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경제

전기차에 트럭까지…사이드미러 대신 ‘카메라'

100년 넘게 운전자의 안전을 책임진 사이드미러가 역사 속으로 사라질 날도 얼마 남지 않았다. 완성차 제조사들이 사이드미러 대신 고성능 카메라를 장착해 사각지대를 없앤 미러리스(Mirrorless) 자동차를 앞다퉈 출시하고 있어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메르세데스 벤츠 트럭은 최근 사이드미러 대신 미러캠(카메라)이 달린 트럭 '뉴 악트로스'를 국내 출시했다. 국내 최초의 미러리스 트럭인 뉴 악트로스는 사이드미러 대신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로 차 주변 상황을 운전자에게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또 공기 저항을 최소화해 약 1.3%(유럽 기준)의 연료 소모 절감을 실현했다. 앞서 아우디도 지난 7월 국내 최초로 사이드미러가 없는 양산형 전기차가 'e-트론 55 콰트로'를 출시한 바 있다. e-트론 차량 양쪽에는 ‘버추얼 사이드미러’가 들어갔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거울형 사이드미러가 아니라 카메라 기반의 사이드미러 시스템이다. 카메라 기반의 사이드미러 화면은 차량 내부 OLED 디스플레이에서 실시간으로 살펴볼 수 있다. 렉서스도 지난 2018년 사이드미러 대신 ‘디지털 사이드뷰 모니터’를 장착한 ‘ES’ 모델을 일본 내수 전용으로 출시한 바 있다. 올해 3월부터는 유럽 일부 국가에서도 판매를 시작했다. 렉서스 관계자는 "현재 국내 도입 계획은 없지만,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 종합적으로 검토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국내 완성차 업계도 조만간 미러리스 차를 선보일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현재 일반 유리와 카메라가 혼합된 형태의 사이드미러를 넣은 신차를 계속 출시하고 있다. 현대차 쏘나타, 그랜저, 팰리세이드, 기아차 K5, K7, K9 등이 대표적이다. 또 ‘프로페시’ ‘비전T’ 등 사이드미러가 없는 형태의 콘셉트카를 여러 차례 선보여왔다. 업계에서는 현대차가 '45 EV' 콘셉트를 기반으로 준비 중인 전기차 ‘아이오닉 5’에 미러리스가 적용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처럼 완성차 제조사들이 미러리스 카를 앞다퉈 선보이는 이유는 사이드미러가 있던 공간을 활용해 디자인 측면에서 획기적인 시도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사이드미러의 크기가 작아지면 공기 저항도 최대 2∼7%가량 줄어 사이드미러에서 발생했던 풍절음 등 외부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연비 개선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사이드미러는 디자인 측면은 물론 공학적으로도 거추장스러운 부분"이라며 "사이드미러를 카메라로 바꾸면 차량의 공기저항이 낮아지고, 연비도 높아져 일거양득의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기존 방식과 달리 실내에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해야 하는 만큼 익숙하지 않은 운전자의 경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미러리스 카는 장점도 많지만, 전기부품 증가로 고장 확률이 늘어나는 단점도 있다"며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안전성과 내구성 확보가 대중화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09.17 07:00
경제

