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사랑하는 국적이 다른 청년 3인방이 모여 한국어로 쉴 새 없이 이야기를 나눴다. 인종·국적·모국어·직업까지 공통점이 없는 세 남자들은 단 한 가지 한국에 대한 사랑으로 친구가 됐다.
지난달 20일 JTBC '비정상회담' 시즌2가 포문을 열었다. 2주년을 기점으로 삼아 멤버들을 대거 교체하고 변화를 꾀했다. 인도 대표 럭키(38)·미국 대표 마크 테토(36)·프랑스 대표 오헬리엉(35)은 신입 멤버로 합류했다.
고정 멤버로 참여한 지 이제 막 4주차에 접어든 세 사람은 "입이 아직 덜 풀렸어요. 본업과 방송을 겸업하는 게 만만치는 않은데 하면 할수록 재밌어요"라면서 천진난만하게 웃었다. 럭키·오헬리엉과 함께 서울 북촌 한옥마을에서 살고 있는 마크의 집을 찾았다. 대문을 열고 들어서자마자 전통의 향기가 물씬 풍겼다. 창문을 열면 처마 사이로 서울 도심이 펼쳐졌다. 한 폭의 그림과 같은 풍경에 감탄이 절로 났다. 럭키는 집안을 둘러보며 "집이 정말 좋아. 아내랑 같이 왔으면 엄청 부러워했을 것 같아"라고 말했다. 오헬리엉은 "마크 집 진짜 좋은데?"라고 화들짝 놀란 눈으로 바라봤다. 아담한 마당과 나무향이 가득한 마크의 한옥집은 멋스러웠다. 한옥의 정취에 빠진 특별한 취중토크다.
-평소 주량은 어떻게 되나요. (럭키, 이하 럭) "인도는 술 문화가 많이 발전되지 않았어요. 어렸을 때 안 먹었던 술을 지금 다 먹는 것 같아요. 술은 한국의 문화 중 하나라고 생각해요. 한국에 와서 술을 배웠어요. 소주 3병 정도는 마셔요." (마크, 이하 마) "저도 술이 꽤 세요. 세 본 적이 없어서 정확하게 주량이 얼마라고 말하긴 어려워요. 보통 '소맥'으로 마셔요. 기억을 잃을 때까지 취한 건 인생에 딱 한번이에요. 제 생일 때요. 미국은 생일인 친구를 위해 친구들이 술 한잔 사주는 게 전통이거든요. 그날 진짜 많이 마셨어요." (럭) "인도에서는 한국에서 5000원 정도 하는 술이 15000원이에요. 세금이 비싸서 못 마셔요. 그리고 인도에선 센 도수의 맥주가 인기가 많아요. 맥주가 독하기 때문에 '소맥'을 먹으면 죽어요. 인도는 빨리 마시고 취하기 위해 술을 마셔요. 술을 마시는 시간이 아깝다고 생각해서 스트롱 맥주가 많아요." (오헬리엉, 이하 오) "저도 주량을 잘 모르겠어요. 근데 술을 조금 마시면 기분이 좋아져요. 맥주 2~3잔 정도 마시면 알딸딸해지는 것 같아요."
-술버릇이 있나요. (마) "주변에 친구들이랑 술을 마시면 '넌 나한테 좋은 친구야'라고 애정표현을 해요. 곁에 있는 게 고마워서 그런 마음을 표현하는 것 같아요." (럭) "몸관리하려고 요즘은 술을 많이 줄였는데 술 마시고 'I love you'라고 고백을 많이 했어요. 그래서 친구들이 럭키가 술을 마시면 재밌다고 하더라고요." (오) "전 옷을 벗어요. 그리고 재미없는 농담 들으면서도 웃어요. 웃음이 많아지죠."
