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ma2024 ×
검색결과17건
산업

오리온, 1분기 영업이익 1251억…전년比 26% 증가

오리온은 2024년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484억 원, 영업이익 1251억 원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매출액은 글로벌 경기침체, 고물가, 고환율 등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제품 경쟁력 제고 및 성장채널 영업활동에 집중하며 전년 대비 12.7% 성장했다.영업이익은 원자재 가격이 지속 상승하는 가운데 원료공급선 다변화, 글로벌 통합구매 등 효율 및 수익 중시 경영을 펼치며 26.2% 증가했다. 무엇보다 수익성 개선을 위해 간접영업체제로 전환한 중국 법인의 영업이익이 41.5% 늘며 전체 영업이익 증대에 크게 기여했다.각 법인의 고른 성장세에 따라 시장은 오리온의 올해 연결기준 실적을 매출액은 약 3조2000억원, 영업이익은 5600억원 수준으로 전망하고 있다.오리온은 꾸준한 외형 성장과 수익성 개선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투자 및 주주가치 제고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난 4월에는 주주환원 정책으로 배당성향을 향후 3년간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의 20% 이상으로 높이는 배당정책을 발표했다. 시장 전망치로 보면 올해 배당총액은 2023년 500억 원 수준에서 약 850억 원으로 70%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올해 3월 인수를 완료한 계열사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 1월 얀센 기술이전에 대한 마일스톤 1억 달러를 수령하여 올 1분기에 97억원의 세전이익을 기록했다. 또한 지난 3월 29일 유상증자 신주배정으로 시가 총액이 1조7772억원에서 2조4465억원으로 늘어나면서 재무 안전성을 확보하였고, 현금흐름도 개선됨에 따라 신약 연구개발 및 임상 진행 속도를 가속화할 수 있게 되었다.지주회사 오리온홀딩스의 자회사인 쇼박스도 1190만 관객을 동원한 영화 ‘파묘’의 흥행에 힘입어 1분기 영업이익 200억원을 기록, 그룹 차원의 호실적 달성에도 기여했다.오리온 관계자는 “제품력 강화 및 시장 확대를 통해 지속 성장세를 이어가는 한편, 탄탄한 현금흐름을 기반으로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도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4.05.16 15:22
IT

카카오, 작년 악재에도 '어닝 서프라이즈'…올해 신무기 내놓는다

창사 이래 최대 위기에 놓인 카카오가 지난해 예상을 뛰어넘는 호실적을 거두며 업계의 우려를 걷어냈다. 보수적인 경영 기조를 밑바탕에 깔고 스스로를 채찍질을 하며 올해부터 미래 먹거리를 순차적으로 내놓겠다는 포부다.15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의 2023년 매출은 전년 대비 14.2% 증가한 8조1058억원으로 처음 8조원을 돌파했다. 영업이익은 10.9% 감소한 5019억원이다.지난해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3% 늘어난 2조1711억원이다. 분기 기준 역대 최고 기록을 썼다.영업이익 역시 108.7% 오른 1892억원으로 신기록을 갈아치웠다. 증권가의 컨센서스(전망치)인 1500억원대를 훌쩍 뛰어넘었다.‘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에 신규 비즈니스 모델을 도입한 효과가 점차 가시화하고 있다는 설명이다.홍은택 카카오 대표는 이날 실적 발표에서 "지난해 대형 파트너와의 제휴로 규모감 있는 숫자의 SME(중소상공인) 광고주들이 (비즈니스 채널인) 톡채널을 개설했다. 연말 기준 200만개까지 확대됐다"며 "이로 인해 메시지 광고 매출이 그동안 캐시카우로 불린 비즈보드 매출을 넘어섰다"고 말했다.플랫폼(톡비즈·포털비즈·플랫폼 기타)과 콘텐츠(게임·미디어·뮤직 등) 부문은 연간 매출에서 각각 51%, 49%의 비중을 차지하며 균형 잡힌 성장을 이어갔다.사업별로 포털비즈(-18.8%)와 미디어(-13.9%), 게임(-9.1%)이 주춤했지만 톡비즈(11.2%)와 플랫폼 기타(13.7%, 모빌리티·페이·엔터프라이즈 등) 등 나머지 사업이 선전했다.특히 뮤직 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92.9% 뛰며 실적 하락을 방어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SM엔터테인먼트의 매출이 반영됐다”며 “이를 제외해도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산하 스타쉽엔터테인먼트의 아이브 등 아티스트들이 활동을 재개하면서 성장했다”고 말했다. 이런 안정적인 실적 흐름에도 카카오는 엄격한 기준을 적용했다. 2023년 연간 당기순이익은 1조4970억원 적자 전환했다. 카카오엔터(타파스·멜론 등)의 영업권 손상으로만 8892억원을 책정한 탓이다.당기순이익은 기업의 최종적인 수익으로, 영업 외 발생 이익과 손실까지 반영한다. 영업권 손상은 장부상에만 적는 금액으로, M&A(인수·합병)로 품은 기업의 가치 등을 현재 기준으로 엄격하게 재산정했다.기업이 보유한 현금과는 실질적인 연관이 없지만 경영 환경과 리스크 등을 사전에 반영해 수익성 강화와 비용 효율화에 더욱 힘을 싣겠다는 의지를 녹였다.SM엔터 인수 과정에서 시세조종 의혹으로 사법리스크가 현실화하며 기업 이미지가 크게 훼손됐지만 이번 성적표를 보고 카카오를 바라보는 시장의 인식이 180도 바뀌었다. 이날 카카오의 주가는 5만9200원으로 전일보다 7.83% 뛰었다.카카오는 올해 종합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로 진화한 카카오톡의 개편에 더욱 속도를 낸다. 신성장 동력인 '뉴이니셔티브'(헬스케어·AI·클라우드)도 결과물을 속속 공개할 방침이다.홍은택 대표는 "올 하반기에 로컬 서비스 '동네소식'의 적용 지역을 확대하고 오픈채팅 구독 모델을 선보일 계획"이라며 "비지인 기반 오픈채팅으로 광고 인벤토리가 늘어나 매출과 영업이익이 계속 상승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말했다.또 홍 대표는 "의학계로부터 전문성을 인정받은 당뇨 관리 솔루션 '파스타'로 보다 넓은 헬스케어 시장에 진입하려 한다"며 "자체 개발한 모델과 글로벌 모델을 유연하게 고려하는 AI 하이브리드 전략을 펼치고자 한다"고 했다. 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2024.02.16 07:00
금융·보험·재테크

