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산업

맥도날드 25일부터 4.8% 가격 인상...6개월 만에 또

한국맥도날드가 오는 25일부터 68개 메뉴의 가격을 평균 4.8% 인상한다. '더블 불고기 버거' 단품은 4400원에서 4500원으로 '빅맥' 단품은 4600원에서 4900원으로 각각 오른다. 이 외에 디저트, 음료, 스낵류가 가격 조정 대상에 포함된다. 앞서 맥도날드는 지난 2월 17일 30개 메뉴 가격을 100∼300원씩 인상한 바 있다. 약 6개월 만에 가격을 또 조정한 것이다. 맥도날드 측은 "원재료 가격, 물류비 등 국내외 제반 비용의 급등으로 이번에 가격 조정을 결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맥도날드 외에도 작년 말이나 올해 초 가격을 한 차례 올린 주요 버거 프랜차이즈가 최근 잇따라 추가 인상을 단행하고 있다. 버거킹은 지난 1월 33개 제품의 가격을 평균 2.9% 올린 후 지난달 29일 46개 제품의 가격을 평균 4.5% 추가 인상했다. 롯데리아도 작년 12월 약 60여개 제품의 가격을 평균 4.1% 올린 데 이어 지난 6월 81종의 가격을 평균 5.5% 더 인상했다. KFC 역시 지난 1월 징거버거와 오리지널치킨 등 일부 제품의 가격을 100∼200원 올린 후 지난달 12일 200∼400원 추가 인상했다. 이 외에도 맘스터치는 지난 2월 37개 메뉴의 가격을 올린 지 약 6개월 만인 지난 4일 50개 메뉴의 가격을 올렸다. 노브랜드버거는 작년 12월 버거 제품의 가격을 평균 2.8% 올린 데 이어 약 8개월 만인 이달 18일 40개 메뉴의 가격을 평균 5.5% 인상했다. 이들 업체 모두 원재료 값, 물류비, 인건비 등 제반 비용 상승을 가격 인상의 이유로 들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 2022.08.19 09:49
연예

롯데 식음료 계열사들, 작년에 이어 올해도 가격 인상 '앞장'

