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1,280건
영화

강하늘 ‘퍼스트 라이드’, 첫 주말 박스오피스 정상… ‘체인소 맨’ 제쳤다 [IS차트]

강하늘 주연의 ‘퍼스트 라이드’가 개봉 첫 주말 박스오피스 정상을 꿰찼다.3일 영진위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영화 ‘퍼스트 라이드’는 지난 주말(10월 31일~11월 2일) 사흘간 23만 810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누적관객수는 36만 8848명이다.‘퍼스트 라이드’는 뭉치면 더 웃긴 24년 지기 친구들의 우여곡절 해외여행기를 담은 코미디물로, ‘30일’의 흥행 주역 남대중 감독과 강하늘이 의기투합한 작품이다. 강하늘 외 김영광, 차은우, 강영석, 한선화 등이 출연한다.2위에는 장기 흥행 중인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이 랭크됐다.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은 같은 기간 14만 7473명의 관객을 추가하며 누적관객수 279만 4147명을 기록했다.‘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은 일본 만화 ‘체인소 맨’ 첫 극장판 영화로, 전기톱 악마 포치타와 계약으로 체인소 맨이 된 소년 덴지와 정체불명의 소녀 레제의 이야기를 그린다.3위는 ‘8번 출구’가 차지했다. ‘8번 출구’는 지난 주말 8만 4714명의 관객을 만났다. 누적관객수는 32만 2998명이다. ‘8번 출구’는 전 세계 누적 다운로드 190만회 이상을 기록한 동명 게임이 원작으로, 무한루프 지하도에 갇혀 8번 출구를 찾아 헤매는 남자가 반복되는 통로 속 이상 현상을 찾아 탈출하는 스토리를 담는다.장주연 기자 jang3@edaily.co.kr 2025.11.03 08:27
영화

강하늘X차은우 시너지… ‘퍼스트 라이드’ 주말 1위 [차트IS]

배우 강하늘, 차은우 등이 출연한 영화 ‘퍼스트 라이드’가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2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퍼스트 라이드’는 전날 9만 6313명을 동원해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 누적 관객 수는 28만 2854명이다.2위는 애니메이션 영화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으로 6만 9065명이 봤다. 누적 관객 수는 274만 4137명이다. 3위는 호러 영화 ‘8번 출구’로 3만 7319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누적 관객 수는 29만 1000여 명이다.한편 ‘퍼스트 라이드’는 끝을 보는 놈 태정(강하늘), 해맑은 놈 도진(김영광), 잘생긴 놈 연민(차은우), 눈 뜨고 자는 놈 금복(강영석), 사랑스러운 놈 옥심(한선화)까지 뭉치면 더 웃긴 24년 지기 친구들이 첫 해외여행을 떠나는 내용을 담은 코미디 영화다. 김지혜 기자 jahye2@edaily.co.kr 2025.11.02 08:19
영화

日영화 파죽지세 속 ‘어쩔수가없다’ 역주행…300만 돌파 노린다 [IS차트]

