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6건
뮤직

‘이모 록 신화’ 마이케미컬로맨스, 내년 4월 18년만에 내한

밴드 마이 케미컬 로맨스가 18년 만에 한국을 찾는다.7일 유얼라이브에 따르면 마이 케미컬 로맨스는 오는 2026년 4월 18일 인천 파라다이스시티 컬처파크에서 단독 내한 공연을 펼친다. 지난 2008년 단 한 차례 연 내한 공연 이후 18년 만이다. 제라드 웨이(보컬), 마이키 웨이(베이스), 레이 토로(리드 기타), 프랭크 아이에로(리듬 기타)로 구성된 마이 케미컬 로맨스는 2001년 결성된 밴드로, 2002년 1집 ‘I Brought You My Bullets, You Brought Me Your Love’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4장의 정규 앨범을 발표했다.2004년 2집 ‘Three Cheers for Sweet Revenge’와 2006년 3집 ‘The Black Parade’는 이모(emo) 장르를 주류로 이끈 대표작으로 손꼽히며, 밴드를 전 세계적인 이모컬트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시켰다. 이어 2010년 발표한 4집 ‘Danger Days: The True Lives of the Fabulous Killjoys’에서는 미래 디스토피아 세계관을 배경으로 새로운 사운드와 비주얼을 선보이며 밴드의 실험성과 확장 가능성을 입증했다.마이 케미컬 로맨스는 특유의 극적인 서사와 강렬한 비주얼로 열광적인 팬덤을 형성해왔으며, ‘Welcome to the Black Parade’, ‘Helena’, ‘Famous Last Words’, ‘Teenagers’ 등 수많은 히트곡을 통해 대중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인정받았다. 특히 록 오페라 형식의 콘셉트 앨범 ‘The Black Parade’의 수록곡 ‘Welcome to the Black Parade’는 영국 오피셜 싱글 차트 1위를 석권함과 동시에 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록 음악을 형성한 500곡’에 꼽히기도 하였다.2013년 해체 후 2019년 전격 재결합한 마이 케미컬 로맨스는 2022년 유럽 재결합 투어를 통해 약 2천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기록하며 성공적인 복귀를 알렸다. 박세연 기자 psyon@edaily.co.kr 2025.07.07 22:07
스포츠일반

네 개의 다리, 하나의 심장으로 춤추는 탱고 [이정우의 스포츠 랩소디]

