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드라마

中, ‘폭싹’ 아이유·박보검 초상권 무단사용…서경덕 “도둑시청 시인한 꼴” [왓IS]

화제의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의 일부 장면이 중국에서 상품 광고에 무단 사용돼 논란이 일고 있다.14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개인 SNS에 중국의 한 마트에서 넷플릭스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 속 아이유와 박보검 사진을 상품 광고에 무단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알렸다.함께 공개된 사진 속 중국 허베이성 한 마트는 관식이가 애순이 옆에서 양배추를 대신 팔아주던 드라마 속 장면을 활용해 ‘양배추 달아요-양관식’이라는 설명을 달았다. 또 ‘애순이네 완두콩밥 지어보세요’, ‘이 조기 맞아요?’라는 설명을 달고 상품을 팔고 있다.서 교수는 “이는 중국에서 불법으로 시청한 후 배우들의 초상권을 마음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걸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며 “지금까지 중국은 ‘오징어게임’, ‘더 글로리’ 등 K콘텐츠에 등장한 한류 스타들의 초상권을 무단으로 버젓이 사용해 왔고, 더 나아가 짝퉁 상품을 만들어 판매해 자신들의 수익 구조로 삼아왔다”고 꼬집었다.그러면서 “잘 아시듯이 중국에서는 넷플릭스가 정식으로 서비스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러한 행위들이 계속해서 벌어지는 건 중국에서 몰래 훔쳐보고 있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시인한 꼴”이라며 “이젠 중국 당국이 나서야 할 때다. 자국민들의 불법행위에 대한 집중 단속을 펼쳐 다시는 이런 일들이 벌어지지 않도록 조치를 취해야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앞서 중국 장자제(장가계)시는 ‘폭싹 속았수다’ 속 장자제시 언급에 감사를 표하며 홍보에 활용하기도 했다. 이를 두고 서 교수는 “특히 공공기관이 이를 대외 홍보에 사용하는 것은 더 큰 문제”라며 “이제는 우리 정부가 강하게 항의해야 할 때”라고 비판한 바 있다.이주인 기자 juin27@edaily.co.kr 2025.04.14 16:08
연예일반

‘폭싹 속았수다’ 中서 불법시청 심각... 서경덕 교수 “기가막혀” 비판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중국 불법시청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20일 서경덕 교수는 자신의 SNS에 “전 세계 시청자들에게 큰 관심을 끌고 있는 넷플릭스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가 중국에서 또 불법 시청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라고 전했다.이어 “중국 누리꾼들은 ‘한국이 중국 문화를 훔쳤다’는 억지 주장을 펼칠 것이 아니다"라며 "다른 나라 콘텐츠를 존중할 줄 알아야 한다”고 일침을 가했다.현재 중국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더우반(豆瓣)에서 ‘폭싹 속았수다’의 리뷰 화면이 만들어졌고, 리뷰 개수는 3만여 개다. 중국에서는 넷플릭스 정식으로 서비스되지 않고 있기에 이는 명백한 불법시청이다.서 교수는 “지난 ‘오징어 게임 2’가 공개될 때도 그러더니 중국 내에서는 이제 ‘도둑시청’이 일상이 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런 행위에 대해 어떠한 부끄러움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 더 기가 막힐 따름”이라고 비판했다.김지혜 기자 jahye2@edaily.co.kr 2025.03.20 08:38
연예일반

中, ‘우영우’ 도둑시청 이어 의상까지 베꼈다…서경덕 “전형적 내로남불”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중국의 ‘내로남불’ 행태를 꼬집었다. 지난 23일(현지시간) 약 50명의 중국 유학생들이 디올 프랑스 파리 샹젤리제 거리 플래그십 매장 앞에서 디올이 중국 전통 의상을 표절했다며 항의 시위를 진행했다.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 웨이보에는 ‘디올 표절’ 키워드가 실시간 검색어 1위를 차지하는 등 중국 내 디올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 서경덕 교수는 27일 인스타그램에 “최근 프랑스 파리에서 중국 유학생들이 세계적 패션 브랜드 디올이 중국 전통 치마를 표절했다며 항의 시위를 벌였다고 한다”며 “디올이 최근 출시한 치마가 중국 한족 여성들이 입었던 ‘마멘췬’을 모방했다는 것이 이유”라고 글을 게재했다. 이어 “이번 사태를 보면서 자신들 문화는 지키려고 발버둥 치면서 남의 나라 문화는 표절해도 상관없는 그야말로 전형적 내로남불 행태”라고 비판하며 “지금까지 (중국은) 얼마나 많은 한국 문화를 표절했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중국 스트리밍 사이트 유쿠가 선보인 ‘오징어의 승리’가 ‘오징어 게임’을 표절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고 BBC가 보도해 국제적 망신을 당했다. 최근에는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속 우영우가 착용한 재킷과 가방 등이 카피 상품으로 둔갑해 타오바오에서 버젓이 판매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ENA채널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인기를 얻으면서 관련된 제품이 중국 최대 마켓 타오바오에 판매돼 ‘완판’을 이어가고 있다. 심지어 ‘우영우’의 극중 장면까지 불법 캡쳐해 상품을 소개하는 등 해당 제품이 마치 우영우가 착용한 제품인 것처럼 판매했다. 서경덕 교수는 “중국은 디올에게 뭐라할 자격이 없다. 만약 자신들의 문화를 보호받고 싶다면 다른 나라 문화를 먼저 존중할 줄 아는 법을 배워야만 할 것”이라며 일침을 날렸다. 박로사 기자 terarosa@edaily.co.kr 2022.07.27 18:21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