일본 영화가 강세인 가운데 ‘어쩔수가없다’가 다시금 전체 박스오피스 3위로 올라섰다.29일 영진위 영화관 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전날 전체 박스오피스 1위는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으로, 하루 동안 2만 366명이 감상했다. 이 작품은 전기톱 악마 ‘포치타’와의 계약으로 ‘체인소 맨’이 된 소년 ‘덴지’와 정체불명의 소녀 ‘레제’의 폭발적인 만남을 그린 이야기로, 이날 기준 누적 관객수는 259만 1686명이다. 2위는 일본 영화 ‘8번 출구’로, 같은 날 1만 2818명이 감상했다. 동명의 게임을 실사화한 작품으로 그룹 아라시 겸 배우 니노미야 카즈나리가 주연을 맡았다. 누적 관객수는 21만 2458명이다.이 가운데 박찬욱 감독의 ‘어쩔수가없다’가 8555명이 감상해 3위에 등극했다. 이는 4위의 코믹 액션 영화 ‘보스’(8020명, 누적 239만 4911명)를 근소하게 제친 결과다. ‘어쩔수가없다’의 누적 관객은 288만 5303명으로 300만 돌파를 바라보고 있다.이주인 기자 juin27@edaily.co.kr 2025.10.29 08:51
영화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 255만 돌파…4주차 주말도 ‘정상’ [IS차트]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이 개봉 4주 차 주말 박스오피스 정상도 꿰찼다.27일 영진위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영화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은 지난 주말(10월 24일~16일) 사흘간 21만 9691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누적관객수는 255만 237명이다.지난달 24일 개봉한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은 일본 만화 ‘체인소 맨’ 첫 극장판 영화로, 전기톱 악마 포치타와 계약으로 체인소 맨이 된 소년 덴지와 정체불명의 소녀 레제의 이야기를 그린다.2위에는 신작 ‘8번 출구’가 랭크됐다. ‘8번 출구’는 첫 주말 13만 7173명의 관객을 만나며 누적관객수 18만 6107명을 기록했다.22일 극장에 걸린 ‘8번 출구’는 전 세계 누적 다운로드 190만회 이상을 기록한 동명 게임이 원작으로, 무한루프 지하도에 갇혀 8번 출구를 찾아 헤매는 남자가 반복되는 통로 속 이상 현상을 찾아 탈출하는 이야기를 담는다.3위는 ‘보스’가 차지했다. ‘보스’는 같은 기간 5만 8838명의 관객을 추가했다. 누적관객수 237만 8457명이다. 이달 3일 개봉한 ‘보스’는 조직의 미래가 걸린 차기 보스 선출을 앞두고 각자의 꿈을 위해 서로에게 보스 자리를 치열하게 양보하는 조직원들의 필사적인 대결을 그린 코미디물로, 조우진, 정경호, 박지환, 이규형 등이 출연한다.장주연 기자 jang3@edaily.co.kr 2025.10.27 08:43
영화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 221만 돌파…3주차 주말도 ‘정상’ [IS차트]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이 개봉 3주 차 주말 박스오피스 정상을 꿰찼다.20일 영진위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영화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은 지난 주말(10월 17일~19일) 사흘간 24만 6146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누적관객수는 221만 5586명이다.지난달 24일 개봉한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은 일본 만화 ‘체인소 맨’ 첫 극장판 영화로, 전기톱 악마 포치타와 계약으로 체인소 맨이 된 소년 덴지와 정체불명의 소녀 레제의 이야기를 그린다.2위는 조우진, 정경호 주연의 ‘보스’가 차지했다. ‘보스’는 같은 기간 11만 8474명의 관객을 추가하며 누적관객수 225만 8190명을 기록했다.3위에는 신작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 주술회전: 회옥·옥절’이 랭크됐다. ‘극장판 주술회전: 회옥·옥절’은 첫 주말 8만 9684명의 관객을 만났다. 누적관객수는 13만 3743명이다.장주연 기자 jang3@edaily.co.kr 2025.10.20 08:43
영화

日 애니 붐, 韓 영화 산업 삼킨다 [IS포커스]