우리금융그룹, 순이익 전년 대비 20% 감소...우리종합금융은 순손실

우리금융그룹의 지난해 연결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20%나 감소했다. 우리금융그룹은 6일 2023년 연결 당기순이익이 2조5167억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지난 2022년의 3조1417억원보다 -19.9% 감소한 것으로 시장 전망치를 밑돌았다. 지난해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을 합한 순영업수익은 9조8374억원으로 전년(9조8457억원)보다 0.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이자이익은 8조7425억원으로 전년(8조6966억원)보다 0.5% 늘었고, 비이자이익은 1조948억원으로 전년(1조1491억원)보다 4.7% 줄었다.조달 비용 상승에 순이자마진(NIM)이 하락했지만 신성장산업 중심의 대출 성장세에 힘입어 이자이익이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연간 은행 NIM은 1.56%로 1년 사이 0.03%포인트(p) 떨어졌다.우리금융은 비이자이익에 총 2758억원 규모의 민생금융 지원방안 수치가 반영됐다. 이를 제외하면 전년 대비 약 10% 증가한 셈이다. 부문별 연체율은 은행이 0.22%에서 0.26%로 카드가 1.20%에서 1.22%로 각각 높아졌다. 지난해 대손비용은 1조8807억원으로 전년(8853억원)보다 112.4% 확대됐다. 상반기 중 2630억원의 선제적 충당금을 적립한 데 이어 4분기에도 5250억원을 추가로 쌓아 손실 흡수 능력을 높였다.우리금융은 연간 배당금을 보통주 1주당 1000원(결산 배당 640원)으로 결정했다. 연간 배당 수익률은 7.1%, 배당 성향은 29.7%, 총주주환원율은 33.7%다.자회사인 우리은행의 지난해 연결 순이익도 2조5159억원으로 전년(2조8922억원)보다 13.0% 감소했다. 우리카드는 1110억원으로 45.3%, 우리금융캐피탈은 1278억원으로 30.1% 각각 순이익이 줄었다. 우리종합금융은 534억원 순손실을 기록했다.우리금융 관계자는 "취약 부문에 대한 건전성을 개선하고, 계열사를 정비해 그룹의 자본시장 경쟁력을 강화했다"며 "올해 리스크 관리에 집중하면서도 선택과 집중의 성장전략, 자산관리 부문 등 그룹 시너지 강화를 통해 실적 턴어라운드 본격화를 기대한다"고 말했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2.06 16:29
산업

