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11건
산업

셀트리온, 16일 이사회서 셀트리온제약과 합병 여부 결정

셀트리온이 16일 이사회를 통해 셀트리온제약과 합병과 관련한 결론을 내린다. 셀트리온은 13일 홈페이지 안내문에서 사외이사들로만 구성된 '합병 검토를 위한 특별위원회'가 전날 종료된 주주 대상 설문조사 결과와 합병의 시너지·위험·외부평가 등을 다각도로 검토한 결과를 16일 이사회에 보고한다고 밝혔다.이와 관련, 셀트리온과 셀트리온 제약은 지난달 31일 양사에 각각 전원 사외이사로만 구성된 '합병 추진 여부 검토 1단계 특별위원회'를 설립하고, 합병 타당성 검토에 돌입함과 동시에 전날까지 전체 주주를 대상으로 합병 찬반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는 현재 집계 중이라고 셀트리온은 전했다.셀트리온은 해당 이사회에서 최종 결론이 나오는 즉시 홈페이지를 통해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셀트리온은 "당초 3사 합병은 주주들의 요청에 의해 추진돼 왔고, 1차 합병인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합병은 주주들의 압도적 지지가 있었기에 성사될 수 있었다"며 "통합 셀트리온과 셀트리온제약과의 2차 합병 역시 대다수 주주의 동의를 대전제로 주주가치 제고에 긍정적인 결과가 있을 경우에만 진행될 것이라는 경영진의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고 설명했다.앞서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지난해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합병이 마무리되면 6개월 안에 셀트리온제약과 합병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지만, 최근 셀트리온 소액주주 등은 셀트리온 주식 가치가 저평가돼 있다며 합병 반대 목소리를 강하게 내고 있다.반면 셀트리온제약의 주주들은 합병을 반기고 있는 상황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우선 이사회에서 합병 찬반 여부가 결정되면 향후 다시 위원회를 열어 합병 일정 등을 논의할 전망이다”이라고 말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8.13 14:57
산업

현대차, 자사주 처분 규모 6000억 1위 올라...2위 SK이노베이션

현대차가 지난해 국내 상장사들 중에 자사주 처분 규모 1위에 올랐다. 24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2021∼2023년 자기주식 취득·처분 공시를 제출한 국내 상장사 조사 결과 지난해 상장사의 자기주식 취득 금액은 8조3519억원으로 전년 대비 39.0% 늘었다. 자사주 소각 금액은 전년 대비 33.3% 증가한 4조7626억원으로 집계됐다.현대차는 지난해 자사주 처분 금액이 가장 많은 상장사로 6016억원을 기록했다. 현대차는 2022년에도 사업제휴(4456억원)와 임직원 보상(2101억원) 목적으로 6557억원의 자기주식을 처분해 2년 연속 6000억원 이상의 자사주를 처분했다. 지난해에는 소각(3154억원), 임직원 보상(2862억원) 목적이었다.이어 SK이노베이션(5441억원), 네이버(4230억원), 신한지주(3859억원), 기아(3853억원), 메리츠증권(3847억원), KT&G(3026억원), 메리츠금융지주(3001억원)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최근 3년간 기준으로는 SK텔레콤이 2021년 1조9660억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포함해 총 2조1980억원의 자기주식을 처분, 상장사 가운데 최대 규모로 자기주식을 처분했다.지난 3년간 상장사의 자사주 취득·소각 규모는 꾸준히 늘어왔다. 자사주 취득 상장사 수는 2022년 436곳에서 2023년 382곳으로 54곳 감소한 반면, 자사주 소각 상장사는 2022년 66곳에서 2023년 95곳으로 29곳 증가했다.지난해 상장사 중 가장 큰 규모의 자기주식을 취득한 회사는 셀트리온(8860억원)이었다. 셀트리온은 2022년 2533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취득하는 등 2년간 총 1조1393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취득했다.이어 메리츠금융지주(6706억원), KB금융(5717억원), 기아(5000억원), 신한지주(4859억원), 셀트리온헬스케어(3792억원), 현대모비스(3029억원), KT&G(3026억원), SK텔레콤(3013억원), KT(3002억원) 순이었다. 2022년에는 3000억원 이상의 자사주를 취득한 상장사 수가 2곳에 불과했지만 작년에는 10곳이나 됐다.최근 3년간으로 범위를 넓혀도 자사주 취득 금액이 가장 많은 상장사는 셀트리온(1조1393억원)이다. 이어 KT&G(1조77억원), 메리츠금융지주(9777억원), 현대모비스(8882억원), 신한지주(7859억원) 순이었다.지난해 자기주식 소각 규모가 가장 큰 상장사는 신한지주(3859억원)였다. 신한지주는 2022년 3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한 데 이어 2년 연속 대량의 자기주식 소각을 단행했다. 지난해 자사주 소각 규모 상위 20곳 중 금융지주사는 5곳(신한지주·메리츠금융지주·KB금융·하나금융지주·우리금융지주)이나 됐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1.24 10:15
산업