상반기 570% 성장한 수입 전기차…하반기도 달린다

수입차 업체들이 국내 전기차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 달이 멀다 하고 새로운 전기차를 쏟아내고 있다. 1억원이 넘는 고가의 차량부터 2000만원대 구매가 가능한 소형차까지 종류도 다양하다. 상반기 주춤한 국내 업체들은 하반기에 이렇다 할 신차가 없어 속수무책으로 시장을 내줘야 하는 상황이다. 12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기차는 총 2만2267대가 판매돼 전년 동기(1만8104대)보다 22.9% 증가했다. 눈길을 끄는 부분은 수입차의 약진이다. 올 상반기 국내 업체의 판매가 1만4563대로 전년(1만6774대)보다 13.1% 감소한 사이에 수입 전기차는 7414대로 전년(1103대)보다 572.1% 증가한 실적을 보였다. 점유율도 국산 업체는 지난해 92.7%에서 올해 64.5%로 30% 줄어든 반면, 수입 전기차 점유율은 6.1%에서 33.5%로 대폭 늘었다. 상반기 모델별 판매량을 보면 국내 업체의 전기차 하락세는 더욱 뚜렷하다. 현대차 아이오닉 EV는 738대, 코나 EV는 4139대로 각각 16.4%, 46.2% 하락했다. 기아차 쏘울 EV와 니로 EV도 237대, 2072대로 79.0%, 47.6%나 줄었다. 한국GM 볼트 EV는 1285대로 23.5% 감소했고 르노삼성차 트위지도 421대로 59.4% 줄었다. 반면 수입 전기차는 테슬라가 시장을 주도했다. 지난해 417대에서 올 상반기 7080대로 1597.8%의 성장세를 보였다. 이는 올 상반기 전체 전기차 판매 중 32.1%에 해당한다. 모델별로 살펴보면 보급형인 모델3는 6841대, 모델S는 113대, 모델X는 126대로 집계됐다. 하반기에도 수입 전기차의 강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수입차 업체들은 1억원대의 고가 전기차부터 합리적인 가격을 내세운 모델까지 다양한 신차를 선보이며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수입차 판매량 1위 메르세데스 벤츠코리아는 지난 6월 말 전기차 '더 뉴 EQC 400 4매틱 프리미엄'을 출시하고, 올해 하반기 판매 확대에 나섰다. EQC는 벤츠의 전기차 브랜드 EQ의 순수 전기차 모델이다. 최고출력은 408마력, 최대토크 77.4kg·m, 1회 충전 주행거리는 309km이다. 판매 가격은 1억140만원이지만 정부의 저공해 차 구매 보조금 지원 대상에 포함됐다. 국고보조금 630만원, 지방자치단체 지원금은 서울의 경우 450만원 등으로 총 8470만원에 구매할 수 있다. 아우디코리아는 지난달 1일 브랜드 첫 순수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아우디 e-트론 55 콰트로'을 내놨다. 기존 사이드미러 대신 카메라를 통해 주변을 볼 수 있는 버추얼 사이드미러를 양산차 중 처음으로 탑재한 것이 특징이다. 두 개의 전기 모터와 전자식 콰트로를 탑재해 최고출력은 360마력, 최대 토크 57.2kg·m의 힘을 낸다. 가격은 1억1700만원이다. 푸조도 지난달 28일 전기차 '뉴 푸조 e-208'과 '뉴 푸조 e-2008 SUV'를 선보였다. 두 모델 모두 50kWh 배터리를 탑재해, 최고출력 136마력, 최대 토크 26.5kg·m의 성능을 발휘한다. 가격은 4100만~4890만원이다. 국고보조금 653만원과 지자체 보조금을 추가로 지원받으면 2000만~3000만 원대에 구매할 수 있다. 10월엔 시트로엥 고급 브랜드 'DS'의 첫 번째 전기차 'DS3 크로스백 E텐스'가 한국 땅을 밟는다. DS3 크로스백 E텐스는 50㎾h 배터리를 탑재해 최고출력 136마력, 최대토크 26.51kg·m의 성능을 발휘한다. 1회 완전 충전 시 237㎞를 주행할 수 있다. 50㎾ 출력의 급속 충전기 기준으로 1시간에 약 80%의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다. 가격은 4800만~5300만원으로 책정될 예정이다. 수입차의 신차 공세에 국내 업체들은 손 놓고 구경만 해야 할 처지에 놓았다. 이렇다 할 신차가 없어서다. 유일한 신차는 르노삼성차의 '조에'다. 프랑스 브랜드 르노의 소형 전기차인 조에는 52kWh급 배터리 탑재해 1회 충전 시 309㎞ 주행이 가능하다. 전기차의 연료효율을 나타내는 전비는(1kWh당 주행거리) 5.94㎞ 수준이다. 르노삼성차는 오는 18일 조에 공개 행사를 갖는다. 가격은 3995만~4495만원으로 책정됐다. 보조금 적용 시 최저 2259만원에 구매가 가능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르노삼성 조에도 사실상 수입차인 만큼 하반기 전기차 시장은 수입차들의 전쟁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며 "국산차와 수입차의 전기차 시장 승부는 내년 차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가 적용된 현대·기아차의 신차들이 출시된 이후에나 이뤄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08.13 11:00
경제