1992년 개봉한 ‘여인의 향기(Scent of a Woman)’란 영화가 있다. 크리스마스에 고향에 갈 경비를 모으기 위해 고등학생인 찰리(크리스 오도넬)는 추수감사절 주말 동안 시력을 잃은 퇴역 장교 프랭크 슬레이드(알 파치노)를 돌보게 된다. 찰리와 뉴욕에 여행을 간 슬레이드 중령은 한 식당에서 처음 만난 도나(가브리엘 앤워)에게 탱고를 추자고 제안한다.탱고에 자신이 없던 도나는 망설인다. 그러자 슬레이드는 “No mistakes in the tango, darling, not like life. It’s simple. That’s what makes the tango so great. If you make a mistake, get all tangled up, just tango on(탱고에는 실수가 없답니다. 인생과는 다르죠. 간단해요. 그게 탱고를 멋지게 만드는 것입니다. 실수해서 몸이 엉켜도 그냥 탱고를 계속하면 돼요)”라고 말한다.결국 둘은 유명한 탱고 음악 ‘포르 우나 카베사(Por Una Cabeza)’에 맞춰 멋지게 춤을 춘다. 영화의 러닝 타임 157분 중 탱고 씬은 2분여에 불과하다. 이 장면 이후 도나는 더 이상 영화에 등장하지도 않는다. 하지만 이 탱고 씬은 영화 제목에 걸맞은 명장면으로 많은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게 된다. 필자 역시 이 장면으로 인해 탱고에 관심이 생겼다. 탱고의 역사는 풍부하고 복잡하며, 아르헨티나의 사회, 문화, 정치 발전과 깊이 얽혀 있다. 탱고는 19세기 말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노동자 계층이 사는 지역, 특히 라 보카와 산 텔모와 같은 항구 지역에서 탄생했다.당시의 부에노스아이레스는 유럽(특히 이탈리아와 스페인)에서 온 이민자들, 아프리카 노예들의 후손과 남미 대륙의 원주민들로 가득한 다문화 도시였다. 탱고는 이러한 다양한 문화를 바탕으로 독특한 모습을 가진 채 발전하게 된다. 따라서 라틴과 아프리카 리듬의 결합, 19세기 아르헨티나에 유입된 다양한 민족이 없었다면 탱고는 결코 탄생할 수 없었을 것이다.초창기의 탱고는 크게 3가지 이유로 아르헨티나의 지배층에게 경멸의 대상이 되었다. 첫째, 탱고는 하층민과 같은 소외된 집단과 문명화되지 않은 아프리카계 이민자들과 연관되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탱고는 저속하고 부도덕한 춤으로 여겨져 사회에서 존경받을 수 없었다. 둘째, 탱고는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매춘업소 및 허름한 술집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기 때문에 지배층은 이 또한 불명예스러운 것으로 여겼다. 셋째, 초기 탱고의 많은 가사와 동작은 외설적이었기 때문에 지배층의 춤에 대한 경멸이 커졌다.탱고의 이러한 특성은 유럽의 세련미를 강조하는 아르헨티나의 정체성을 홍보하려는 지배층의 민족주의 의제에서 크게 벗어난 것이었다. 따라서 탱고는 아르헨티나 문화에 대한 위협으로 여겨졌다.하지만 탱고에 대한 경멸적인 인식이 바뀐 계기가 생긴다. 20세기 초 부에노스아이레스의 탱고 댄서들과 오케스트라는 유럽으로 건너가 공연하게 되는데, 프랑스의 수도 파리에서 유럽 최초의 탱고 열풍이 분 것이다. 이러한 열풍은 곧이어 런던, 베를린, 비엔나, 로마 등 다른 유럽 도시로도 확산되었다. 1913년에는 북유럽의 핀란드와 미국의 뉴욕까지 탱고 열풍이 불어닥쳤다.이러자 탱고를 바라보는 아르헨티나 현지의 인식도 바뀌게 된다. 한마디로 아르헨티나산 “국뽕”이 터진 것이다. 자연스럽게 아르헨티나의 중산층을 비롯해 상류층도 탱고를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는 아르헨티나에서 탱고의 문화적 황금기였다. 탱고는 영화, 라디오, 연극에 빈번하게 등장했다. 탱고를 추는 댄스 홀인 ‘밀롱가(milonga)’도 호황을 누렸다. 아르헨티나를 지배하는 엔터테인먼트가 된 탱고는 국가의 상징으로 칭송받게 된 것이다.그럼에도 탱고는 1950년대 후반 경제 불황과 군사 독재 정권의 대중 모임 금지로 인해 쇠퇴기에 접어든다. 당시의 관습이었던 남성 전용 탱고 연습은 '대중 모임'으로 간주됐기 때문이다. 탱고는 지하로 숨어들었고, 소규모 동호회 형식으로 명맥을 유지하게 된다. 그 결과 탱고 대신 대중 모임이 필요하지 않았던 로큰롤이 반사 인기를 얻는다.시간이 흘러 1980년대 후반 아르헨티나에서 탱고는 오스발도 페레도의 노력으로 다시 부활하게 된다. 탱고는 현재 100개국 이상에서 사랑받고 있고, 2009년에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탱고는 쉽게 말해 파트너가 서로 안은 채 음악에 맞춰 걷는 춤이다. 탱고에는 ‘리드(lead, 남자)’와 ‘팔로우(follow, 여자)’라는 두 가지 역할이 있다. 리드가 동작을 시작하면 팔로우가 이를 실행하고, 탱고는 두 사람 사이에 깊은 유대감을 느낄 수 있는 친밀한 춤이다.또한 탱고는 안무를 미리 정해놓고 추는 춤이 아닌 밀롱가에서 만난 사람들끼리 즉흥으로 추는 춤이다. 따라서 탱고는 다른 소셜 댄스에 비해 진입 장벽이 높다. 살사, 스윙 댄스 등은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안에 무대에 설 수 있다. 그에 반해 탱고는 기본적인 테크닉과 파트너와의 교감을 익히는 데만 해도 최소 수개월에서 수년이 소요되는 경우가 많다.탱고는 박자에 따라 리드가 미묘한 신호를 주고 이를 팔로우가 캐치해야 한다. 게다가 탱고는 댄서들이 무게 중심을 낮게 잡고 밀착된 자세로 하나가 되어 움직여야 하는데, 이는 하나의 통일된 존재라는 느낌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즉흥성과 일체성 때문에 “네 개의 다리, 하나의 심장으로 춤추는 탱고(Tango dancing with four legs, one heart)"라고 불린다. 2025.06.07 11:11
스타