대우건설 3분기 영업이익 1902억원…"시장 기대치 상회"

코스피 상장사 대우건설은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902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7.4%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7일 공시했다.이번 영업이익은 시장 전망치 1755억원을 8.4% 상회했다. 매출은 2조9901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8.6% 증가했다. 순이익은 1099억원으로 36.9% 줄었다.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은 8조8696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3.0% 늘었다. 이는 연간 목표액(10조9000억원)의 81.4%에 해당하는 수준이다.사업 부문별로 보면 주택건축사업 부문 5조5668억원, 토목사업 부문 1조7737억원, 플랜트사업 부문 1조2287억원, 기타 연결 종속 부문 3천4000원 등이다.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보다 13.9% 늘어난 5846억원, 당기순이익 역시 4.0% 증가한 4122억원을 기록했다.대우건설 관계자는 "고금리와 건설 자재비 상승 등으로 주택건축사업의 원가 부담이 지속하고 있지만, 토목 및 플랜트사업 부문의 성장세에 힘입어 매출이 확대됐고 영업이익도 시장기대치를 상회했다"고 말했다.이어 "기존 대형 프로젝트의 매출이 계속 발생하는 것과 함께 향후 신규 프로젝트도 실적에 기여할 것으로 보여 비주택 사업 부문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올해 들어 3분기까지 누적 신규 수주액은 9조189억원으로 연간 수주목표액(12조3000억원)의 73.3%를 달성한 상태다.이 가운데 신규 해외 수주액은 연간 목표액(1조8000억원)의 133.7% 수준인 2조4061억원을 기록해 초과 달성했다.3분기 말 기준 수주 잔고는 45조5455억원으로 연간 매출액 대비 4.4년 치의 일감을 확보하고 있다.대우건설 관계자는 "하반기에도 주요 해외 거점 국가에서 후속 수주와 신시장 확대가 기대된다"며 "양질의 수주에 기반한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를 확보해 올해 목표를 달성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3.10.27 09:17
금융·보험·재테크

경기침체에도 미 항공주는 웃는데…날개 못 펴는 국내 항공주

코로나19 엔데믹(풍토병화)에 따라 여객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미국 항공주들이 상승기류에 올라탄 반면, 국내 항공주들은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여객 회복에 대한 주가 반영이 4분기에는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나, 아직 분위기는 미지근하기만 하다. 6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미국 항공주는 9월 말부터 주가 상승기류에 올라탔다. 저점 수준에 있던 9월 30일 주가와 단순 비교하면 보잉은 현재 29.45% 올랐고 유나이티드항공 25.88%, 아메리칸항공 14.03%, 델타항공 13.93% 각각 상승했다. 델타항공의 3분기 매출은 139억8000만달러로 2019년 기록한 125억6000만달러를 상회해 팬데믹 이전 수준을 웃돌았고, 유나이티드항공은 지난 10월에 3분기 깜짝 실적을 발표한 데 이어 4분기에는 영업이익률이 팬데믹 이전인 2019년보다 높은 10%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에서는 지난 3일 대한항공이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는 호실적을 발표, 다음날인 4일 주가 상승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대한항공은 3분기 별도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91.3% 늘어난 8392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3조668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 늘었다. 당기순이익도 4314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22% 증가했다. 이에 4일 오전 9시 45분 기준 대한항공은 전날보다 750원(3.29%) 오른 2만3550원에 거래되며 분위기를 타기 시작하더니, 전날 대비 5% 상승한 2만3950원으로 기분 좋게 장을 마쳤다. 정연승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존 추정치 대비 여객부문에서 수송량 증가가 당사 추정치 대비 실적 강세 원인"이라며 "4분기에도 화물 운임 하락이 예상되나, 여객 부문 매출 증가로 시장 컨센서스(평균 전망치)를 상회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9월 말과 비교하면 여전히 11% 가까이 주가가 빠져 있는 상황이다. 아시아나항공의 경우에도 같은 기간 29% 넘게 주가가 내려간 1만1200원에 거래됐다. 저비용항공사는 말할 것도 없다. 지난 4일 기준 제주항공은 9월 대비 31.9% 하락한 1만250원에, 티웨이항공은 25.7% 내려간 1585원에 거래된 바 있다. 전 세계의 하늘길이 열리고 여객 수요가 빠르게 커지고 있지만, 우리나라 항공업계는 더딘 회복세를 보이며 주가 역시 상승세로 아직 돌아서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강성진 KB증권 연구원은 "여행 수요 회복 속도가 기존 예상을 하회한다"며 "고물가, 고환율, 고유가 등으로 여행 비용이 증가하고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강화되고 있기 때문에 여행수요가 2019년 이전 수준을 회복하기까지는 기존 예상보다 좀 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2.11.07 07:00
자동차