제약사들 '주주가치 제고'라지만 무상증자 효과는 미미

제약사들이 배당 성격으로 무상증자를 시행하며 주주가치 제고에 나서고 있다. 매년 연말이면 무상증자를 시행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효과에 대해서는 의문부호가 달리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유한양행, 한미약품, 종근당, JW신약 등이 올해 무상증자를 공시하며 주주환원 실천에 나서고 있다. 이들의 무상증자는 보통주 1주당 0.02~0.05주 수준이고, 신주 배정기준일이 내년 1월 1일로 유사하다. 유한양행이 제약사 중 무상증자의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무상증자를 시행한 지 약 20년 가까이 됐다. 또 2016년 이후부터는 7년 연속으로 무상증자를 이어나가고 있다. 올해도 0.05주를 배정했다. 종근당도 지난 8일 보통주 1주당 0.05주를 배정하는 무상증자를 결정했다. 매년 12월 0.05주의 무상증자를 6년간 진행하고 있다. 종근당 관계자는 “주주친화 정책의 일환이다. 유한양행 등 많은 제약사들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미약품과 한미사이언스도 지난 15일 보통주 1주당 0.02주를 배정하는 무상증자를 공시했다. 이날 JW신약도 보통주 0.05주를 배정하는 무상증자를 발표했다. 무상증자는 기업이 이사회 결의를 통해 준비금을 자본금에 전입하는 것으로 자본금과 발행 주식 수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다만 유상증자와 달리 주주가 주식 대금을 납입하는 것이 아니라서 기업 가치에 실질적인 변동은 생기지 않는다. 무상증자는 주주가 추가적으로 돈을 지불하지 않고도 주식을 얻을 수 있어 배당적인 성격이 강하다. 반면 유상증자는 주주가 신주를 얻기 위해 대금을 지불해야 한다는 차이가 있다. 업계 관계자는 “무상증자는 자본잉여금을 활용해 주주들에게 환원하는 개념이라 주로 제약사들이 시행하고 있다. 반면 자본금이 필요한 바이오 기업들의 경우 유상증자를 한다”고 설명했다. 무상증자는 자본잉여금 재원을 활용해 주식 배정을 하는 것이지만 현금배당과는 차이가 있다. 무상증자는 이사회 결의만으로 가능하고, 현금배당은 주주총회를 통과해야만 한다. 소득세 부분에서도 차이가 있다. 주주가치 제고 차원이라지만 무상증자 효과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무상증자는 자본잉여금을 재원으로 하기 때문에 잉여금이 주식으로 바뀌는 자본 변동으로 치부되기도 한다. 금융감독원은 “유상증자와 달리 무상증자는 외부 자본이 회사로 유입되지 않아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며 “무상증자 비율이 높은 경우 주가가 일시적으로 상승하기도 하지만 실질적 기업가치 변동이 없다면 주가가 다시 하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무상증자의 효과도 미미하다. 최근 무상증자가 호재라는 인식을 심어주지 못하기 때문에 주가 반등도 일어나지 않는 추세다. 이에 제약사들은 무상증자와 현금배당을 동시에 하며 주주가치 제고에 나서고 있다. 유한양행은 무상증자와 현금배당을 모두 시행하고 있다. JW중외제약도 그동안 무상증자를 해오다가 올해 현금배당을 하기로 결정했다. JW중외제약은 올해 이익이 증가하면서 확보한 이익잉여금을 통해 현금배당으로 선회했다. JW중외제약 관계자는 “총 주식수가 증가하는 무상증자 대신, 회사의 실적을 통해 확보한 현금 유동성을 활용해 현금배당을 늘리는 방향으로 정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 3형제(셀트리온·셀트리온헬스케어·셀트리온제약)도 지난 16일 주식·현금 동시배당을 결정했다. 셀트리온은 보통주 1주당 375원의 현금과 0.04주의 주식배당을, 셀트리온헬스케어는 보통주 1주당 130원의 현금과 0.04주의 주식배당을 결정했다. 셀트리온제약은 현금배당이 없는 대신 1주당 0.05주의 배당을 실시한다. 업계 관계자는 “무상증자는 배당적인 성격이 있지만 주식가치가 유지돼야만 주주들에게 실질적인 이익으로 돌아갈 수 있다. 예전에는 무상증자로 인해 주식수 증가가 주가 변동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2.12.20 07:01
경제