엑스디너리 히어로즈 “최종 목표는 로큰롤 명예의 전당” [IS인터뷰]

“손가락 발가락 다 써도 셀 수 없을 정도로 수많은 곡을 가지고 있어요.”데뷔 3년 차가 된 엑스디너리 히어로즈는 강한 자신감을 보였다. 직접 가사를 쓰고 곡을 만드니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이들은 지난 14일 다섯 번째 미니앨범 ‘리브 앤드 폴’을 발매하고 ‘2024 엑스페리먼트 프로젝트’를 매듭지었다. 엑스디너리 히어로즈는 최근 서울 성수동 한 카페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2024 엑스페리먼트 프로젝트’를 마무리할 수 있게 돼 홀가분하다고 말했다. 멤버들은 한 달마다 곡을 내고 공연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올 한 해에만 첫 정규앨범을 포함해 6개의 앨범을 발표했다. 디지털 싱글 시리즈 ‘오픈 베타’를 통해 6월 ‘소년만화’, 7월 ‘러브 앤드 피어’, 8월 ‘세이브 미’ 그리고 9월 ‘인스테드’ 총 4곡의 신곡을 발표했는데 이번 앨범에 모두 실렸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팬들과 돈독한 유대감은 물론, 팬들의 플레이리스트까지 꽉 채워줬다. 오드는 “데이식스 선배가 ‘에브리데이 식스’라는 선례를 남겨둬서 우리도 비슷한 프로젝트를 구상하게 됐다. 하면서 힘든 순간도 있었지만, 팀의 능력치가 올라간 기분”이라고 전했다. ‘리브 앤드 폴’은 가을에 맞춰 발매하는 앨범인 만큼 특별히 록 발라드로 타이틀 곡을 선정했다. 타이틀 곡 ‘나이트 비포 디 엔드’는 제목 그대로 청춘이 걸어가고 있는 삶의 마디마디에서 포착한 생동감(LIVE)과 추락(FALL)의 순간들을 다룬 노래다. 서정적인 베이스 리프와 아련한 멜로디가 고독한 가을 감성을 극대화한다.건일은 “올해 초 ‘트러블슈팅’ 정규앨범을 준비하면서 가을에는 신선하게 발라드 록 타이틀을 해보자고 의견을 냈다. 멤버들 모두 만장일치로 ‘너무 좋다’고 해서 미리 앞서 계획한 노래”라고 설명했다. 또 건일은 앨범명에 있는 ‘리브’와 ‘폴’ 대비되는 두 단어를 주목해달라고 했다. “삶이라는 게 그렇잖아요. 넘어지고 추락할 때 있고 이걸 계기로 다시 일어서기도 하고 이런 순간들의 반복이라고 생각해요. 삶의 생동감과 무너짐을 동시에 표현하고 싶었어요.”삶의 꼭대기에서 추락하는 절망감을 생생하게 표현한 뮤직비디오도 이목을 끈다. 영상 속 여섯 멤버들은 푸르스름한 하늘을 배경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허름한 건물 위에 서 있던 멤버들은 하늘에서 추락, 저마다 슬픔을 표정으로 연기한다. 엑스디너리 히어로즈는 이번 뮤직비디오 촬영을 위해 와이어 액션을 소화했다. 여섯 멤버 모두가 와이어에 매달려 연기하는 건 처음이었다. 내면의 깊은 감정을 연기해야 하는 어려움은 없었을까. 주연은 의외의 대답을 들려줬다. “사실 타이틀 곡 제목이 처음에는 ‘운석이 떨어지기 전 한 시간’이었어요. 너무 절망스러운 상황이지만 어쩔 수 없이 운명을 받아들여야 하는 내용이었죠. 그때 곡을 작업했던 마음을 계속 상기하면서 연기를 하니까 수월하더라고요. (웃음)” 발라드곡을 타이틀로 선정하면서 악기를 다루는 방법도 조금 달라졌다. 가온은 “발라드는 한 악기 한 악기가 굉장히 잘 들리는 장르다. 저희가 원래 하드록 위주의 음악을 했던 만큼 조금 더 집중력 있고 섬세하게 연주해야 했다”고 말했다. 2021년 결성돼 데뷔 3주년을 앞둔 이들은 신보 발매 이후인 다음 달 15~17일에는 서울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단독콘서트도 개최한다. 4월부터 지난달까지 총 15회 전석 매진을 기록한 콘서트 시리즈 ‘클로즈드 베타’보다 2배 이상 큰 규모다. 이 성장의 과정은 멤버들에 대한 신뢰와 믿음이 바탕이 됐다. 매 앨범 ‘엑스디너리 히어로즈’ 이름으로 크래딧이 올라오는 것만 봐도 그렇다. 성장의 결말은 어디일까. 건일은 당장의 흥행이 아닌, 성장에 대한 열망을 드러냈다. 가까운 미래의 목표는 공들여서 작업한 자신들의 노래가 멜론 톱100 등 메인스트림 차트에 진입하는 것이다. 멤버 가온은 “당장은 아니지만…”이라며 목표를 올려잡았다.“최근 해외 팬들이 윤도현 선배님과 함께한 ‘인스테드’ 노래를 보며 ‘K팝 가수도 이런 음악을 할 수 있다니’ 하면서 놀라워 하는 것을 봤어요. 그런 반응을 보면서 로큰롤 명예의 전당을 최종 목표로 삼았습니다.”김지혜 기자 jahye2@edaily.co.kr 2024.10.18 05:45
연예일반

