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스포츠일반

한국, 덴마크에 1-3 패배… 월드챔피언십 6연패

'톱 디비전'의 벽은 역시 높았다. 백지선 감독이 이끄는 한국 남자 아이스하키 대표팀이 2018 국제아이스하키연맹(IIHF) 아이스하키 월드챔피언십 6차전에서 가장 좋은 경기를 펼쳤으나 연패 사슬을 끊지 못했다. 세계 랭킹 18위의 한국은 13일(한국시간) 덴마크 헤르닝의 유스케 뱅크 복슨 링크에서 열린 2018 WC 조별리그 B조 6차전에서 홈팀 덴마크를 맞아 시종 대등한 경기를 펼치며 선전했지만 1-4(0-0, 1-2, 0-1)로 졌다. 6연패로 B조 최하위에 머문 한국은 14일 밤 11시 15분 같은 장소에서 열리는 최종 7차전에서 노르웨이를 상대로 마지막 승부를 펼친다. 한국은 현재 6연패의 부진을 보이고 있지만 당초 목표로 한 월드챔피언십 잔류 가능성은 아직 남아있다. 5경기에서 승점 3을 기록하고 있는 노르웨이가 13일 밤 열리는 6차전에서 강호 미국(승점 13)을 상대로 승점을 따내지 못할 경우, 한국은 7차전에서 노르웨이를 3피리어드 내에 이기면 승자승 원칙으로 노르웨이를 제치고 B조 7위가 돼 월드챔피언십에 잔류할 수 있다. 비록 패배했지만 덴마크전은 노르웨이와의 마지막 경기에 대한 희망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경기였다. 마지막 고비를 넘기지 못하고 패배했지만 한국은 북미아이스하키리그(NHL) 정상급 수문장인 프레드릭 앤더슨(토론토 메이플립스)이 골문을 지키고 프란스 닐슨(디트로이트 레드윙스) 미켈 보드커(샌호제 샤크스) 올리버 비욕스트랜드(콜럼버스 블루재키츠) 등 NHL 스타가 포진한 덴마크를 상대로 대등한 경기를 펼쳤다. 이총현(연세대)을 1라인 라이트 윙으로 올리고 앞선 5경기에 출전하지 않은 송형철(한라)을 4라인 레프트 윙으로 기용하는 등 라인업에 변화를 준 한국은 1피리어드를 0-0으로 마치며 무난한 출발을 보였다. 이번 대회 들어 한국이 1피리어드를 실점 없이 넘긴 것은 덴마크전이 처음이다. 승부는 파워 플레이 상황에서의 집중력에서 갈렸다. 한국은 2피리어드 시작 52초 만에 이돈구(한라)가 홀딩 반칙으로 퇴장 당하며 첫 번째 숏핸디드에 몰렸다. 2분간 덴마크의 파상 공세를 잘 막아냈지만 이돈구의 페널티가 종료된 직후인 2분 55초에 프란스 닐슨이 한국 골문 오른쪽 탑 코너를 찌르는 예리한 리스터로 선제골을 성공시켰다. 2피리어드 4분께 역습 상황에서 덴마크의 슈팅이 골대를 맞는 행운으로 추가 실점 위기를 넘긴 한국은 곧바로 이어진 반격에서 김상욱-김기성(이상 한라) 형제가 동점골을 합작해냈다. 김상욱이 상대 골문 뒤쪽 공간에서 퍽을 가로챘고 패스를 연결 받은 김기성이 강력한 리스트샷으로 덴마크 골 네트를 갈랐다. 뉴트럴존을 지키며 역습 기회를 노리는 한국의 전술에 고전하던 덴마크는 2피리어드 12분 14초에 빠른 역습을 전개해 균형을 깨뜨렸다. 한국 디펜시브존 왼쪽을 파고 든 올리버 비욕스트랜드가 빨랫줄 같은 크로스 아이스 패스를 내줬고 반대쪽에서 쇄도하던 예스퍼 옌슨이 마무리했다. 한국은 2피리어드 종료 1분 33초를 남기고 첫 번째 파워 플레이 찬스를 잡았고 종료 17초를 남기고 마이클 스위프트가 랩어라운드 후 내준 패스를 이총현이 슈팅으로 연결했지만 프레드릭 앤더슨의 정면으로 향해 동점골 찬스를 놓쳤다. 한국은 3피리어드 4분 1초에 니클라스 하르트의 홀딩 반칙으로 두 번째 파워 플레이 찬스를 잡았지만 득점으로 연결하지 못했다. 반면 덴마크는 불안한 리드를 이어가던 3피리어드 15분 50초에 브락 라던스키(한라)의 인터피어런스 반칙으로 잡은 파워 플레이 찬스에서 쐐기골을 뽑아내며 승부를 갈랐다. 16분 35초에 프란스 닐슨이 오펜시브존 오른쪽 서클에서 강력한 슈팅을 날렸고 골 크리스 앞에 있던 하르트가 팁인으로 마무리했다. 경기 종료 2분 25초를 앞두고 타임 아웃을 불러 선수들을 안정시킨 백지선 감독은 종료 1분 47초를 남기고 골리 맷 달튼을 빼고 추가 공격수를 투입하며 안간힘을 다했지만 덴마크 골문을 열지 못하고 종료 버저를 맞았다. 김희선 기자 kim.heeseon@jtbc.co.kr 2018.05.13 11:10
연예