일본 애니메이션 열풍이 거세다. 극장 산업의 오랜 불황 속 숨통을 틔우는 효자로 각광받고 있는데, 일각에서는 한국영화 시장의 구조적 위축으로 이어질 거란 우려가 나온다.19일 영진위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은 전날 11만 7503명을 동원하며 박스오피스 정상을 유지했다. 누적관객수는 213만 1853명으로, 개봉작 중 가장 빠른 흥행세를 보이고 있다. 이어 박스오피스 3위에는 지난 16일 개봉한 ‘극장판 주술회전: 회옥·옥절’이 올랐고, 6위에는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이 랭크됐다. 이중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은 누적관객수 545만을 넘어서며 올해 최고 흥행작 ‘좀비딸’(누적관객수 563명)을 바짝 쫓고 있다.일본 애니메이션의 약진은 최근 몇년 한국 극장가의 화두였다. 일례로 ‘스즈메의 문단속’, ‘더 퍼스트 슬램덩크’ 등이 개봉한 2023년에는 일본영화 매출액과 관객 점유율이 각각 14.2%, 14.1%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관객 유입 측면에서 본다면 더없이 고무적인 현상이다. 다만 거시적 관점에서는 단순 호재로 볼 수 없다. 가장 눈에 띄는 문제는 과잉 경쟁에 따른 폐해다. 부르는 게 값인 이 시장에서 영화 수입사 간 내부 비딩(입찰)까지 치열해지면서 수입가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실제 과거 3~4만달러 수입 가능하던 작품이 10만달러까지 상승한 사례도 들린다. 한 수입사 대표는 “일본 애니 흥행에 수입에 뛰어드는 회사가 많아지다 보니 가격 경쟁이 심화될 수밖에 없다. 이미 흥행으로 부르는 값이 높아졌는데 다들 배팅하면서 가격만 높이고 있다. 이런 분위기가 이어지면 다양한 작품을 좋은 가격에 소개할 수가 없다”고 토로했다. 이어 “모든 작품이 ‘귀멸의 칼날’, ‘슬램덩크’가 될 수는 없다. 들여온다고 무조건 잘되는 게 아니다. 착시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조언했다.위축된 한국영화 투자를 더욱 얼어붙게 한다는 점도 우려스럽다. 투자·배급사 입장에서 일본 애니메이션은 견고한 팬덤을 기반으로 하는, 회수율 높은 ‘안전 IP’로 여겨진다. 반면 한국영화는 여전히 더딘 회복세에 투자가 경색되며 최소한의 제작만 이뤄지고 있다. 국내 대형 투자·배급사조차 이러한 흐름에 가세해 지갑 여는 곳을 옮겼다. 특히 일부는 자사 극장을 활용, 일본 애니메이션 단독 개봉 카드까지 꺼내 들었다. 100% 시장 논리에 따라 움직이는 극장의 행보야 말할 것도 없다.결국 투자 자본과 수익 모두 일본 시장으로만 흘러가고, 국내 제작으로 환류되지 못하고 있는 처지다. 이런 상황이 장기화 된다면, 한국영화 산업의 체력은 급격히 저하될 수밖에 없다. 오랜 시간 쌓아올린 생태계 붕괴 역시 시간 문제다.양경미 영화평론가는 “일본 애니 흥행 이면에는 국내 영상산업의 다양성 위축이라는 우려가 있다. 마니아를 중심으로 박스오피스 상위를 장기간 차지하면서 국내 중·저예산의 한국영화 상영의 기회를 줄이고 있고, 이는 국내 창작 생태계의 균형까지 흔들 수 있다”고 짚었다.아울러 양 평론가는 “젊은 세대 관객이 일본식 서사와 감정 코드에 익숙해지면서 한국영화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리얼리즘 계열, 즉 사회반영을 한 사회고발, 계급주의 등의 비판 영화, 정서적 결도 낯설게 느낄 수 있다”며 “장기적으로는 한국적 감수성의 소비 기반이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장주연 기자 jang3@edaily.co.kr 2025.10.20 05:40
영화

물오른 박지환, ‘보스’→‘탁류’ 화제성까지 잡았다 [줌인]

