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JTBC 배우 이정은이 ‘백번의 추억’에서 억척스러운 엄마의 얼굴을 리얼하게 조각하며 시청자를 1980년대로 끌어당겼다.
지난 13일 첫 방송한 JTBC 금토드라마 ‘백번의 추억’은 1980년대 100번 버스 안내양 고영례(김다미)와 서종희(신예은)의 빛나는 우정, 그리고 두 사람의 운명적 남자 한재필(허남준)을 둘러싼 애틋한 첫사랑을 그린 청춘 드라마다. 이정은은 극중 고영례의 엄마 박만옥으로 분했다.
박만옥은 첫째 아들 고영식(전성우), 둘째 딸 고영례와 늦둥이 남매 둘까지 사남매를 남편없이 홀로 키워 온 가장이다. 리어카 한 대를 몰고 다니며 시장에서 뽑기 장사로 생계를 유지하는 팍팍한 삶에 여유로움은 잊어버린 지 오래다. 큰 아들 고영식은 대학까지 보낼 정도로 애지중지 키웠지만 둘째 딸 고영례에겐 엄격한 엄마다. 고등학교도 못 가고 버스 안내양으로 일하고 있는 고영례 앞에서 “내가 네 오빠만 생각하면 맘이 애처로워서 애간장이 탄다”는 말을, 딸이 서운하든 말든 내뱉을 정도로 모질다.
그런데 박만옥의 이런 얼굴은 시청자에게 밉지 않게 다가간다. 이정은이 마음 깊은 곳엔 딸을 사랑하지만 이를 내비치지 못하는 투박한 엄마의 감정을 거친 대사 속 미묘한 떨림과 뉘앙스로 잘 전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친구를 데려왔다고 타박하는 박만옥에게 고영례가 “울엄마는 맨날 입에 사포질이셔 마음은 반가우면서”라고 하자, 박만옥은 “입이 하나 느는데 뭐가 반가워”, “많이 먹게는 안 생겨서 다행이다”라고 툭 내뱉는다. 그러면서도 한상 가득 먹음직스러운 집밥을 차려온다.
사진=JTBC배우 이정은이 30일 오전 서울 용산구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열린 영화 '좀비딸' 제작보고회에 참석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서병수 기자 qudtn@edaily.co.kr /2025.06.30/ 이정은은 그동안 다양한 작품에서 엄마 연기를 펼치며 시청자를 웃게도, 울게도 만들었다.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에서는 딸을 버리고 나갔다가 치매에 걸려 돌아온 정숙 역을 먹먹한 연기로 선보여 ‘동백이 엄마’라고 불릴 정도로 뜨거운 사랑을 받았다.
올해 여름 최고 흥행작 ‘좀비딸’에서는 흥과 끼가 넘치며 K팝을 사랑하는 이정환(조정석)의 엄마 김밤순 역으로 코믹 연기까지 잘 소화해냈다. 디즈니플러스 시리즈 ‘조명가게’에서는 이미 죽었지만 딸 현주(신은수)를 살리려고 저승에 가지 못하는 엄마를 절절하게 연기해 눈물샘을 자극했다. 다양한 감정선을 시청자들에게 전달한 이정은은 이번 ‘백번의 추억’에서도 출중한 연기력으로 특별출연 이상의 몫을 해냈다는 평이다.
김성수 대중문화 평론가는 “이정은은 이번 작품에서 따뜻하면서도 곁을 많이 내줄 수 없어서 엄격한 그 시대의 엄마의 모습을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다”며 “80년대 팍팍한 삶에서 기댈 곳도 여유도 없이 일상을 버티는 모습이 그 시대의 정서를 상기시킨다”고 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