'유통 공룡' 롯데그룹의 식음료 계열사들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앞다퉈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다. 코로나19 혼란을 틈타 탄산음료는 물론 생수·햄버거까지 가격을 올리고 있다. 인상 요인은 매번 똑같다. 원재료 가격과 인건비 상승 부담이다. 업계에서는 코로나19 여파로 어려워진 서민 경제를 고려하지 않고 소비자에게 부담을 전가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롯데발 도미노 가격 인상' 우려도 나온다. 1일부터 사이다·햄버거값 올라 지난달 31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칠성음료는 이달 1일부터 칠성사이다·펩시콜라·마운틴듀 등 14개 브랜드의 가격을 인상한다고 밝혔다. 인상되는 브랜드는 칠성사이다 6.6%, 펩시콜라 7.9%, 마운틴듀 6.3%, 밀키스 5.2%, 레쓰비 6%, 핫식스 8.9%, 트레비 6%, 아이시스8.0 6.8% 등으로 평균 7% 인상된다. 이번 일부 음료 출고가 조정은 지난 2015년 1월 이후 약 6년 만이다. 롯데칠성음료 측은 "원가 개선과 비용 효율성 제고로 가격 조정을 억제했지만, 유통환경 변화와 인건비 상승 부담으로 제품 가격 인상을 결정했다"며 "소비자 부담을 더 하지 않도록 부단히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롯데그룹 외식사업 계열사 롯데GRS도 이날부터 프랜차이즈 브랜드 롯데리아의 메뉴 25종 가격을 100∼200원 인상한다. 대상 제품은 버거류 13종, 디저트 7종, 음료 2종, 치킨 메뉴 3종이다. 제품별로 각각 100원에서 200원씩 가격이 인상되고 평균 인상률은 약 1.5% 수준이다. 롯데리아 가격 인상은 2019년 12월 이후 약 1년 만이다. 제품별로 한우불고기버거가 단품, 세트 모두 200원씩 인상돼 각각 7000원에서 7200원, 8700원에서 8900원으로 오른다. 핫크리스피버거도 200원 인상되고 디저트류 중에서는 지파이 하바네로가 200원, 지파이고소한 맛이 100원 인상된다. 롯데GRS 역시 인건비 상승, 식자재 수입국의 수급 불안정과 단가 인상, 결제 수수료 증가 등을 가격 인상의 이유로 들었다. 회사 관계자는 “각종 부대 비용 상승 등 경제적 요인들로 인해 불가피한 결정을 내리게 됐다”며 “인기제품은 기존 가격을 유지하는 등 인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혼란 속 기습 인상 반복…업계 도미노 인상 우려 롯데 계열사들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업계 안팎에서는 코로나19로 힘든 시기에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 부담을 가중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앞서 롯데 계열사들은 지난해에도 코로나19 대유행 속에 기습적으로 가격 인상에 나서 여론의 따가운 눈총을 받은 바 있다. 롯데칠성음료는 코로나19 1차 유행기였던 지난해 4월 소매점에서 팔리는 칠성사이다·펩시콜라 355㎖ 캔 제품을 330㎖로 대체, '꼼수 가격 인상' 논란에 휩싸였다. 용량이 약 7%인 25㎖ 줄었으나 롯데칠성은 출고가를 동일하게 해 사실상 가격을 7% 올린 효과를 봤다. 롯데푸드 역시 지난해 6월 편의점에 납품되는 뽀모도로 스파게티의 가격을 은근슬쩍 3800원에서 최근 4300원으로 올렸다. 상승률은 13.2%에 달했다. 롯데제과는 지난해 9월 1일부로 목캔디와 찰떡파이의 가격을 순차적으로 평균 10.8% 인상했다. 더 큰 문제는 롯데의 가격 인상이 후발 업체들의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데 있다. 1등 업체가 단행하면 후발 기업들이 줄줄이 동참하기 때문이다. 소비자 비판을 덜 받는다는 심리가 작용해서다. 특히 프랜차이즈 업계는 롯데리아를 시작으로 맥도날드, 버거킹 등 다른 업체들도 가격 인상에 나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롯데리아가 가격 인상의 포문을 연 만큼 그동안 가격을 동결해왔던 다른 햄버거 프랜차이즈들도 가격 인상 카드를 언제 꺼낼지 고민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향후 업계의 가격 인상이 줄줄이 이어질 경우 소비자들의 부담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02.01 07:00
경제

롯데리아·맥도날드에 이어 버거킹까지 햄버거값 인상

롯데리아·맥도날드에 이어 버거킹도 햄버거 가격을 인상한다. 버거킹은 오는 24일부터 일부 햄버거 품목의 가격을 인상한다고 21일 밝혔다.와퍼는 기존 4900원에서 5000원, 와퍼주니어는 3500원에서 3600원으로 일부 햄버거류는 100원씩 인상되며, 콜라(R)를 비롯한 탄산 음료는 1600원에서 1700원으로 100원씩 인상된다. 이로 인해 해당 세트메뉴도 각각 200원씩 인상될 예정이다. 버거킹 관계자는 “2011년 인상 이후 근 3년동안 가격 인상이 없었으나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한 꾸준한 원자재 상승이 압박 요인이 되어 부득이하게 가격 인상을 결정하게 되었다”고 인상 배경을 밝혔다.상대적으로 경제적인 햄버거 세트메뉴 구성의 ‘히어로 3900원 시리즈’와 핫도그·아메리카노·아이스크림 등 1000원대 스낵메뉴로 이루어진 ‘와우 시리즈’의 가격은 그대로 유지된다. 아침메뉴와 디저트 메뉴도 인상하지 않을 방침이다. 이소은 기자 luckysso@joongang.co.kr 2014.03.21 14:42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