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취중토크②] 이준익 감독 "돈과 독은 한끗차, 천만 영화 더 욕심 없어"
이준익 감독(57)의 인생은 한 편의 영화 같다. 꽤 많은 플롯이 있고, 코미디와 드라마가 적절히 버무려져있다.그가 영화판에 발을 들여놓은 건 극장 간판을 그리면서부터다. 세종대 회화과를 중퇴하고 우연히 시작한 일이었다. 1986년부터 서울극장 합동영화사의 선전부장으로 광고를 기획하다 영화사를 설립했고, 각종 해외 영화들을 수입하는 일을 했다. 그러면서 한 번도 꿈꿔본 적 없는 영화 연출에 도전했다. 하지만 데뷔작 '키드캅'은 참패했고, 당시 무명의 신인 감독이었던 이준익은 지인들에게 "연출을 하지 않겠노라"며 선언했다. 영화 기획과 제작에만 몰두하던 중 다시 그가 메가폰을 다시 잡은 건 딱 10년 만이었다. 배우 캐스팅까지 다 정해진 '황산벌'을 찍기로 한 감독이 이중계약을 한 게 드러나면서 그야말로 '얼떨결에' 다시 연출을 맡았다. 결과는 성공적. 이후 '왕의 남자'로 초대박을 치며 스타감독 반열에 올랐다.이때까지만 해도 한 편의 인생 역전 감동 드라마를 썼지만, 우스갯소리로 던진 말 한 마디에 두 번째 은퇴를 하며 인생 장르는 코미디로 바뀐다. "'평양성'이 흥행하지 않으면 은퇴하겠다"고 농담 섞어 던진 폭탄 발언에 발목이 잡혀 9시 뉴스까지 나왔다. 이후 또 다시 은퇴 번복. 그런 이준익이 '소원(2013)'부터 다시 상승세를 타고 있다. '사도'와 '동주'까지 연속 세 작품을 흥행시키며 '왕의 남자' 이후 백상예술대상에서 10년 만에 두 번째 대상 트로피를 품에 안았다.인생의 쓴맛, 단맛을 다 맛 봐서일까. 제52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영화부문 대상을 받고 2주 만인 15일 비오는 날 저녁 서울 종로구 삼청동 한 식당에서 만난 이준익에게선 좀처럼 들뜬 모습을 찾아볼 수 없었다. 평소와 다름없이 수다스럽고 인간미 넘치는 모습일 뿐. 자신을 칭찬하는 말에 낯뜨거워하고, 자신을 '디스'하는 것엔 관대하게 낄낄 웃는 것도 여전했다. 솔직하고 참 묘한 매력이 있는 감독이다. "골짜기가 깊은 산일수록 봉우리가 높은 법이죠. 좋은 것도 나쁜 것도 모든 순간은 한 때죠. 다 지나가는 시간입니다. 산전수전을 겪어보니 이제 좀 알겠더라고요." ※인터뷰①에서 이어집니다-세종대학교에서 회화를 전공하다가 극장의 간판을 그리려고 영화를 시작했다고 들었어요. 이렇게까지 될 줄 알았나요."전혀 몰랐어요. 말도 안 되죠. 광고 쪽 선전부장도 한 적이 있어요. 그 이후엔 영화사를 차리고 감독을 했죠. 계획도 안 했고 상상도 안 해본 일이에요."-직업을 바꾼 이유는 뭔가요."지금 하고 있는 일의 바닥이 보일 때 직업을 바꿨던 것 같아요. 바닥에 머물려고 하는 걸 견딜 수가 없어요. 사람이 뭔가 에너지를 발동하려면 제일 먼저 호기심이 있어야 해요. 호기심으로 하다 보면 어느 순간 반복할수록 실망할 일이 많죠. 실망했을 때 실망한 것을 직시해야 하는데 내가 선택한 일이니까 대부분 미화하고 안주하려고 해요. 그래서 의미 부여를 자꾸 해요. 근데 난 실망한 건 실망한 걸로 인정해요. 미화하려고 하는 건 자기 자신한테 솔직하지 않은 거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사람들은 대부분 얻은 게 있으니까 잃은 거에 대해서 미화하려고 하죠. 그걸 자기 합리화라고 하는데 합리화가 심해지면 정당화가 되고 그것보다 심하면 '꼰대'가 돼요. 난 그런 사고가 없어요. 남들이 미화하면 닭살이 돋아요. 부끄러운 일이 더 많아요. 미주알고주알 말하는 것도 역설적으로 미화시킬 수 있어서 그냥 별로 안 좋다고 말해요. 말을 많이 할수록 함정을 많이 파요. 난 말을 많이 하니까 말실수를 많이 하죠. 결국엔 말을 적게 하는 방법밖에 없어요."-데뷔작이 '키드캅'이었어요. 성적은 좋지 않았죠."완전히 망했어요. (웃음) 망하고 나서 감독으로 자질이 없다고 생각하고 은퇴를 했어요. 그때 나를 알던 주변 사람들에게 은퇴했다고 말하고 다녔어요. 