SK바이오팜 등 제약바이오 65%나 52주 신저가 '암흑기' 왔나?

제약바이오 업종에서 52주 신저가가 속출하고 있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종목 2471개(올해 신규 상장 제외) 중 올해 종가 기준으로 52주 신저가를 경신한 종목 수는 모두 995개(40.3%)에 달했다. 10개 중 4개가 신저가 행진을 하고 있는 셈이다. 시장별로 보면 유가증권시장에선 939개 중 411개(43.7%)가 52주 신저가를 새로 썼다. 현재 시가총액 상위 10위 내 종목 중에선 대표적인 성장주 네이버가 지난달 24일 30만2500원으로 신저가를 경신했다. 카카오도 지난 1월 27일 8만2600원까지 추락하며 신저가를 새로 썼다. 업종별로 보면 의약품이 52개 종목 중 34개(65%)나 신저가를 경신하면서 비중이 가장 컸다. 셀트리온과 GC녹십자, SK바이오팜 등 대표적인 제약바이오 종목이 52주 신저가를 경신했다. 먼저 셀트리온은 지난 1월 27일 14만7000원까지 떨어지며 신저가를 새로 썼다. 셀트리온은 100만주 이상의 자사주를 매입하며 주가 회복을 겨냥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2월 28일 15만9500원으로 거래를 마치며 최근 반등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신약 2개를 최초로 보유한 SK바이오팜도 2월 24일 13만6500원까지 떨어지며 신저가를 기록했다. GC녹십자는 1월 27일 16만5000원까지 하락하며 신저가를 보였다. GC녹십자는 코로나19 수혜주로 기대를 모았지만 성과가 미미해 주가 하락폭이 커졌다. 코스닥시장에서 올해 신저가를 경신한 종목은 1532개 중 584개로 38.12% 수준이다. 역시 제약바이오 업종이 돋보였다. 시총 1위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지난 1월 27일 6만원으로 52주 신저가를 새로 썼다. HLB(2만8500원·2월 15일), 셀트리온제약(7만9200원·1월 27일)도 신저가를 갈아치웠다. 반면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에서 올해 52주 신고가를 경신한 종목은 191개로 7.7%에 불과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52주 신고가를 경신한 종목은 64개(6.8%), 코스닥시장에서는 127개(8.3%)로 각각 집계됐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KB금융(6만5800원·2월 11일), 하나금융지주(5만2400원·2월 17일), 우리금융지주(1만5850원·2월 9일) 등 은행주가 고점을 새로 썼다. 호실적과 금리 인상에 따른 수혜 기대감에 매수세가 몰린 덕분이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2.03.01 17:27
경제

