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6건
경제일반

건설사 불어난 빚…커지는 부동산 금융불안

시중은행을 대상으로 한 부동산과 건설 관련 대출액과 연체가 급격히 증가하며 부동산발 금융불안이 커지고 있다.25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건설업종 대출 잔액은 11월 말 기준으로 23조2387억원으로 나타났다.이는 지난 2021년 말 15조 9704억원과 비교해 약 7조2683억원(46%)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말 20조3915억원 보다는 2조8472억원(14%) 증가했다.대출액 증가도 증가지만 연체액의 증가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 더 큰 우려의 지점이다. 현재 연체액 규모는 1051억원으로 지난해 말 524억원의 2배를 넘어섰다. 2021년 330억원과 비교했을 때는 3.2배에 달한다. 연체율 역시 2021년 말 0.21%, 지난해 말 0.26%에서 올해 11월에는 0.45%까지 뛰었다.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경우 11월 말 기준 5대 은행 잔액은 약 18조2404억원이다. 지난해보다 3조7917억원(26%) 더 늘었다.금융권에서는 연체율이 아직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은 아니지만 타 업종 대비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는 점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한 시중은행의 경우 올해 3분기 말 기준 건설업종 연체율이 0.83%로 나타났는데, 이는 전체 13개 업종 중 가장 높다. 건설업 연체율은 2018년 2분기말의 1.19% 이후 5년 3개월 만의 가장 높은 수준이기도 하다.한은도 대출의 부동산·건설 관련 부문 집중 문제와 부실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한은의 '업종별 대출 집중도' 분석에 따르면 올해 3분기 현재 부동산업의 집중도는 3.3으로 5개 업종(부동산업·건설업·숙박음식·도소매·제조업) 가운데 가장 높다. 대출 집중도는 업종별 대출금 비중을 업종별 명목 국내총생산(GDP) 비중으로 나눈 값이다. 부동산업의 집중도가 높다는 것은 우리나라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부동산업에 대출이 지나치게 많이 쏠려있다는 뜻이다.한은은 최근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가계와 기업 대출 증가를 부동산 부문이 주도하지만, 주택시장의 불확실성은 큰 상황”이라고 밝혔다.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3.12.25 14:11
경제일반

추경호, 美옐런과 회담…"금융불안 심화시 유동성 공급 장치 실행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금융불안이 심화할 경우 유동성 공급을 위해 양국이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1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추 부총리는 옐런 장관은 전날 컨퍼런스콜을 통해 글로벌 경제 동향과 외환시장 협력,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러시아 원유가격 상한제 등을 논의했다. 양국 장관은 글로벌 유동성 축소,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으로 글로벌 실물경제와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는 진단에 의견을 같이했다. 러시아발 유럽 에너지 위기, 신흥국 부채 지속가능성 문제 등 추가 하방리스크도 잠재하는 상황에서 양국 간 긴밀한 소통과 조율을 지속하기로 합의했다. 추 부총리는 "긴축적인 글로벌 금융여건이 우리 경제에 적잖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양국이 최근 금융·외환시장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외환시장 관련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국 장관은 최근 달러·원 환율의 급격한 상승에도 한국 경제는 양호한 외화유동성 상황, 충분한 외환보유액 등에 힘입어 여전히 견조한 대외건전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한국을 포함한 주요국의 유동성 경색 확산으로 금융 불안이 심화하는 등 필요한 경우에는 유동성 공급장치를 실행하기 위해 양국이 긴밀히 협력할 준비가 돼 있음을 확인하고 관련 논의를 지속하기로 했다고 기재부가 전했다. 추 부총리는 지난달 옐런 장관에게 보낸 서한 내용을 상기시키며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북미산 전기차에만 세액공제 혜택을 줘 한국 전기차 업계와 국회 등을 중심으로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고 전달했다. 양국 장관은 러시아 원유가격 상한제 진행상황, 녹색기후기금(GCF)을 통한 개발도상국 기후변화 대응 지원, 세계은행의 팬데믹 대응 금융중개기금(FIF)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이를 토대로 글로벌 물가안정, 기후·보건 이슈 대응에도 협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뜻을 같이했다. 이번 컨퍼런스콜은 미국 재무부 요청으로 성사됐다. 추 부총리 취임 이후 한미 재무장관 간 공식 만남은 이번이 4번째다. 추 부총리는 "한미 재무당국 간 수시로 현안을 논의하는 자체가 굳건한 한미 협력관계를 방증한다"며 "양국이 양자(한미 자유무역협정)와 다자(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 협력기반을 토대로 경제협력을 심화, 발전시키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2.10.01 11:51
부동산