현대차, 3분기 매출 37.7조원…역대 최고 경신

현대자동차의 올해 3분기 매출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세타2 GDI 엔진과 관련한 품질비용 반영의 영향으로 애초 전망치를 크게 밑돌았다. 현대차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0.6% 증가한 37조7054억원을 기록해 역대 최고치를 달성한 지난 2분기(35조9999)를 넘어섰다고 24일 공시했다. 부품 수급 완화에 따른 판매 확대로 글로벌 판매(도매 기준)가 14.0% 증가하고, 믹스 개선과 고환율 효과가 기대되는 등 유리한 요인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다만 영업이익은 1조5518억원으로 집계으로 작년 3분기(1조6067억원)보다 3.4% 감소했다. 세타2 엔진 평생보증 프로그램 관련 품질비용 1조3600억원이 분기 실적에 반영된 여파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률도 4.1%로 전년 같은 기간(5.6%)보다 1.5%포인트 떨어졌다. 당기순이익 역시 1조4115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5.1% 감소했고, 경상이익은 2조420억원을 기록했다. 3분기 글로벌 판매량은 102만5000대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보다 판매량이 증가한 데는 부품 수급 완화에 따른 주력 모델 판매 증가와 전기차 판매 확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현대차는 분석했다.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판매 비중은 전년 동기 48.1%에서 50.6%로 확대됐고, 부품 수급 완화에 따라 싼타페, 투싼 등 플래그십 SUV 판매가 확대됐다.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 판매도 8.7% 증가했다. 3분기 글로벌 전기차 판매는 전년 대비 27.1% 늘었다. 전기차 판매 비중은 전년 동기 4.6%에서 3분기 5.1%로 높아졌다. 아이오닉5 판매 확대, GV60·아이오닉6의 신차 효과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현대차는 4분기 전망에 대해 "반도체 수급 개선에 따른 생산 확대로 판매 대수가 증가할 전망이며, 아이오닉6 유럽 판매 개시 및 아이오닉5 판매 호조세 지속으로 전기차 판매가 확대될 것"이라며 "그랜저 신형 모델 출시로 고부가 모델 판매가 계속 호조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2.10.24 15:50
금융·보험·재테크

3분기 '리딩뱅크' 또 신한이 쥘까

4대 금융지주가 3분기 성적 발표를 앞둔 가운데, 이번에도 신한금융지주가 '리딩뱅크' 자리를 이어갈지 관심이 집중된다. 2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신한·KB·우리·하나금융지주는 일제히 오는 25일 3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금융업계는 최근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것을 근거로 이번 분기에도 4대 금융지주가 호실적을 기록했을 것으로 전망한다. 금융정보 분석업체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신한금융의 올 3분기 당기순이익 전망치는 1조5591억원이다. 지난 2분기 신한금융은 순이익 1조3399억원으로 KB금융(1조3080억원)을 제치고 리딩뱅크 자리를 꿰찼는데, 이를 3분기에도 이어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 것이다. KB금융의 3분기 당기순이익 전망치는 1조2637억원으로 2분기 대비 소폭 하락했다. 올해 1분기에는 KB금융이 1조453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둬 신한금융 1조4004억원을 527억원 차이로 앞선 바 있다. 이에 지난 상반기 누적으로 보면 KB금융이 신한금융보다 앞서 있었다. 하지만 3분기 신한금융이 격차를 벌리면서 올해 '리딩뱅크' 지위가 누구에게 갈지 알 수 없게 됐다. 금융지주들은 올해 3분기에도 전반적으로 견조한 대출 수요가 이어진 데다가 기준금리 상승으로 순이자마진(NIM)이 개선되면서 호실적을 이어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 9월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695조원으로 전월(696조4509억원)에 비해1조4000억원가량 줄었지만 같은 기간 기업대출은 7조원 넘게 늘었다. 특히 신한금융의 경우 3분기 실적에는 증권 계열사인 신한투자증권 여의도 사옥 매각 대금 4600억원이 반영될 예정이다. 게다가 신한은행이 지난 4월 48조원 규모의 서울시 금고를 재유치에 성공한 영향도 이번 '리딩뱅크' 굳히기에 영향을 줬을 것으로 풀이된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신한금융은 3분기 순이자마진 개선 폭이 5~6bp로 예상돼 시중은행 중 가장 양호하고 시금고·구금고 유치 효과에 따라 저원가성 예금 방어력도 높아지면서 타 시중은행 대비 양호한 NIM 흐름이 당분간 지속할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3분기 순익도 일회성 사옥 매각익이 발생한 때문이기는 하지만, 약 1조6000억원에 근접하는 순익을 시현하면서 올해 연간 순익은 5조2000억원을 상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2.10.24 07:00
금융·보험·재테크