대표이사 지속 매도에도 주가 3배 껑충…에코프로비엠 코스닥 1위 넘본다

2차 전지 소재 업체 에코프로비엠이 코스닥 시총규모 1위를 넘보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인 양극재를 생산하는 에코프로비엠은 최근 7년간 철옹성 자리를 지켰던 바이오주보다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18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최근 경구용 치료제 출시 임박으로 주춤한 제약·바이오주보다 배터리 테마주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중 에코프로비엠이 배터리 대장주로 꼽힌다. 권우석 에코프로비엠 대표이사는 “국내 최초로 하이니켈계 양극소재의 양산에 성공했고, 전 세계 고용량 양극소재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며 자부했다. 에코프로비엠은 국내 양극재 1위 기업이다. 양극재는 배터리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소재로 배터리셀 원가 비중의 절반을 차지한다. 특히 에코프로비엠은 고성능 배터리에 사용되는 하이니켈 양극재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지난 9월에는 SK이노베이션과 2024년부터 2026년까지 10조원대 양극재 공급 계약을 맺기도 했다. 이 같은 성장성이 부각되면서 에코프로비엠은 코스닥 시총 1위 셀트리온헬스케어를 위협하고 있다. 18일 종가 기준으로 셀트리온헬스케어가 13조1309억원이고, 에코프로비엠은 12조4393억원으로 뒤를 쫓고 있다. 10조원 이상 차이 나던 간격이 6916억원 차로 좁혀졌다. 에코프로비엠의 주가는 올해 17만100원에서 출발해 18일 현재 56만7500원으로 3배 이상 폭등했다. 반면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코로나19 치료제 해외 승인 지연과 경구용 코로나 치료제 출시 임박, 바이오시밀러 성장성 한계 등이 맞물리면서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 올해 16만3000원에서 출발했는데 8만4700원까지 반 토막 난 상황이다. 이로 인해 2018년 2월부터 지켜왔던 코스닥 시총 1위 자리를 위협받고 있다. 셀트리온그룹주는 2015년부터 줄곧 시총 1위 자리를 유지해왔다. 셀트리온이 2018년 코스피로 이전 상장하면서 셀트리온헬스케어가 그 자리 대신해왔다. 에코프로비엠은 지난 9일 발표한 3분기 실적에서 매출 4081억원, 영업이익 407억원으로 호실적을 냈다. 여기에 유럽·미국 공장 증설 계획 모멘텀과 양극재 시장 성장 전망 등이 호재로 작용하면서 연일 신고가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김현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에코프로비엠에 대해 "2026년 양극재 생산량을 약 48만t으로 가정할 때 약 11조원의 매출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권우석 사업 대표와 김병훈 경영 대표의 매도에도 에코프로비엠의 주가는 흔들림이 없다. 지난 7월 권 대표와 김 대표는 각 1800주와 2500주를 장내 매도했다. 처분 단가는 권 대표의 28만4106원, 김 대표는 28만7252원이었다. 대표들의 처분 단가와 비교하면 현재 주가는 2배 가까이 뛰었다. 상장 후 지속해서 주식을 매도하며 차익을 실현한 권 대표와 김 대표의 지분은 각 0.33%, 0.22%에 불과하다. 에코프로비엠은 2019년 3월 상장한 이후 대표들이 꾸준히 주식을 매도해왔고, 특별한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모회사인 에코프로가 48.22% 지분을 갖고 있다. 에코프로비엠은 SK이노베이션뿐 아니라 삼성SDI, 소니 등과도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또 양극소재의 안정성 및 고용량 확보를 통해 전동공구에서 무선청소기까지 적용 범위를 확대하는 등 ‘전기차 시대’를 대비하고 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11.19 07:00
경제