서울 아파트값 하락폭 확대…인플레이션 및 금융불안 영향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3주 연속 떨어지고 있다. 인플레이션과 미국발 금융 불안 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매매도 줄어들고, 하락 폭도 확대되는 모양새다. 16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0.02% 하락하며 지난주 -0.01%보다 낙폭이 커졌다. 미국의 '자이언트스텝'(한 번에 0.75%포인트의 금리 인상)에 따른 한국은행의 '빅스텝'(0.5%포인트의 금리 인상) 가능성 등 금융시장을 중심으로 불안 심리가 확산하며 매수세가 위축된 모습이다. 부동산 빅데이터업체아실은 이날 현재 서울의 아파트 매물은 6만3934건으로 일주일 전보다 1.7% 증가했다고 밝혔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고물가와 금리 부담 등의 위기감으로 극소수의 급매물 위주로만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남구 아파트값은 2주 연속 보합을 기록하면서 힘을 쓰지 못하는 분위기다. 강동구는 4주 연속 이어온 보합을 깨고 0.02% 떨어지면서 하락 전환했다. 송파구는 가락·장지동의 중저가 위주로 가격이 미끄러지면서 4주째 -0.01%의 하락세가 이어졌다. 서초구는 0.02% 올랐으나 지난주의 0.03%보다는 상승 폭이 다소 둔화했다. 용산구는 0.01% 올랐지만 상승 폭은 지난주의 0.02%보다둔화했다. 이른바 '노도강' 지역은 전반적으로 약세였다. 노원구는 지난주 -0.03%에서 금주 -0.04%로 하락 폭이 커졌고, 강북과 도봉구는 각각 지난주 보합에서 -0.01%, -0.02%로 하락 전환했다. 경기도와 인천 아파트값은 각각 0.02%, 0.03% 떨어져 지난주와 비슷한 수준의 하락세가 이어졌다. 지난해 집값 상승률 1위였던 인천은 올해 들어 입주물량 증가 등으로 약세다. 작년 집값 상승을 주도했던 인천 연수구는 0.11% 하락하는 등 올해 들어 1.22%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아파트값은 0.02% 내려 올해 3월 14일 -0.02%를 기록한 뒤 석 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전셋값은 지난주 보합이던 서울과 경기도가 각각 0.01%, 0.02% 내리며 한 주 만에 다시 하락 전환됐다. 인천은 0.12% 내려 지난주 -0.08%보다 낙폭이 커졌다. 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m 2022.06.16 17:41
경제

국제유가 혼조, WTI 배럴당 27.45달러 마감... 5거래일 연속 하락

국제유가가 혼조 양상을 보여 온라인상에서 이슈가 되고 있다.10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미국 텍사스산 원유(WTI) 3월 인도분은 전날보다 49센트(1.8%) 떨어진 배럴당 27.45달러에 마감했다. 이에 따라 WTI는 5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1월 20일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반면 런던 ICE 선물시장의 4월 인도분 브렌트유는 전 거래일보다 32센트(1.1%) 오른 배럴당 30.64달러 선에서 움직이고 있다.앞서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지난주 기준 미국의 원유 재고가 1주일전보다 74만배럴 줄었다고 발표했다. 이는 360만배럴 증가했을 것으로 봤던 시장 전문가들의 예상을 완전히 뒤엎은 것이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원유 투자에 나섰고 WTI는 한때 29달러를 넘었다.그러나 사우디아라비아 등에서 생산량이 늘어난 탓에 글로벌 공급과잉 현상이 더 심해졌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하락 압력으로 작용했다.금값은 6거래일만에 하락했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4월 물 금의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4달러(0.3%) 내린 온스당 1,194.60달러에 마감했다. 글로벌 금융불안의 가능성에도 투자자들이 리스크가 큰 상품에 투자한 탓에 금값은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온라인 일간스포츠'국제유가 혼조' 2016.02.11 10:37
경제