은행, 상반기 '9조' 이익 대박 예고…'고통 분담' 명분되나

금융지주사들이 올해 상반기에도 역대급 '이자 장사'를 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은행권은 눈치를 보느라 바쁜 모양새다. 금융당국이 고금리로 고통받는 차주들을 위한 금융지원책을 요구하고 나섰고, 정치권도 금리 부담을 취약층에 전가하면 안 된다고 강조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금융지주사들의 늘어난 이익이 되레 고통 분담의 명분이 되며 '관치금융' 우려가 나오고 있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지주들은 올해 2분기 실적을 이번 주 공시할 예정이다. KB금융지주는 21일, 나머지는 22일로 계획돼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지주의 올해 2분기 당기순이익 전망치 합산은 약 4조5300억원으로 예상된다. 1분기 4조5951억원 순익을 더하면 상반기 순이익이 9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예상대로라면 지난해 상반기 기록한 8조904억원을 넘어서게 된다.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지면서 은행의 이자부문 수익성 지표가 되는 순이자마진(NIM)이 개선되고 있는 모습이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6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2.38%로 5월보다 0.40%포인트 상승했다. 코픽스 상승은 향후 이자 이익 증가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기준금리는 연말 3%까지 도달할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금융통화위원회 후 간담회에서 "(시장에서) 연말까지 2.75%나 3% 금리 수준을 예측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고 말했다. 올해 금통위는 8월과 10월, 11월에 열린다. 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은행 NIM 추정치가 상향될 여지가 많다"면서 "NIM 상승과 자산 증대를 통한 이자이익 증가로 전체 실적이 견조한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호실적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지만, 은행은 미소를 감추고 있는 모습이다. 금리가 치솟으면서 영끌족의 이자 부담이 커지는 등 대출 이자에 대한 곡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이자수익 잔치'를 벌이기 어렵기 때문이다. 게다가 금융당국이나 정치권에서는 은행들의 호실적을 명분 삼아 '관치금융'이 강해질 것을 우려하는 모습이다. 이미 당국에서는 금융권의 고통 분담을 요구한 상황이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지난 11일 취임식 직후 기자들과 만나 "고객이 어려운데 은행이나 금융사는 돈을 많이 번다. 이게 상식적으로 맞는지에 대한 질문은 할 수 있다"며 "취약층에 대한 정부의 금융지원 대책 중 빠진 부분에 대해선 금융사가 답을 줘야 한다"고 했다. 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14일 “차주들이 급격한 상환부담을 겪지 않고 연착륙할 수 있도록 은행권에서 적극적으로 노력해 달라”고 강조했고, 같은 날 윤석열 대통령 역시 "금리 인상은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이지만, 그 부담이 사회적 약자에게 전가돼서는 안 될 것"이라며 쐐기를 박았다. 이에 은행 관계자는 "실적 공시 전이라 이익 증가 원인에 대해서는 얘기할 수 있는 부분이 없다"며 "은행은 취약차주 보호에 손을 놓지 않고 있고, 정부 방향에 맞춰 지속해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2.07.20 07:00
경제일반

가격 인상, 거리두기 해제에 소주·맥주 판매 '쑥쑥'

