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연예

[알쓸신곡] 버벌진트, '공인' 아닌 연예인…"숨 좀 쉬자"

※알고 들으면 쓸모있는 신곡. '알쓸신곡'이 오늘의 노래를 소개합니다. 매일 쏟아지는 음원 속에서 모르고 놓치면 후회할 신곡을 추천해드립니다. 버벌진트가 연예인 고충을 격한 감정으로 풀었다. 공적인 일을 하는 것이 아닌, 표현의 자유가 있는 예술인으로서 대중을 향해 목소리를 높였다. 버벌진트는 6일 오후 6시 일곱 번째 정규 앨범 '변곡점'을 발매했다. 2015년 'GO HARD Part1 : 양가치'(고 하드 파트1) 이후 약 6년만의 정규다. 버벌진트는 오래 공들인 정규를 꺼내기 위해 작사, 작곡, 뮤직비디오 등 전반적인 제작에 참여했다. 앨범에는 더블 타이틀곡인 '공인'과 '나는 하수다'를 비롯해 'Gone for a Minute'(곤 포 어 미닛) 'Hey VJ'(헤이 브이제이) '걷는 중' 'Open Letter'(오픈 레터) '흑화의 뜻' '내가 그걸 모를까' '아홉수' '물론 아냐 라면' '비정한 세상 피토하는 음악' 'My G-Wagen'(마이 쥐-웨건) '불협화음' '변곡점 Outro'(아웃트로)까지 총 14 트랙이 수록됐다. 버벌진트가 전곡 작사 작곡에 참여했으며 피처링 라인업에는 스윙스, 한요한, 빅나티, 수퍼비, 마미손, 릴보이, 커브 문이 이름을 올렸다. 타이틀곡 '공인'에 대해 소속사는 "단어에 대한 통찰을 담은 곡이다. 버벌진트는 일상생활 속 자신을 바라보는 각양각색의 시선들을 특유의 철학적인 가사로 표현했다"고 설명했다. 스윙스도 작사에 참여해 '공인'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힘을 보탰다. 화끈한 가사로 19세 미만 청취불가 판정을 받았다. '쟤 가수래 가수' '쟤 연예인이래' '쟤 공인이잖아' '아 쟤 뮤지션이지'라는 대중의 여러 반응들을 노랫말에 담았다. 자신의 과오를 도입부에 꺼내면서 리스너들의 시선을 끌었다. 특히 청렴결백한 연예인을 기대하는 대중에게 '뭐 잘못 하나 걸리기를/ 침 흘리며 기다리겠지' '숨 좀 쉬자, 숨 좀 쉬자 허 허/ 난 표현의 자유를 믿어 불만 없어/ 난 흙수저 집안야 욕을 먹고 컸어'라는 반발의 감정도 실었다. 뮤직비디오에서 버벌진트는 교수로 출연했다. 파격 헤어스타일과 콧수염이 인상적이다. 연출 기법은 연극 무대 형식을 가져왔다. 소속사는 "본인의 삶에서 버벌진트를 바라보는 시선들을 여섯 배우들과 함께 연기했다"고 부연했다. 황지영기자 hwang.jeeyoung@jtbc.co.kr 2021.04.06 18:00
연예