국제유가 혼조, WTI 또 최저치 기록... 금값도 덩달아 하락

국제유가가 혼조 양상을 보여 온라인상에서 이슈가 되고 있다.10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미국 텍사스산 원유(WTI) 3월 인도분은 전날보다 49센트(1.8%) 떨어진 배럴당 27.45달러에 마감했다. 이에 따라 WTI는 5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1월 20일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반면 런던 ICE 선물시장의 4월 인도분 브렌트유는 전 거래일보다 32센트(1.1%) 오른 배럴당 30.64달러 선에서 움직이고 있다.앞서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지난주 기준 미국의 원유 재고가 1주일전보다 74만배럴 줄었다고 발표했다. 이는 360만배럴 증가했을 것으로 봤던 시장 전문가들의 예상을 완전히 뒤엎은 것이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원유 투자에 나섰고 WTI는 한때 29달러를 넘었다.그러나 사우디아라비아 등에서 생산량이 늘어난 탓에 글로벌 공급과잉 현상이 더 심해졌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하락 압력으로 작용했다.금값은 6거래일만에 하락했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4월 물 금의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4달러(0.3%) 내린 온스당 1,194.60달러에 마감했다. 글로벌 금융불안의 가능성에도 투자자들이 리스크가 큰 상품에 투자한 탓에 금값은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온라인 일간스포츠'국제유가 혼조' 2016.02.11 09:16
연예

대기업 투자약속은 거짓말?...유보율 사상 최고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기업들이 현금 쌓아두기에 치중하면 10대 그룹 계열 상장사들의 유보율이 1500%를 넘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해 초 박근혜 정부가 취임하면서 재벌 회장들이 투자를 크게 늘리겠다고 약속했지만 사실상 지켜지지 않은 셈이다. 유보율은 기업들이 그동안 벌어들인 총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나눈 비율로 벌어들인 돈을 얼마나 사내에 쌓아놓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20일 금융투자업계와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의 10대 그룹 소속 상장 기업 70개사의 2013년도 유보율은 1578.5%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1414.2%)보다 164.3%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사상 최고 수준이다. 10대그룹 계열사들의 2008년 유보율은 900%대 초반에 불과했다.70개사의 잉여금 총액은 444조2000억원으로 전년의 399조2000억원보다 11.3% 늘었으나, 자본금은 28조1000억원으로 전년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그룹별로는 롯데의 유보율이 5767%로 가장 높았다. 롯데그룹 소속 6개 상장사의 잉여금 총액은 27조원으로 자본금(5000억원)의 58배에 육박했다.이어 포스코(3937%), 삼성(3321%), 현대중공업(3092%), 현대차(1661%), SK(984%), GS(894%), LG(570%), 한화(479%), 한진(189%) 등의 순이었다. 지난 1년 동안 잉여금이 가장 많이 늘어난 그룹은 삼성(17조원)과 현대차(15조원)였다.반편 한진그룹(-1496억원)과 LG(-479억원)는 잉여금과 유보율이 모두 소폭 감소했다.전문가들은 금융위기 이후 대기업들이 세계 경기 회복 둔화와 신흥국 금융불안, 엔저 공세, 저성장 고착화 등으로 적극적으로 투자에 나서지 않고 있는 것을 유보율 증가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다. 이형구 기자 ninelee@joongang.co.kr 2013년 10대 그룹 유보율 현황 그룹 유보율(%) 잉여금(원) 롯데 5767 26조9682억 포스코 3937 43조8696억 삼성 3321 152조2617억 현대중공업 3092 18조2911억 현대차 1661 92조9608억 SK 984 52조8853억 GS 894 9조891억 LG 570 40조1859억 한화 479 5조3320억 한진 189 2조3185억 계 1,578 444조1622억 2014.04.21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