‘로큰롤 여왕’ 티나 터너 별세…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놓인 추모 꽃다발

한 시대를 풍미했던 ‘로큰롤 여왕’ 티나 터너가 8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24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터너는 이날 오랜 투병 끝에 스위스 취리히 근처 퀴스나흐트에 있는 자택에서 숨을 거뒀다.티나 터너는 롤링스톤지가 선정한 ‘백 명의 위대한 아티스트’에 선정된 인물이며, 로스앤젤레스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자신의 별을 갖고 있는 로큰롤 여제이다. 티나 터너의 소식이 전해진 후, 팬들은 그를 추모하기 위해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를 찾았다. 티나 터너의 이름 위에 꽃다발과 포스트잇, 선글라스 등을 놓으며 애도의 뜻을 전했다.동료들의 추모도 이어졌다. 전설의 록밴드 롤링스톤즈의 믹 재거는 SNS에 터너와 함께 찍었던 사진을 올리고 “나의 멋진 친구 터너의 죽음이 너무 슬프다. 터너는 진정으로 엄청난 재능을 지닌 퍼포머이자 가수였다”며 “그는 영감을 주었고, 따뜻하고 재미있고 관대한 사람이었다. 나는 그를 절대 잊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1985년 터너와 함께 ‘잇츠 온리 러브’를 부른 캐나다 가수 브라이언 아담스도 “고인의 명복을 빈다”며 “전 세계 수만 명의 사람들에게 영감을 선사해줘서 고맙다. 터너의 가족들에게 애도를 표한다”고 전했다.터너는 1950년대부터 활동을 시작해 특히 1970∼80년대 전성기를 누렸다. 그래미 시상식에서는 통산 8차례 수상했다. 1980년대에는 12곡의 노래를 ‘탑40’에 올렸다. 1988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펼친 공연은 18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기도 했다.권혜미 기자 emily00a@edaily.co.kr 2023.05.25 09:21
뮤직