[투데이IS] 버벌진트, 14트랙 담은 정규7집 '변곡점' 컴백

버벌진트가 새 정규 앨범으로 돌아온다. 소속사 아더사이드에 따르면 버벌진트는 6일 오후 6시 일곱 번째 정규 앨범 '변곡점'을 발매한다. 2015년 'GO HARD Part1 : 양가치'(고 하드 파트1) 이후 약 6년만의 정규다. 이번 앨범에는 더블 타이틀곡인 ‘공인’과 ‘나는 하수다’를 포함해 ‘Gone for a Minute’ ‘Hey VJ’ ‘걷는 중’ ‘Open Letter’ ‘흑화의 뜻’ ‘내가 그걸 모를까’ ‘아홉수’ ‘물론 아냐 라면’ ‘비정한 세상 피토하는 음악’ ‘My G-Wagen’ ‘불협화음’ ‘변곡점 Outro’까지 총 14 트랙이 수록된다. 버벌진트가 전곡 작사 작곡에 참여했다. 한국 힙합을 대표하는 뮤지션인 스윙스, 한요한, 빅나티, 수퍼비, 마미손, 릴보이를 비롯해 신예 curv moon 등이 피쳐링에 참여해 완성도를 높였다. 타이틀곡 '공인'은 범대중적으로 쓰이는 '공인'이란 단어에 관한 통찰을 담은 곡이다. 버벌진트는 일상생활 속 자신을 바라보는 각양각색의 시선들을 특유의 철학적인 가사로 표현했다. 여기에 스윙스가 피쳐링에 참여해 '공인'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힘을 보탰다. 뮤직비디오는 '좋아보여' '충분히 예뻐' '굿모닝' '시작이 좋아' '이게 사랑이 아니면' '비범벅' 등 버벌진트의 대표곡들의 뮤직비디오를 탄생시켜왔던 MJJ 문승재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버벌진트는 극중 교수로 출연했다. 그는 본인의 삶에서 버벌진트를 바라보는 시선들을 여섯 배우들과 함께 한편의 연극 무대로 담아냈다. 소속사는 "이번 앨범은 ‘Gone for a Minute’으로 시작해 ‘변곡점 Outro’까지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듯한 서사로 구성됐다. 버벌진트가 묵묵히 걸어온 6년간의 발자취를 되짚어 볼 수 있는 특별한 앨범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 "올해는 래퍼들의 교과서로 평가받는 앨범 'Modern Rhymes(모던 라임즈)'의 발매 20주년이기도 하다. 이에 기념하는 앨범도 발매 예정이니 많은 기대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황지영기자 hwang.jeeyoung@jtbc.co.kr 2021.04.06 15:12
연예

[인터뷰②] 스컬 "성공은 차트가 아니라 곡을 쓰는 순간 결정된다"

