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이라 말해요' 스틸. 사진=월트디즈니 컴퍼니 아태지역 제공 어떻게 보면 전형적이고 어떻게 보면 파격적이다. 부친 사망 후 새엄마에게 쫓겨난 여자와 슬프게도 그 여자와 사랑에 빠진 새엄마의 아들. 탐욕적이고 몰인간적인 새엄마와 허락하기 어려운 두 남녀의 사랑. 떼어 놓고 보면 전형적이고, 이 두 가지를 요소를 기어이 합쳐냈다는 점에선 파격이라는 표현이 아깝지 않다. 배우 이성경, 이광영 PD, 배우 김영광(왼쪽부터). 사진=월트디즈니 컴퍼니 아태지역 제공 1일 오후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샌즈 엑스포 & 컨벤션 센터에서는 디즈니 아태지역 콘텐츠 간담회 ‘사랑이라 말해요’ 섹션이 진행됐다. 이 자리에는 연출을 맡은 이광영 PD와 배우 김영광, 이성경이 참석해 작품에 대한 여러 대화를 나눴다.
‘사랑이라 말해요’는 부친의 갑작스러운 죽음 후 그의 내연녀에 의해 살던 집에서 쫓겨난 우주(이성경 분)가 자신의 인생을 망친 여자의 아들 동진(김영광 분)과 만나 서로를 이해하고 스며들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은 작품. 사진=월트디즈니 컴퍼니 아태지역 제공사진=월트디즈니 컴퍼니 아태지역 제공 설명만 봐도 질릴 정도로 충격적이고 신파가 예상되는데, 이광영 PD와 배우들은 “누구나 공감할 수 있을 이야기”, “서서히 스며드는 사랑”이라며 드라마를 느릿하고 공감되는 힐링물로 포장했다. 이광영 PD는 “첫눈에 반하거나 특별한 에피소드를 가지고 진행되는 사랑은 아니다. 천천히 느리게 한 걸음씩 스며든다는 표현을 쓰고 싶다. 화려한 에피소드가 있다기 보다 서로가 서로에게 스며들면서 ‘이게 사랑이었구나’라는 걸 깨닫게 되는 로맨스 이야기”라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더욱 궁금하다. 공감과 힐링을 위한 드라마에 평면적이고 전형적 새엄마 캐릭터는 왜 넣었으며 여자 주인공 우주에게는 왜 복수가 사랑으로 바뀌는 가혹한 감정선을 부여한 것일까.
이광영 PD는 “요즘 젊은 세대는 빠른 호흡을 좋아한다는 걸 알지만 공감과 위로를 주는 드라마가 이제는 필요한 시점이 됐다고 생각했다. 촬영 후에 얘기를 들어보니 ‘빠른 호흡보다 오히려 몰입도가 생겼다’고 하더라”고 이야기했다. 글쎄, 세상엔 분명 우주와 동진 같은 가혹한 사랑도 있겠지만, 그 사랑을 느릿하고 서정적으로 표현해 공감과 위로의 정서를 만들어낼 필요가 있었을까. ‘신데렐라’에 K신파를한 스푼 넣은 것 같은 ‘사랑이라 말해요’가 아시아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