美 포크 음악 ‘산 증인’ 데이비드 크로스비 별세

미국 포크 음악의 ‘산 증인’으로 불리는 싱어송라이터 데이비드 크로스비가 사망했다. 향년 81세.미국의 연예매체 버라이어티는 20일(한국시간) “데이비드 크로스비가 투병 끝에 작고했다”고 보도했다.이날 고인의 부인은 “우리가 사랑하는 데이비드 크로스비가 오랜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나 매우 슬프다”며 부고를 알렸다.1941년생인 크로스비는 크로스비 스탤스 앤 내시(CSN), 더 버즈 등의 그룹에서 활동하며 1960∼1970년대를 풍미한 전설적인 포크 가수다.특히 더 버즈 시절 밥 딜런의 원곡 ‘미스터 탬버린 맨’을 다시 불러 큰 인기를 얻기도 했다.고인은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두 차례 헌액됐다.이현아 기자 lalalast@edaily.co.kr 2023.01.20 10:22
해외연예

‘세계 3대 기타리스트’ 제프 벡 별세…향년 78세

영국 출신 기타리스트 제프 벡이 세상을 떠났다. 향년 78세.제프 백 공식 홈페이지는 지난 11일(한국시간) 성명을 통해 “제프 벡이 급성 세균성 수막염으로 어제 평화롭게 세상을 떠났다. 깊은 슬픔 속 제프 벡의 가족을 대신해 그가 사망했음을 알린다”고 전했다.제프 벡은 에릭 클랩튼, 지미 페이지와 함께 세계 3대 기타리스트로 꼽히며 국내 팬들에게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나이트시프트’(Nightshift), ‘더 트라이던트’(The Tridents) 등 작은 밴드에서 활약하던 중 1965년 밴드 ‘야드버즈’(Yardbirds)에 에릭 클랩튼 후임으로 영입되면서 본격적으로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1967년 ‘야드버즈’에서 탈퇴한 제프 벡은 로드 스튜어트를 보컬로 영입한 후 ‘제프 벡 그룹’(The Jeff Beck Group)을 결성했다. 이후 그는 ‘트루스’(Truth), ‘벡-올라’(Beck-Ola) 등의 앨범 활동을 통해 세계적인 기타리스트로 명성을 떨쳤다.제프 백은 그래미 어워드에서 8회 수상을 기록하며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렸으며 미국 롤링스톤스 선정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기타리스트’ 5위에 선정됐다.제프 벡은 한국 팬들과 인연도 깊었다. 지난 2010년 3월 첫 내한 공연 이후 2014년과 2017년에도 한국을 찾았다. 특히 세월호 참사 직후 열린 두 번째 내한 공연에서는 노란 리본을 달고 나와 희생자를 기리고 싶다며 ‘피플 겟 레디’(People Get Ready)를 연주하기도 했다.제프 백의 부고에 동료들의 애도가 이어지고 있다. 헤비메탈의 시초로 여겨지는 밴드 블랙 사바스의 기타리스트 토니 아이오미는 SNS에 “제프 백은 말 좋은 사람이자 (대중음악계의) 상징적 인물이었으며 천재적인 기타리스트였다. 그와 같은 사람은 또 나올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밴드 롤링 스톤스의 보컬 믹 재거는 “훌륭한 사람이자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기타 연주자 중 한 명을 잃었다”고 애도했으며, 영국 가수 폴 영 역시 “전설적인 기타리스트 제프 벡의 갑작스러운 죽음에 충격을 받았다”며 “그는 주변의 모든 사람에게 사랑받았다 기타리스트들의 기타리스트였다”고 추모했다.이세빈 기자 sebi0525@edaily.co.kr 2023.01.12 21:17
연예일반