흥행 ‘보스’인 ‘엄지’다. 배우 박지환이 동시기 극장과 OTT서 쌍끌이 흥행 주역으로 우뚝 섰다.박지환은 지난 3일 개봉한 영화 ‘보스’와 지난달 26일부터 공개 중인 디즈니플러스 시리즈 ‘탁류’를 통해 대중을 만나고 있다. 두 작품 모두 준수한 흥행 기록을 쓰고 있는 가운데 각 작품 속 박지환의 존재감이 상당해 그야말로 “물 올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먼저 황금연휴 기간 박스오피스 정상을 놓치지 않은 ‘보스’는 조직의 미래가 걸린 차기 보스 선출을 앞두고 각자의 꿈을 위해 서로에게 보스 자리를 치열하게 ‘양보’하는 조직원들의 필사적인 대결을 그린 코믹 액션 영화다. 그러나 박지환이 연기한 판호는 극중 진심으로 보스가 되고 싶어 하는 조직의 넘버3로, 이야기 내내 짠한 ‘웃픔’을 불어넣었다.조폭이 그리 안무서워진 시대, 다른 조직원들이 중국집 셰프, 탱고 댄서같은 다른 꿈을 가지며 ‘조폭 코미디’의 클리셰를 비틀었다면 판호는 그런 구조의 대척점에 선 인물이다. 그렇기에 조폭의 시대착오적 ‘가오’를 살려 코믹의 끝까지 힘있게 밀어붙인 박지환의 웃음 타율이 상당했다.시종일관 추억의 아시아 무협영화처럼 구겨지는 얼굴 근육만 봐도 피식 웃음이 새어 나올 지경인데, 판호는 자신의 꿈에 진지했을 뿐이라는 점에서 더욱 아이러니한 재미를 준다. 박지환의 해석도 매력도를 높이는데 톡톡히 작용했다. 바라던 보스 자리에 오른 판호가 자신의 명패가 놓인 책상 위에 올라 춤을 추는 장면이나 ‘탱고 파이터’ 정경호와 마치 춤추는 듯 액션을 나누는 장면은 현장에서 즉흥적인 아이디어와 합으로 살려냈다. ‘범죄도시’ 장이수 역에서 출발해 이젠 박지환의 특기가 된 찰진 코믹은 ‘탁류’도 유효할 것 같지만 오히려 그는 정극 배우로서의 무게감을 드러냈다. 극중 박지환은 마포 나루터에 자리 잡은 왈패 무덕 역으로 분해 무리에서 입지가 좁아졌지만 주인공 시율(로운)의 숨겨진 과거를 기회 삼아 출세를 꿈꾸는 인물을 연기했다.박지환은 마치 그 시대 그 곳의 거지 같은 비주얼로 능청스레 시율과 티격태격 케미스트리를 빚을 땐 유쾌하게 분위기를 환기하면서도, 왈패 우두머리인 ‘엄지’ 덕개(최영우)에겐 빌빌대거나 시율과 손잡고 엄지가 되어 ‘무덕패’를 이끌 때는 리더로서 책임감을 알게 되는 등 깊은 감정선도 탁월하게 표현했다. 특히 노역꾼과 관아 사이에서 비공식적으로 권력을 쥔 왈패라는 존재의 특성은 박지환을 통해 처절하게도, 활기차게도 그려지는데 그 속에서 활약하는 박지환을 두고 제작진이 “시나리오에 있었던 인물이 그대로 튀어나온 느낌”이라고 입을 모았다는 후문이다. ‘추노’의 천성일 작가가 쓰고 ‘광해: 왕이 된 남자’ 추창민 감독이 연출한 만큼 대하 드라마의 색채를 지닌 ‘탁류’는 로운, 신예은, 박서함이라는 젊은 배우들을 주역으로 세우는 도전을 택했는데, 박지환은 전배수, 최귀화 등 중년 배우들과 함께 사극다운 무게감을 잡아주었다. 연휴 기간인 지난 3일부터 10일까지 ‘탁류’는 전지현, 강동원 주연 ‘북극성’의 배턴을 이어받아 디즈니플러스 TV쇼 부문 한국 1위(플릭스패트롤 집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K콘텐츠 분석 플랫폼 펀덱스에서는 TV·OTT 드라마 부문 화제성 차트 3위까지 치솟았다.이 가운데 박지환은 ‘탁류’로 TV·OTT 드라마·비드라마 통합 출연자 화제성 8위에 올라 시청자들의 높은 관심을 증명했다. 이는 동년배 배우 중 유일하게 이름을 올린 것이라 유일무이한 매력을 입증했다.이주인 기자 juin27@edaily.co.kr 2025.10.16 06:05
영화