코스닥 톱5 싹쓸하던 바이오 기업들, 지금은…

올해 코스닥 시장에서 바이오 기업들의 상승세가 한풀 꺾이고 있다. 외국인과 연기금에 외면받고 있는 바이오 기업들은 실적 기대치마저 하락하면서 게임, 2차 전지주에 추격을 허용하고 있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말과 대비해 올해 상반기 코스닥 시장의 시가총액 순위가 요동치고 있다. 2020년 12월까지 바이오 기업이 1~5위를 싹쓸이하며 강세를 나타냈지만 지난 16일 기준으로 1위 셀트리온헬스케어를 제외하고 모든 순위가 바뀌는 등 혼전 양상이 띠고 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지난해 말과 대비해 시총 규모가 7조원 줄어든 17조7700억원으로 1위를 지키고 있다. 지난해 말까지 셀트리온제약과 씨젠, 알테오젠, 에이치엘비는 각 2~5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셀트리온제약이 4위로 떨어졌고, 나머지는 5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대신 카카오게임즈와 펄어비스 등 게임주가 치고 올라와 각 2위와 5위 자리에 안착했다. 또 K배터리를 앞세운 2차 전지주인 에코프로비엠도 몸집을 키워 3위로 뛰어올랐다. 셀트리온제약은 지난해 말 8조5500억원에서 5조7600억원으로 시총 규모가 줄었다. 셀트리온제약은 코로나19 항체치료제의 직접적인 수혜주로 꼽힌다. 하지만 항체치료제인 렉키로나주의 해외 진출이 더디게 진행되면서 실적 기대치가 낮아졌다. 셀트리온의 항체치료제는 미국과 유럽 시장 등에서 허가를 계속해서 기다리고 있다. 변이 바이러스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달 초만 해도 방역당국은 셀트리온의 항체치료제에 대해 전파력이 강력한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능 효과가 현저히 떨어졌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러다 지난 16일에는 델타 변이에도 감염 치료 효과가 있다는 동물실험 결과를 공개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본부장은 국립보건연구원이 코로나19 델타 변이에 감염된 실험용 쥐에 렉키로나주를 투여한 결과 폐 조직에서 바이러스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는 “투여 사흘째 바이러스가 유의미하게 감소했고, 엿새째는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다만 방역당국은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인체 치료 효과를 최종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동물이 아닌 환자를 대상으로 한 효능 확인이 필요하다고 덧붙이고 있다. 진단키트를 대표하는 바이오 기업인 씨젠은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면서 실적 기대치가 하락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지난해 말과 대비 순위가 3계단 떨어진 6위에 자리했다. 시총 규모는 4조300억원으로 1조원 가량 쪼그라들었다. 에이치엘비의 경우 임상시험 결과의 허위 공시 논란으로 인해 시총 규모가 대폭 감소했다. 진양곤 회장이 직접 해명에 나섰음에도 신약 허가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에이치엘비는 4조8900억원에서 3조7900억원으로 1조원 넘게 축소됐다. 반면 신작 오딘이 흥행에 성공한 카카오게임즈는 작년 말 시총이 3조4000억원에서 6조4500억원으로 89.7% 불어나며 8위에서 2위로 껑충 뛰어올랐다. 최근 한 달간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4조원 가까이 순매도세를 보였지만 코스닥 시장에서는 카카오게임즈 등 6000억원 이상을 순매수했다. 에코프로비엠도 3조5700억원에서 5조9100억원으로 65.5% 늘어났다. 펄어비스(3조4000억→5조3100억원)도 9위에서 5위로 뛰어올랐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7.19 07:01
경제

2분기 시총 증가 100% 이상 10곳…절반이 진원생명과학 등 바이오 기업

올해 2분기에 ‘1조원 클럽’에 가입한 클럽이 270개 기업으로 늘어났다. 이중 백신 전문기업인 진원생명과학은 시총 규모가 30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CXO연구소가 8일 ‘2021년 2분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진원생명과학은 지난 3월말에는 5238억원으로 시총 1조 클럽에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하지만 6월말에는 2조1374억원으로 3개월 새 1조6000억원 넘게 시총 규모가 커졌다. 올 2분기에만 시총 규모가 308%나 높아졌다. 3월31일 주가가 1만1700원에서 6월30일에 4만7300원으로 높아진 것이 시총이 커졌다. 8일 11시50분 현재 5만4200원까지 증가하고 있다. 진원생명과학은 mRNA 코로나 백신을 개발하고 있고,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는 상황이다. 2분기에 시총 증가율이 100% 넘는 곳은 10곳으로 집계됐다. 이중 진원생명과학을 비롯해 5개가 바이오 기업이다. 셀리드(233.5%↑), 네이처셀(203.7%↑), 엑세스바이오(123.4%↑), 유바이오로직스(102.5%↑)가 바이오 기업으로 100% 이상 증가율을 기록했다. 또 28조원이나 급증한 카카오를 포함해 3월말 대비 6월말에 시총 규모가 1조 넘게 증가한 곳은 40곳이나 됐다. SK이노베이션(7조736억원↑), 네이버(6조6526억원↑), 삼성바이오로직스(6조1533억원↑), HMM(5조2839 원↑), 두산중공업(5조2059억원↑), 현대차(4조5938억원↑), LG화학(3조1766억원↑), LG생활건강(2조9986억원↑), 하이브(2조7306억원↑)가 대표적이다. 반면 같은 기간 시총 규모가 1조원 넘게 감소한 곳은 8곳으로 파악됐다. 셀트리온의 시총이 3월말 43조8164억원에서 6월말 37조305억원으로 최근 3개월 새 6조7859억원이나 가장 크게 감소했다. 삼성전자(4조1788억원↓), SK하이닉스(3조6400억원↓), 셀트리온헬스케어(2조7356억원↓), 금호석유화학(1조4015억원↓) 등이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7.08 12:08
경제