아이유·정국, 영향력 입증…美롤링스톤 '역대 가장 위대한 가수 200人' 선정

가수 아이유와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멤버 정국이 미국 유명 음악지 롤링스톤이 선정한 역대 가수들 중 가장 위대한 200명 안에 들었다. 1일 롤링스톤은 사내 직원들과 주요 기고가들의 의견을 종합해 지난 100년간 대중음악계에서 활동한 가수를 대상으로 선정한 ‘역대 가장 위대한 가수 200(The 200 Greatest Singers of All Time)’ 순위를 발표했다. 아이유는 팝스타 크리스티나 아길레라(141위), 컨트리 음악의 전설 멀 해거드(138위), 미국 대중음악계 최고 권위 시상식 그래미 어워즈 8관왕에 오른 로린 힐(136위)을 제치고 135위에 올랐다. 롤링스톤은 “아이유는 2010년 히트곡 ‘좋은 날’ 이후 한국 음악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가수 중 한 명”이라며 “폭넓은 음역대와 강력한 전달력, 그리고 보사노바에서 90년대 실내 팝, 재즈에서 발라드로 쉽게 움직일 수 있는 다재다능함을 가졌다”고 소개했다. 반면 정국은 191위에 이름을 올렸다. 롤링스톤은 정국에 대해 “방탄소년단의 막내 멤버로서 다양한 활동을 하며 폭넓은 재능을 자랑한다”며 “어린 나이에 성공했음에도 매우 근면하고 겸손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설명했다. ‘역대 가장 위대한 가수 200’ 1위는 그래미 트로피를 18차례나 들어 올리고, 1987년 여성 가수 최초로 미국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입성한 어리사 프랭클린이 차지했다. ‘아이 윌 올웨이즈 러브 유(I Will Always Love You)’를 부른 팝의 여왕 휘트니 휴스턴이 2위에 올랐다. 권혜미 기자 emily00a@edaily.co.kr 2023.01.02 16:52
해외연예

‘컨트리 여왕’ 돌리 파튼·래퍼 에미넴, 로큰롤 명예의 전당 입성

미국 컨트리 뮤직의 여왕으로 불리는 돌리 파튼과 래퍼 에미넴이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로큰롤 명예의 전당 재단은 7일(한국시간) 돌리 파튼과 에미넴을 2022년 헌액 대상자로 선정했다. 앞서 돌리 파튼은 헌액 후보로 지명됐을 당시 “내가 자격이 있는 것 같지 않다”고 사양했으나 재단의 설득 끝에 명예의 전당 입성을 수락했다. 이후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제37회 명예의 전당 입성 행사에서 “나는 이제 록스타”라고 외치며 무대에 올라 공연을 펼쳤다. 에미넴은 자신을 “힙합 교육을 받은 고등학교 중퇴자”라고 소개하며 명예의 전당 입성의 영광을 동료 래퍼들에게 돌렸다. 이와 함께 그래미에서 최우수 여성 록 보컬상을 4회 연속 받은 팻 베네타, 그의 음악적 동반자이자 남편인 기타리스트 닐 지럴도가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렸다. 영국 팝밴드 듀란 듀란, 1980년대 팝스타 라이어널 리치, 영국 신스팝을 이끈 혼성 듀오 유리스믹스, 1970년대 인기 싱어송라이터 칼리 사이먼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됐다. 이세빈 기자 sebi0525@edaily.co.kr 2022.11.07 14:23
연예