주류 업계가 코로나19로 인한 실적 악화 터널에서 빠져나왔다. 연초 가격 인상 효과에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가 맞물리며 올해 1분기 실적이 뚜렷하게 개선됐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칠성음료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597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4.9% 증가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6.2% 늘어난 6263억 원을 기록했다. 증권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1분기 컨센서스(증권사 평균 실적 전망치, 매출 6019억 원·영업이익 443억 원)를 훌쩍 웃돈 수치다. 소주, 와인 등 주류의 선전이 실적을 이끌었다. 실제 주류사업만 살펴보면 매출은 21.1% 증가한 1942억 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의 경우 133.5% 급증한 216억 원을 거뒀다. 특히 주종별로 매출 비중이 가장 큰 소주 매출이 19.9% 뛰었다. 올해 3월 '처음처럼' 등 출고가 인상이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하이트진로의 실적도 모처럼 웃었다. 1분기 매출이 583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1% 신장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58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7%, 당기순이익은 37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2% 증가했다. 이런 실적 개선은 맥주와 소주의 고른 매출 증가가 주효했다. 맥주사업부문 매출은 183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했고 소주사업부문 매출은 354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6% 신장했다. 여기에는 가격 인상에 따른 매출 상승효과도 반영됐다. 하이트진로는 지난 2월 23일 소주 제품의 출고가를 7.9% 인상한 데 이어, 3월 23일 맥주 제품 출고가를 평균 7.7% 인상했다. 자연스럽게 매출 상승효과와 함께 그간 수익성 악화의 원인이 됐던 원가부담을 상당 부분 해소했다는 평가다. 주류 업계의 호실적은 2분기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지난 4월부터 사회적 거리두기가 종료되며 본격적인 ‘리오프닝(외부 일상 활동 재개)’이 시작됐기 때문이다. 특히 직장인들을 중심으로 미뤄왔던 사적 모임도 활성화되며 유흥시장의 실적 반등이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맞춰 주류 업체들은 본격적인 여름 성수 마케팅에 돌입한 상태다. 하이트진로는 소주 '진로'의 새로운 영상 광고를 지난 12일부터 지상파, 케이블, IPTV, 온라인 등을 통해 내보내기 시작했다. 또 오는 17일부터 6월 26일까지 발포주 브랜드 '필라이트'의 캐릭터 '필리'와 LG유플러스의 대표 캐릭터 '무너'가 협업한 '틈핑페스티벌'을 개최한다. 행사 기간 강남역 일상비일상의틈에서 자연 속 글램핑을 즐기는 복합 체험공간을 선보인다. 방문자들은 나무로 둘러싼 공간에서 '불멍'을 즐길 수 있다. 롯데칠성음료는 강원 강릉에 위치한 보광 농촌 체험 휴양 마을 캠핑장에서 오는 16일부터 30일까지 '처음처럼 캠핑'을 진행한다. 또 맥주 '클라우드'의 경우 첫 번째 모델이었던 배우 전지현을 재발탁해 클라우드 신규 광고 캠페인을 선보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거리두기 완화로 인한 리오프닝 기대감이 늘고 있어 주류 업체들의 마케팅 경쟁은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2.05.16 07:00
경제

대우건설, 지난해 창사 이후 영업이익 최고치

대우건설이 지난해 창사 이래 영업이익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우건설은 27일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8조6852억원,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4849억원의 누계 실적을 기록했다 공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모두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7%, 32.2% 증가했다. 당기순이익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1.6%가량 늘었다. 사업부문별 매출은 주택건축사업부문 5조9016억원, 토목사업부문 1조4238억원, 플랜트 사업부문 8732억원, 베트남 하노이 THT 개발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는 연결종속기업 4866억원이다. 영업이익은 시장 예상치를 넘어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영업이익률은 최근 5개년 중 최대치였던 작년(6.9%)보다 1.6%포인트(p) 더 상승한 8.5%를 기록했다. 대우건설 측은 주택사업부문의 견고한 성장세를 바탕으로 나이지리아, 이라크 등 국내외 현장의 수익이 안정화되면서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대우건설은 지난해 2만8344가구를 공급하며, 3년 연속(201 9~2021년) 국내 주택공급 1위 자리를 지켰다. 특히 지난해 도시정비사업 분야에서 과천 주공5단지, 흑석11구역 등 총 15개 프로젝트(총 3조 8992억원)의 수주고를 올리며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대우건설은 지속적인 재무구조개선 활동을 통해 부채비율을 2019년 말 고점(290%) 대비 65%p 감소한 225%까지 낮췄다. 현금중심경영의 성과로 활용 가능한 현금성 자산 보유금액이 1조원 이상으로 늘어났다. 지난해 신규 수주는 11조 830억원을 기록했다. 대우건설은 현재 2020년 말보다 9.1% 증가한 41조 6000억원의 수주잔고를 보유해 연간 매출액 대비 4.8년 치 일감을 확보했다. 대우건설은 이날 매출 10조원, 신규 수주 12조 2000억원의 2022년 영업실적 전망치도 함께 공시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새로운 대주주 중흥그룹과 시너지를 통해 대한민국 1등 건설사로서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2.01.27 14:48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