'한국 레게의 자존심'이라고 불리는 사나이가 있다. 바로 스컬이다.국내 대중 가요 중에서 레게는 낯선 장르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스컬은 음악을 시작한 고등학교 2학년 때부터 한 번도 레게의 품을 벗어난 적이 없다.최근엔 하하와 손을 잡고 예능에서도 레게 알리기에 나섰다. 레게신의 발전을 위해 정성을 쏟았고, 레게의 본 고장인 자메이카에서 먼저 스컬을 알아봤다. 지난해 9월엔 세계적인 뮤지션 밥 말리의 아들이자 다수의 그래미 시상식 수상자인 스티븐 말리와 함께 '러브 인사이드'로 자메이카 차트 1위를 달성했다.하지만 아직도 국내에서의 레게신은 미약하다. 그는 "예능으로 많이 알려졌지만 아직 부족하다. 힙합신처럼 부흥이 일어났으면 좋겠다"며 "레게가 허름한 옷을 입고 음악을 하지만, 사실 가난하지 않다. 레게 정신이 험블하기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 것 뿐"이라며 웃음을 보였다. 이하 일문일답.- 다른 아티스트와 작업할 때 힘들었던 점은."외부 아티스트 같은 경우는 그 친구가 뭘 하고 사는지, 듣는 음악이 뭔지도 모르기 때문에 멜로디를 보낼 때 어떤 결과물이 나올지 막연한 두려움이 있었다. 좋은 게 올 수도 있고 안 좋을 수도 있지 않나. 어떤 방향성을 정해서 보내면 창작자에 대한 배려가 없게 느껴진다. 오랜만에 외부 아티스트들과 작업을 했는데 둘 다 내가 생각했던 레벨보다 높아서 좋았다."- 해외 아티스트들과 작업할 때도 같은 고민을 하나."당연하다. 가끔 1을 해달라고 보내면 10을 해서 보내줘서 '이걸 잘라서 써도 되나'라는 고민을 한 적도 있다. '잘랐다고 화내면 어쩌지'라는 생각이 들더라. 과감히 몰래 잘랐다.(웃음)"- 해외 아티스트들의 작업 방식인가."국내와 해외 차이는 아니고, 그분이 그냥 기분이 좋았던 것 같다. 버벌진트도 8마디 요청했는데 16마디를 가져왔다."- 레게라는 장르가 한국에선 취약하다."레게로 많이 알려져 있는 내가 앨범을 많이 냈어야했는데 지난해 두 곡만 발표했다. 그래서 올해는 못 도망가게 날짜를 타이트하게 잡았다. 레게를 더 널리 알리려고 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취약한 기반을 넓히기 위해 해야할 일이 있다면."아무래도 인디보다 스컬과 하하가 인지도가 있기 때문에 책임감이 있다. 개인적인 명예와 욕심이 있지만 레게신을 위해서 활발하게 활동을 해야 앞으로도 우리나라에서 레게가 없어지지 않을 것 같다. 올해 목표 중 하나가 레게가 힙합신처럼 유명해지는 거다. 이는 아티스트 한 명이 떠서 될 일은 아니다. 과연 '그게 뭘까'라는 회사에서 회의를 많이 했다. 그 답은 내가 솔로로서 곡을 많이 발표는 것이었다. 결과가 좋지 않더라도 들으시는 분들이 재미를 느꼈으면 좋겠다."- 레게 본고장에서도 인정 받았는데 한국에서의 인지도는 아직이다. 섭섭하진 않나."섭섭한 건 없다. 떼쓴다고 될 문제는 아니지 않나. 내 음악이 그 정도인 것 같다. 변명은 얼마든지 만들 수 있다. 그래서 이번 앨범에 고민을 하고 더 좋은 곡을 내려고 고뇌의 시간을 거쳤다. 운도 따라줘야 한다. 반짝 사랑 받는 것 보다 롱런하는게 중요할 것 같다." - 1위를 하고 싶나."모든 가수들이 1위하고 싶은 건 똑같겠지만 내 음악이 레게의 매력을 발산하기에 좀 모자랐던것 같다. 하지만 1위를 해 본 적이 없기 때문에 내려 가 본 적도 없다. 이제 올라갈 일만 있다."- 차트 욕심이 있다."차트 욕심 있긴 하다.(웃음) 무조건 높으면 좋겠지만. 계획 했던 대로 10개의 디지털 싱글을 내면 성공이라고 자축할 것같다. 작년에도 안 냈으니까.(웃음)"- 어떤식으로 성공 여부를 판단할 건가."항상 음악하는 친구나 동생에게 하는 말이 있다. 바로 '지금 곡을 쓰는 이 순간, 네가 펜을 잡고 있는 이 새벽에 성공과 실패가 결정된다. 프로모션을 하고, 인터뷰를 하고, 뮤직비디오를 잘 찍느냐에 승패가 갈리지 않는다'다. 이 순간 집중해서 좋은 음악을 만드는 게 성공인 것 같다. 최소한 내 음악을 좋아한다면 찾아서 듣는다. '스컬 음악은 좋아' '역시 스컬' 등의 평을 듣는 게 성공이다. 앨범을 몇 장 팔았다는 건 성공의 척도가 아니다."이미현 기자 lee.mihyun@joins.com사진=콴 엔터테인먼트 제공 [인터뷰①] 스컬 "하하와의 작업, 마이너였으면 진작에 헤어졌다"[인터뷰②] 스컬 "성공은 차트가 아니라 곡을 쓰는 순간 결정된다"[인터뷰③] 스컬 "레게하면 가난하다? 뭐든 1인자는 재벌이다" 2017.02.13 10:22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