근데 그때는 유명하지 않아서 나의 1차 은퇴를 아는 사람이 많지 않아요. 그때가 1993년이었어요. 그 이후 영화 제작을 했어요. 이후엔 외국 영화를 수입하고 배급했죠. 그걸 한 10년 동안 했어요. 그 사이에 시나리오를 개발해서 신인 감독을 데뷔시키기도 했고요. 그러고 보니까 백상에서 '간첩 리철진'으로 작품상을 받았었네요. 총 3번의 상을 받았어요."-'황산벌'을 통해 감독으로서 다시 일어났죠."'황산벌'도 다른 감독들이 안 한다고 해서 한 거예요. 10여 명의 감독한테 거절당했어요. 우여곡절 끝에 박중훈이 출연하기로 했는데 원래 하기로 했던 감독이 이중계약이 된 상태라 할 수가 없었어요. 투자, 캐스팅이 다 됐는데 어떻게 해요. 그래서 '키드캅' 이후 10년 만에 다시 연출을 했어요."-2005년 '왕의 남자'로 천만 감독이 됐어요."'황산벌'을 통해 감독으로서 자질이 형성됐어요. 의욕 과잉이 낳은 실패한 감독이었는데 '황산벌' 성공 덕분에 '왕의 남자'를 할 기회가 생겼어요. 그리고 얼떨결에 천만 감독이 됐죠. 그때 당시엔 천만이 말도 안 되는 숫자였어요. 더구나 극장 수가 많지 않았거든요. 지금도 천만 영화 중에 극장 수가 제일 작아요. 한국의 문화적 가치를 재발견하는 기회였다고 생각해요. 현대인들에게는 전통 놀이를 재발견 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됐죠."-천만 영화에 대한 욕심은 없나요."천만 영화에 대한 욕심은 전혀 없어요. 손익분기점만 넘기면 된다고 생각해요. '돈'과 '독'은 'ㄴ'과 'ㄱ' 차이에요. 천만을 해봤는데 뭘 또 더하나요. '사도'도 600만이 넘었고 '동주'도 100만을 넘었어요. 손해 보지 않는 게 목표지 천만이 목표는 아니에요." -작품의 흥행에 대한 감은 어느 정도 맞나요."52% 정도는 맞지 않나 싶어요. 안 될 것 같은 건 중간에 가다가 엎어버리죠. 될 것 같은 것들로 골인 지점까지 가는 건데 '평양성'까지는 감이 떨어졌어요. '평양성' 이후에 '소원' '사도' '동주' 같은 경우는 다 안 될 것 같은 소재인데 어차피 큰 목표를 두지 않았기 때문에 그 버짓에 정성을 다해서 하면 빚지지 않을 수 있겠다고 생각했어요. 그 마음으로 찍었어요. 그렇게 해서 '소원'은 275만 관객의 선택을 받았죠. '사도'도 고사 지낼 때 목표가 500만이라고 했는데 600만을 달성했고 '동주'는 50만만 되면 소기의 목표를 이룬다고 생각했는데 100만이 넘었어요. 항상 손해만 보지 말자고 생각하는데 딱 그만큼씩만 더 줘요. 아주 냉철한 현실주의자죠. 예전에는 공상가에 가까웠어요."-은퇴와 관련한 댓글이 지금도 달려요."진짜 지금 생각하면 완전 코미디였어요. '평양성' 때 현장에 방문한 기자가 80명이었어요. 온라인으로 바로 기사를 쏜다는 사실에 놀랐을 때였어요. 그때 기자들이 전주까지 고속버스를 타고 내려왔는데 기사를 쓸만한 것이 없었어요. 재미 삼아서 순간 말실수를 해버린 거죠. 근데 그게 바로 실시간으로 온라인 기사에 떴고 9시 뉴스까지 나오게 됐어요. 언제 한 번, 그 기사를 제일 먼저 쓴 기자가 사과했는데 누구였는지 기억도 안 나요. 평소에도 좋지 않은 일을 빨리 잊으려고 하는 게 있어요. 어떤 사람을 미워하면 내 손해라고 생각하는 스타일이라서 그 사과를 받았을 때 기억하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했는데 진짜 잊어버렸어요."-이준익에게 은퇴란 어떤 의미인가요."이미 했던 경험? 지나간 해프닝이죠.(웃음)"-지우고 싶은 연관 검색어나 이미지가 있나요."아니요. 있는 그대로가 좋아요. 뭘 굳이 지우나요."김연지 기자·황소영 기자 kim.yeonji@joins.com 사진=양광삼 기자[취중토크①] 이준익 감독 "백상 대상 후 송강호가 가장 먼저 축하문자"[취중토크②] 이준익 감독 "돈과 독은 한끗차, 천만 영화 더 욕심 없어"[취중토크③] 이준익 감독 "영화가 망하면 감독 책임"
2016.06.17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