"뜨겁다 추워" 족두리 쓰고 한국어 밀당 보여준 케이티 페리

미국 ‘팝의 여왕’ 케이티 페리(34)는 유난히 한국과는 인연이 없었다. 여성 뮤지션으로서는 최초로 2010년 발매된 2집 ‘틴에이지 드림(Teenage Dream)’의 수록곡 5곡을 빌보드 싱글 차트 1위에 올리고, 지난해 8월에는 트위터 팔로워 1억명을 돌파하며 세계에서 가장 많은 팔로워 수를 자랑하는 슈퍼스타지만 한국에서는 절친 리아나나 레이디 가가에 비해 ‘낯선’ 팝스타였기 때문이다. 2001년 데뷔 이후 첫 방한까지 17년이 걸린 것도 상대적으로 낮은 인지도가 한몫했을 것이다. 6일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위트니스 더 투어(Witness: The Tour)’는 이 같은 오해를 불식시키기 충분했다. 지난해 6월 발매된 정규 4집 ‘위트니스’를 기념해 9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시작해 오는 8월 뉴질랜드 오클랜드까지 전 세계 90개 도시를 도는 대장정에 이름을 올린 서울은 예매 10분 만에 1만5000석이 매진됐다. 페리는 밀당의 고수답게 관객을 쥐락펴락하며 110분간 쫄깃한 공연을 이어갔다. 총 6부로 구성된 공연은 탄탄한 스토리텔링을 자랑했다. 눈 모양의 화면이 전체 무대를 관통하는 가운데 1부 ‘성명(Manifesto)’에서는 ‘위트니스’ ‘룰렛’ 등 신곡으로 지금의 자신을 규정하고, 2부 ‘회고(Retrospective)’에서는 예전 히트곡을 선보이는 식이었다. 의상과 영상도 무대와 완벽한 조화를 이뤘다. 타이트한 레드 수트에 족두리를 쓰고 등장한 페리의 의상이 화이트 체크무늬 수트로 바뀌면 같은 패턴의 리프트 무대가 올라왔다. 페리가 착용한 브라톱은 ‘HOT’ ‘COLD’ 등 노래 가사를 비추며 그 자체로 전광판 역할을 하기도 했다. “미국에서 공수된 무대 장비만 100t에 달한다”는 주최 측의 설명처럼 매 곡마다 새로운 무대 장치가 등장했고, 백댄서 의상도 곡마다 바뀌었다. 이들은 TV 모양 탈을 뒤집어쓰고 그로테스크한 춤사위로 흥을 돋웠고, 무대 위에 피어난 대형 장미를 봉 삼아 폴댄스를 선보이는 등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며 다채로운 무대를 이끌었다. 한시도 쉬지 않고 움직이며 뽐내는 페리의 라이브를 더욱 돋보이게 만들어준 것이다. 직접 곡을 만드는 싱어송라이터로서 남다른 해석과 감각적인 연출로 단순히 노래만 잘한다고 해서 팝의 여왕이 될 수 없음을 스스로 증명한 셈이다. 지난해 내한 당시 각각 무성의한 무대와 립싱크로 논란을 빚은 아리아나 그란데나 브리트니 스피어스와 달리 페리는 소통과 교감에도 상당한 공을 들였다. “너무 늦게 와서 미안하다”며 팬들을 향해 무릎을 꿇고 ‘인투 미 시 유(Into Me See You)’를 부른 그는 “한국 문화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어 너무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 “제가 아는 한국어가 많지는 않다”고 했지만, 히트곡 ‘핫 앤 콜드(Hot N Cold)’를 어떻게 발음하냐고 묻더니 “뜨겁다 추워”라고 답하거나 ‘아이 키스드 어 걸(I Kissed A Girl)’을 “여자랑 키스했어”라고 소개하는 등 꽤 많은 한국어를 선보였다. ‘세상에서 가장 멋진 한국식 하트’라 칭하며 연신 손가락 하트를 보내기도 했다. 2015년 슈퍼볼 하프타임 무대 이후 페리의 트레이드 마크가 된 ‘레프트 샤크(Left Shark)’도 등장했다. 당시 백댄서로 등장한 왼쪽 상어는 훌륭한 안무를 선보인 오른쪽 상어와 달리 어설픈 모습으로 큰 화제를 모았다. 페리는 “오른쪽 상어를 찾는다”며 상어 의상을 입고 온 한국 관객을 무대 위로 불러내 포옹하고 셀카를 찍었다. 이날 공연장에는 상어를 비롯해 페리의 무대 의상이나 핼러윈 의상을 코스튬플레이하고 온 관객들도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일부 해외 공연에서 “특별한 의상 덕분에 ‘팬미팅(Meet and Greet)’ 추가 당첨 기회를 얻었다”는 후기를 보고 꽃샘추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과감한 의상을 준비한 것이다. ‘성적 탐구(Sexual Discovery)’와 ‘자아성찰(Introspective)’을 거쳐 ‘부상(Emergence)’으로 이어진 공연은 앙코르 무대까지 완벽한 스타일링을 선보였다. 손 모양의 거대한 석고상 위에서 ‘파이어워크(Firework)’를 부르며 작별을 고했다. 비록 셋리스트(선곡표)에서 한두곡이 빠졌다고 섭섭해하는 팬들이 있을진 모르겠지만 오랜 갈증을 풀기엔 충분했다. 그보다는 진정성 있는 소통이 보여준 감동이 훨씬 더 컸기 때문이다. 더구나 ‘라스트 프라이데이 나이트(Last Friday Night)’를 진짜 금요일에 들은 건 아시아에서도 서울과 홍콩뿐이다. 온라인 일간스포츠 2018.04.07 12:08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