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희진 전 대표가 하이브 산하 레이블 ‘빅히트 뮤직’ 합류 과정에서 방시혁 의장이 “엄청난 구애를 했다”고 밝혔다.
27일 오후 3시 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합의31부(재판장 남인수) 심리로 열린 풋옵션 행사 관련 주식매매대금 청구 소송 변론기일에서, 민 전 대표는 당사자 신문을 위해 직접 출석해 당시 영입 경위를 상세히 설명했다.
민 전 대표는 “제 영입 과정은 이례적일 만큼 집요했다”고 운을 뗐다. 그는 “2018년 12월 31일자로 SM을 퇴사했는데, 불과 이틀 뒤 방시혁 의장이 직접 연락을 해왔다”며 “어떻게 이렇게 빨리 아셨느냐고 묻자 ‘SM 내부 정보원을 통해 들었다’고 답했다. 그만큼 저를 데려오려는 의지가 강해 보였다”고 말했다.
이어 방 의장이 엔터 업계와 SM 시스템 전반에 대한 불신, 걸그룹 분야 재도전을 향한 강한 의지를 강조하며 반복적으로 접촉했다고 밝혔다. 민 전 대표는 “과거 글램 프로젝트 실패 이후 걸그룹을 다시 제대로 만들고 싶다는 말을 여러 차례 했고, 그래서 제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당시 카카오엔터로부터도 제안을 받은 상황이었으나, 방 의장의 적극적인 설득이 최종 결정을 좌우했다고도 했다. 민 전 대표는 “식사 중 부모님에게서 전화가 왔는데 방 의장이 직접 통화를 요청했다. 아버지께 ‘따님이 원하는 일을 마음껏 할 수 있게 꼭 우리 회사로 오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며 “저를 오래된 팬이라고까지 하며 진심을 보였다”고 전했다.
그는 “카카오엔터는 새로 개척해야 할 부분이 많았지만, 빅히트는 저를 전적으로 신뢰하겠다는 메시지가 분명했다”며 “그만큼의 강한 구애가 있었기에 입사를 결정했다. 지금 벌어진 분쟁을 부모님이 더 마음 아파하신다”고 덧붙였다.
앞서 하이브는 지난해 7월 민 전 대표가 뉴진스와 어도어를 사유화하려 했고, 이 과정에서 회사 및 산하 레이블에 손해를 초래했다며 주주간계약을 해지했다. 이후 같은 해 8월 민 전 대표는 어도어 대표직에서 해임됐다.
그해 11월 민 전 대표는 어도어 사내이사직에서 물러나며 하이브에 풋옵션 행사 의사를 통보했다. 그러나 하이브는 주주간계약이 이미 7월에 해지됐다는 점을 들어 해당 풋옵션 행사에 효력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민 전 대표 측은 계약 위반 사실이 없으므로 하이브의 해지 통보가 무효라고 반박하며, 이러한 전제하에 자신이 행사한 풋옵션 역시 유효하므로 대금 청구권이 인정돼야 한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