다는 판단을 믿기로 한 규칙이 어불설성이 되지 않는가!
그런데 합리적 판단(Reasonable Judgement)이라는 말도 규칙에 있어서 헷갈리게 만든다. ‘합리적 판단을 해서 드롭을 하고 나서 스트로크를 하기 전에 원구를 발견하면 원구를 기준으로 삼아서 구제지점을 시정해야 한다’는 구절이 있는 것이다.
이 말을 오해해서 앞에서 예로 든 상황에 이 구절을 적용해 플레이를 하면? 꼼짝없이 페널티를 받게 되는 것이다. 이 구절 앞뒤를 조금만 차분히 읽어보면 알게 된다.
이 구절은 사실상 확실하다고 판단해서 페널티 구제를 받기로 하고 드롭을 한 경우에 대한 이야기가 절대 아니라는 것을. 이 구절은 ‘기준점(Reference Point)’ 따위를 추정할 때만 적용하는 규칙이다. 물에 빠진 지점을 추정하거나 멀쩡하게 날아간 공을 동물이 물어갔을 때 원래 공이 있던 자리를 추정하는 상황에서 ‘합리적으로 판단한다’는 말이다.
‘까마귀가 공을 물어간 것이 사실상 확실할 때에 페널티 없이 원래 자리에 공을 드롭하기로 하고 어디에 공이 있었는지를 합리적으로 판단해서 그 자리에 공을 드롭한다’고 말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이것을 헷갈려서 자신의 공을 치고도 실격을 당한 선수가 드물지 않게 나온다. 사실상 확실하다는 말과 합리적 판단이라는 말을 확실하게 구분하지 못하면 말이다. 뱁새 김 프로라도 순간적으로 착각할 수 있는 대표적인 함정이 이것이다. 아찔하다.
김용준 프로와 골프에 관해서 뭐든 나누고 싶은 얘기가 있다면 메일을 보내기 바란다. 지메일 ironsmithkim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