50대 그룹 총수들, 1분기 주식 성적표는

국내 50대 그룹 총수들의 올해 1분기 주식재산 성적표가 공개됐다.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이 1조1000억원 이상 증가한 반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6500억원 이상 감소해 희비가 갈렸다. 6일 한국CXO연구소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그룹 총수 중 상장사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대상자는 41명으로 집계됐다. 이들의 올해 초 주식평가액은 75조8183억원이었는데 3월 말에는 79조1344억원으로 3조3161억원(4.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사 주식을 가진 41명의 그룹 총수 중 31명(75.6%)의 주식재산이 불어났다. 지난 3월 31일 보통주 기준으로 국내 총수 중 주식부호 1위는 이재용 부회장이다. 고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줄곧 1위에 자리했지만, 이 부회장이 올해부터 뒤를 이어받았다. 하지만 올해 초 9조5747억원이었던 주식가치는 1분기에만 6490억원이 빠진 8조9255억원으로 6.8% 하락했다. 이 부회장은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생명, 삼성SDS, 삼성엔지니어링 5개 주식 종목에서 지분을 갖고 있다. 이중 삼성물산의 지분가치가 1분기에만 13.5%(6371억원) 하락했다. 김범수 이사회 의장이 정몽구 현대차 명예회장을 따돌리고 2위로 뛰었다. 김 의장의 주식가치는 1분기 동안 22.4%(1조1107억원)나 올라 4조9502억원이던 것이 6조609억원으로 불어났다. 카카오 주식은 액면 분할안이 의결되면서 액면가가 500원에서 100원으로 쪼개진다. 카카오는 이 같은 액면분할로 주주들의 접근성을 높여 ‘국민주식’을 겨냥하고 있다. 정몽구 명예회장은 5조6931억원 규모로 3위에 올랐다. 4위는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으로 1분기에만 22.3%가 오른 4조4907억원을 기록했다. 정의선 현대차 회장이 3조8124억원으로 5위에 자리했다. 현대차 부자는 각 4.7%, 3.1%의 가치가 상승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주식재산이 13%나 뛰어오른 3조6604억원으로 6위 자리를 지켰다. 이어 방준혁 넷마블 의장(2조6741억원), 구광모 LG그룹 회장(2조4888억원), 서정진 셀트리온 명예회장(2조3133억원),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2조3109억원) 순이다. 1~10위의 주식재산 가치는 모두 2조원이 넘는다. 이해진 창업자도 비대면 시대를 맞아 네이버의 가치가 부각되면서 주식재산이 1조7960억원에서 2조3109억원으로 28.7%나 껑충 뛰었다. 반면 스마트폰 사업 철수를 최종 결정한 구광모 회장은 올해 초 2조6677억원에 달했던 지분가치가 석 달 새 1789억원(6.7%)이나 감소했다. 서정진 명예회장은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주가 하락으로 2602억원(10.1%)이나 주식재산이 줄었다. 1분기 주식재산 증가율 1위는 조석래 효성 명예회장으로 나타났다. 조 명예회장이 보유한 효성첨단소재, 효성티앤씨, 효성화학, 효성중공업, 효성 5곳의 주식은 올해 초 3886억원에서 6937억원으로 상승했다. 3개월 새 지분가치가 78.5%나 점프했다. 최근 ‘조카의 난’으로 불렸던 경영권 분쟁에서 승리한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의 주식재산도 3079억원에서 5405억원으로 75.5% 급증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4.07 07:00
경제