-평소 술친구는 누구에요. (마) "한국에 처음 온 게 대기업에 스카우트가 되어 온 거거든요. 저 말고 40명 정도 외국인이 있었는데 대부분 끼리끼리 모여서 클럽에 가고 와인숍에 가곤 했어요. 근데 전 한국에서 한국인 친구를 사귀고 싶었어요. 처음엔 없었는데 운동하면서 친구가 하나둘씩 생겼어요. 가족처럼 지내고 있는 친한 형은 바로 정두홍 무술 감독이에요. 명절에도 가족처럼 그 집에 놀러가곤 해요." (럭) "한국에 오면 회식문화를 피할 수 없어요. 무역을 하다보니까 거래처 분들과 술 먹는 자리가 자주 생겨요. 잠깐 술 마시면서 얘기하면 좀 더 편한 분위기 속에 얘기할 수 있는 것 같아요. 계획된 것보다는 계획되지 않은 술자리가 더 재밌어요. 마크의 한옥집에서 이렇게 막걸리랑 와인을 마실 줄 몰랐어요. 아무래도 서로 바쁘다 보니까 녹화하는 날밖에 못 보는데 촬영 끝나고 이렇게 만나서 얘기를 나누니 너무 좋네요.(웃음)"
-해장은 어떻게 하나요. (럭) "술 마시면 맨날 사우나에 가서 아침에 땀을 흘려요. 지금도 술 마신 다음 날에는 사우나 가는 게 제일 좋아요. 아! 뼈다귀해장국 먹는 것도 좋아요." (마) "해장 방법이 다르네? 전 국물보다는 느끼한 게 좋아요. 감자튀김이나 햄버거 이런 거요. 예전에 선지해장국을 먹은 적이 있는데 그건 보기만 해도 아파지더라고요. 피가 들어가 있어서요." (럭) "전 그런 음식이 너무 좋아요. 인도에서 먹을 수 없잖아요. 한국 안 왔으면 먹을 수 없는 음식들이에요. 진짜 맛있어요." (오) "프랑스는 술 마시고 다음 날 약을 먹어요. 약이 최고에요." (럭) "되게 과학적이다!." (마) "한국에서만 본 건데 술 마시고 나서나 전에 마시는 드링크 있잖아요. 그건 정말 '마법'이라고 생각해요. 미국엔 왜 그런 게 없나 몰라요."
-시즌2에 합류하고 3주차 방송까지 나갔어요. (마) "생각은 많은데 그만큼 표현할 수가 없어서 녹화 할 때마다 아쉬움을 느끼고 있어요." (오) "아냐. 마크가 나보다 한국말 잘해." (럭) "우리가 조금 더 잘하기 위해서 그런 생각을 한다고 생각하자." (마) "럭키는 역시 큰 선배인 것 같아요."
-한 나라의 대표라는 게 부담스럽게 다가오진 않나요. (마) "아마 우리 모두 그런 생각을 하고 있을 거예요. 한 나라의 대표로서 말을 하는데 이게 우리나라 대부분 사람들의 생각인지 아니면 저만의 생각인지에 대해서 말이에요. 그래서 부담이 느껴져요."
(럭) "마크 말에 동의해요. 인도 사람으로서 살아본 경험이 있지만 인도의 모든 사람이 저랑 똑같은 경험을 할 수는 없어요. 결국은 우리가 알고 느끼고 있는 것들을 이야기하는 거에요. 맞다, 틀리다로 구분하기보다는 '이런 경험을 했구나!' 이렇게 봐줬으면 좋겠어요." -부담은 있지만 프로그램을 통해 좋은 친구들이 생긴 것 같아요.
(마) "이 프로그램 하기 전에는 주변에 한국 사람은 많았지만 외국인 친구는 없었어요. 그렇다고 해서 한국 문화에 별로 관심이 없는 사람과 친구를 하고 싶지는 않았어요. 근데 '비정상회담'을 통해 한국을 사랑하고 아끼는 마음을 가진 사람들을 만났어요. 한국에 온지 이제 6년이 됐는데 이젠 미국에 가도 100% 미국 사람이 아닌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아요. 그렇다고 해서 100% 한국 사람도 아니고요. 그런데 여기 있는 친구들은 저와 같은 종의 사람 같아요. 그래서 남들보다 더 빨리 친해질 수 있는 것 같아요."
(럭) "전 인도에 가면 한국 자랑을 엄청나게 해요. 인도 친구들이 한국 자랑 좀 그만 하라고 할 정도에요. 근데 그렇게 말하면 울컥해요. 한국이 얼마나 대단한데 서양은 인정해주면서 한국을 무시하면 울컥울컥하더라고요. 20년 동안 한국을 왔다 갔다 했지만 한국어를 배워서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것 같아요. 한국어를 배웠기에 '비정상회담2'를 할 수 있는 기회도 얻는 거잖아요. 지금 우리를 묶을 수 있는 게 한국어에요. 국적도 다르고 생각도 다르지만 모여서 이런 저런 얘기를 하고 나면 속이 시원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