[할리우드IS] ZZ TOP 베이시스트 더스티 힐, 향년 72세로 별세

미국의 레전드 밴드인 ZZ TOP(지지탑) 멤버였던 더스티 힐(Dusty Hill)이 세상을 떠났다. 향년 72세. 28일 유족에 따르면 더스티 힐은 텍사스 휴스턴에 있는 자택에서 잠을 자다가 사망했다. 이에 밴드는 이날 밤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예정된 공연을 취소했다. 이 공연엔 더스티 힐이 참여하는 것은 아니었다. 더스티 힐은 최근 고관절 문제로 밴드 공연을 잠시 쉬고 있었다. 지지탑 멤버인 빌리 기븐스(Billy Gibbons)와 프랭크 비어드(Frank Beard)는 "비보를 듣게 되어 슬프다. 우리는 전 세계 수많은 지지탑 팬들과 함께 당신을 그리워할 것이다. 따뜻한 성품과 지지탑 멤버로서의 노력은 영원히 기억될 것"이라고 전했다. 더스티 힐은 지지탑 창립멤버로 1969년 록 밴드 생활을 시작했다. 지지탑은 전형적인 미국의 인기 밴드로 40여년동안 멤버가 바뀌지 않았다.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도 올랐다. 황지영기자 hwang.jeeyoung@joongang.co.kr 2021.07.29 17:06
연예

'아돌라스쿨' 김재환, 김우진과 돌발 스킨십? 뜻밖의 설렘 모먼트...

김재환이 기타 교습 도중 김우진과 돌발 스킨십으로 ‘설렘지수’를 급상승시킨다. 김재환과 김우진은 23일(수) 오후 5시 공개되는 U+아이돌Live 오리지널 콘텐츠인 ‘아돌라스쿨’에서 단기 속성 ‘인강’을 선보인다. 이날 김재환은 ‘로큰롤 명예의 전당 최초 입성’, ‘그래미 어워드 총 527번 수상’에 빛나는 ‘G선상의아리아학과’ 출신 김재환 쌤이 되어 기타 수업을 진행한다. 기타 초보인 김우진 조교를 상대로, 통기타부터 일렉트로닉 기타까지 간단히 연주할 수 있는 운지법과 연주 노하우 등을 세심하게 알려주는 것. 특히 김재환 쌤은 ‘크로메틱 운지법’에 서툰 김우진 조교를 위해, 뒤에서 그를 감싸는 듯 초밀착 자세를 취한 뒤 손가락 하나하나를 터치하며 설명해 수강생들을 열광시킨다. 이어 자신이 개발한 ‘손가락찢기’ 훈련법을 김우진 조교에게 전수해준다. 이 모습을 라이브로 지켜보던 한 수강생이 실시간 댓글로 “쌤, 혹시 사기꾼 아니세요? 너무 웃겨요”라고 하자 김재환 쌤은 “저 기타로 대학 시험 본 사람이다. 검증된 사람”이라고 강조해 깨알웃음을 선사한다. 나아가 김재환 쌤은 “기타는 폼이 중요하다”면서 기타 연주 도중 갑자기 피크를 던지는 퍼포먼스를 시도한다. 김우진 조교는 “기타는 좀 뻔뻔해야 하는 것 같다”라며 쑥스러워 한다. 이에 굴하지 않고 김재환 쌤은 “김우진 조교 오늘 아주 잘하고 있다. 두 달 가르칠 것을 하루만에 해냈다”면서 “헤어 스타일도 절 보는 줄 알았다. 거울 보는 것 같다”라며 극찬를 보낸다. 두 사람의 ‘뻔뻔’ 케미가 큰 웃음을 선사하는 ‘아돌라스쿨’은 23일(수) 오후 5시 공개된다. 이어 이날 오후 6시에는 하성운, 에이스 찬, 오후 10시에는 갓세븐 뱀뱀과 영재의 라이브 인강이 준비돼 있다. 한편 U+아이돌Live 오리지널 콘텐츠인 ‘아돌라스쿨’은 격주에 한 번씩 아이돌 스타가 라이브로 ‘인강’을 선보이는 ‘국내 최초 아이돌 인강 프로젝트’다. 라이브 방송 후에는 이를 재편집한 영상들이 일주일 뒤에 업로드 된다. 이지수 디지털뉴스팀 기자, 사진 제공=U+아이돌Live 2021.06.22 21:04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