셀트리온, 3년 전과 판박이 JP모건 보고서 이례적 반박 이유는?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이 외국증권사 JP모건의 보고서에 '발끈'했다.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는 10일 홈페이지 통해 “JP모건의 해당 보고서는 경쟁사 대비 부정적 결론을 도출하기 위한 짜 맞추기식 내용으로 구성됐다고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JP모건은 지난 9일 발간한 보고서에서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목표주가를 각각 19만원, 7만원으로 잡으면서 '비중축소' 투자의견을 냈다. 그러자 셀트리온은 개별 증권사 보고서에 이례적으로 입장문을 내며 ”신뢰성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반박했다. 3년 전에도 JP모건 보고서로 인해 주가 급락을 겪은 바 있는 셀트리온은 결국 폭발했다.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는 “JP모건은 상장 경쟁사 A는 주가수익비율(PER) 158배, 셀트리온은 76배, 셀트리온헬스케어는 57배로 계산했다"며 "그런데도 PER이 훨씬 높은 A사에 대해 투자의견 '중립'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PER이 낮을수록 저평가된 주식으로 꼽힌다. 이어 "목표주가 또한 A사는 전일 주가보다 높게 제시하고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는 각각 60%, 68% 수준으로 제시했다"고 덧붙였다. JP모건 보고서 발간 후 지난 9일 주식시장에서 셀트리온(-6.13%)과 셀트리온헬스케어(-4.36%)는 큰 폭으로 하락 마감했다. JP모건의 연구원은 “바이오산업을 향한 시장의 낙관이 지나치다"며 "셀트리온의 지배구조 개편 이슈나 코로나19 치료제의 상업적 성공 같은 불확실한 요인들보다는 이익 펀더멘털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들은 셀트리온의 목표주가를 평균 37만원으로 제시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공장 가동률 개선으로 인해 올해 2분기에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낸 것이 주목 받고 있다. 셀트리온은 매출 4288억원, 영업이익 1818억원으로 영업이익이 118%나 성장했고, 영업이익률이 42.4%에 달했다. 이런 행보를 고려하면 JP모건의 보고서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이 쏠릴 수밖에 없다. 심지어 JP모건은 10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주식을 17만6000주 이상 매수했다. 거래대금만 176억원 이상이다. 지난 9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주가가 급락하자 다음날 주식을 쓸어 담았다. JP모건이 ‘공매도 금지’로 인한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보고서를 부정적으로 냈다는 시선도 있다. 현재 셀트리온의 공매도 잔고잔량은 826만주가 넘는다. 이중 지난 3월까지 JP모건이 공시한 공매도 잔고가 8% 이상이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0.09.10 15:14
경제

상반기 주식재산 불린 총수 1위 서정진 회장 3조원 증가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이 국내 50대 그룹 총수 중 상반기 주식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서 회장은 올해 상반기 동안 주식 재산이 2조7015억원에서 5조8458억원으로 3조1442억원(116.4%)이나 증가했다. 셀트리온·셀트리온헬스케어·셀트리온제약 ‘셀트리온 삼형제’의 주가가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이슈와 관련해 주가 크게 상승했기 때문이다. 9일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가 자산 5조원 이상 대기업 집단(그룹) 중 총수가 있는 50대 그룹 총수·회장의 상반기 주식평가액 변동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조사 대상 52명 중 39명이 상장사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조사 대상에는 이건희 삼성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 2명도 포함했다. 주식부호 39명의 올해 1월2일 주식 평가액은 57조60150억원이었다. 지난달 30일 평가액은 56조5123억원으로 반년 만에 1조1026억원(1.9%) 감소했다. 39명 중 13명은 주식 재산이 증가한 반면, 26명은 줄었다.조원태 한진그룹 회장도 주식 재산이 1542억원에서 3094억원으로 100.6% 증가했다. 이외에 김범수 카카오 의장은 1조9067억원에서 3조3446억원으로 75.4%, 김익래 다우키움 회장은 1208억원에서 2058억원으로 70.3%, 박정원 두산 회장은 1670억원에서 2561억원으로 53.3% 증가했다. 이들과 달리 상반기에 주식 재산이 30% 이상 날아간 총수는 10명이다. 정몽원 한라 회장의 주식 재산은 1360억원에서 867억원으로 36.3%, 이우현 OCI 부회장은 755억원에서 481억원으로 36.2%, 김남구 한국투자금융 회장은 7991억원에서 5132억원으로 35.8% 감소했다. 정지선 현대백화점 회장 34.2%(4876억원→3208억원),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 33.1%(4조9975억원→3조3425억원) 등도 주식 재산이 30% 이상 줄어든 총수다.상반기 말 기준 주식 재산 1위는 이건희 삼성 회장이다. 다만 연초 17조3800억원에서 6월 말 15조6485억원으로 10% 이상 감소했다. 2위인 이재용 부회장의 주식 재산은 7조2760억원에서 7조2581억원으로 감소폭이 0.2%에 그쳐 별 변동이 없었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그룹 총수 중 주식재산 순위 6위에서 6월 말 3위로 뛰었고, 최태원 SK 회장은 재산이 3조3482억원에서 3조7767억원으로 12.8% 오르며 5위에서 4위로 올랐다. 김범수 카카오 의장은 8위였다가 5위권에 진입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0.07.09 11:08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