연휴 끝 日애니 다시 역전…‘체인소 맨’ 박스오피스 1위 [IS차트]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이 박스오피스 정상을 차지했다.12일 영진위 영화관 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은 전날 하루 12만 9338명이 감상해 전체 박스오피스 1위에 등극했다. 누적 관객수는 173만 2295명이다.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은 전 세계 누계 발행 부수 3,000만 부를 돌파한 후지모토 타츠키의 만화 ‘체인소 맨’의 인기 에피소드 ‘레제편’을 영화화한 작품이다. 일본 애니메이션 국내 흥행 순위서 스튜디오 지브리의 ‘벼랑 위의 포뇨’(2008년, 152만 명)를 넘고 9위에 이름을 올리며 극장가 일본 애니메이션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한편 황금연휴 기간 박스오피스 1위 왕좌 주인공이었던 조우진 주연 코믹 액션 영화 ‘보스’는 같은 날 12만 2834명이 감상하며 2위로 내려섰다. 누적 관객수는 194만 3320명으로 손익분기점(170만)을 돌파한 뒤 200만 돌파 고지를 앞두고 있다.3위는 박찬욱 감독 ‘어쩔수가없다’에게 돌아갔다. 같은 날 7만 4990명이 감상했으며, 누적 관객수는 257만 5742명이다.이주인 기자 juin27@edaily.co.kr 2025.10.12 07:28
스타

[차트IS] ‘보스’, 손익분기점 돌파→8일 연속 1위

영화 ‘보스’가 8일 연속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 11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 집계에 따르면 '보스'는 지난 10일 9만 1071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정상을 수성했다. 누적 관객 수는 182만 490명이다.‘보스’는 지난 3일 개봉 후 줄곧 1위를 기록했다. 개봉 7일째인 이날 오후 누적 관객 170만 명을 넘기며 손익분기점을 넘어섰다. ‘보스’는 조직의 미래가 걸린 차기 보스 선출을 앞두고 각자의 꿈을 위해 서로에게 보스 자리를 치열하게 ‘양보’하는 조직원들의 필사적인 대결을 그린 코믹 액션 영화로, 조우진, 정경호, 박지환, 이규형 등이 출연했다.한편 2위는 일일 관객 9만 449명을 동원한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으로 누적 관객은 160만 2958명이다. 3위는 ‘어쩔수가없다’로 일일 관객 5만 6346명, 누적 관객 250만 754명이다.유지희 기자 yjhh@edaily.co.kr 2025.10.11 09:50
영화

‘보스’ 6일 연속 1위…155만 돌파 [IS차트]

조우진 주연 ‘보스’가 황금연휴 박스오피스 1위 왕좌를 6일 째 지키고 있다.9일 영진위 영화관 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보스’는 전날 하루 24만 7018명이 감상해 전체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 누적 관객수는 155만 5158명이다.‘보스’는 조직의 미래가 걸린 차기 보스 선출을 앞두고 각자의 꿈을 위해 서로에게 보스 자리를 치열하게 ‘양보’하는 조직원들의 필사적인 대결을 그린 코믹 액션 영화로, 지난 3일 개봉 후 연휴 관객의 선택을 받아 5일 만에 100만 관객을 돌파한 뒤 흥행 기세를 이어가고 있다.2위는 박찬욱 감독 ‘어쩔수가없다’가 차지했다. 같은 날 13만 6754명이 감상했으며, 누적 관객수는 234만 3314명이다.다음은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이 13만 1324명의 선택을 받아 3위로 뒤따랐다. 누적 관객수는 140만 374명이다.이밖에 같은 날 개봉한 ‘트론: 아레스’가 5만 5684명과 만나 4위로 출발했으며,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주연 ‘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가 3만 6188명을 모아 5위에 이름을 올렸다.이주인 기자 juin27@edaily.co.kr 2025.10.09 08:3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