[안민구 기자의 온로드] "테슬라 게 섰거라"… 독일산 전기차, 아우디 e-트론

아우디가 전기차 시장에 뛰어들었다. 국내 최초로 사이드미러가 없는 양산형 전기차 'e-트론 55 콰트로(이하 e-트론)'를 앞세워서다. 벤츠, BMW 등 경쟁사들보다 늦게 출발했지만 남보다 앞서는 고효율 에너지 회수 기능을 앞세워 프리미엄 전기차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입증하겠다는 포부다. 실제 주행 성능은 어떨까. 지난 16일 강원도 홍천 일대에서 e-트론을 직접 몰아봤다. 170km가량 지방도와 고속도로를 달렸다. 국내 첫 '사이드미러 없는 전기차' e-트론 디자인은 아우디의 스포츠다목적차(SUV)인 Q시리즈와 별반 차이가 없다. 크기도 전장·전폭·전고가 각각 4900·1935·1685㎜로 'Q5'와 'Q7' 사이에 위치한다. 전기로 가는 'Q6'라고 보면 된다. 특히 그릴이 뚫려있어 내연기관 자동차와 크게 다르지 않은 인상을 풍겼다. 전체적인 외관도 아우디의 다른 SUV와 동일한 정체성을 유지했다. 실내 역시 마찬가지다. 소재가 미묘하게 달라진 정도다. 운전석도 터치스크린 2개와 평평한 대시보드 등 기존 Q시리즈 실내 디자인 형태가 그대로 들어왔다. 물론 변한 곳도 있다. 변속기는 주행할 때 편하게 잡고 갈만한 손잡이로 바뀌었고, 독특한 도어 손잡이, 큰 각으로 움푹 들어간 대시보드 디자인 등에서는 미래지향적인 디테일이 돋보였다. 가장 눈길을 끄는 부분은 새롭게 적용된 '버추얼(가상) 사이드미러'다. 거울이 달린 사이드미러가 설치돼야 할 자리에 카메라 렌즈를 설치하고, 거울 대신 실내에 설치된 스크린을 통해 차량의 측후방을 확인하도록 한 장치다. 차량을 처음 접하면 외관에 사이드미러 대신 'ㄱ'자 모양의 구조물과 그 끝부분에 렌즈가 달린 형태에 눈길이 간다. 실내에 탑승했을 때도 차량 1열 좌우 문짝에 스크린이 설치돼 측후방을 확인할 수 있어 신기함을 더한다. 성능은 두말할 필요 없다. 카메라 특성상 거울이 비추지 못한 화각까지 좀 더 넓게 담아낸다. 화질도 나쁘지 않다. 다만 어두운 터널 안에서는 뒤차의 라이트로 인한 빛 번짐이 있다. 주행 중 불편을 느낄 정도는 아니다. 주차 시 자동으로 접히지 않아 손으로 접어야 하는 점에서는 아날로그의 향기마저 남아있다. 서울~부산도 'OK' 아우디 e-트론은 두 개의 전기모터를 품고 있다. 합산 최고출력 360마력(265kW)과 최대토크 57.2kg·m의 힘을 낸다. 부스트 모드 사용 시 각각 408마력(300kW)과 67.7kg.m로 향상된다. 고급 스포츠카에 맞먹는 수준이다. 100km/h까지 가속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6.6초이며, 배기가스는 당연히 배출하지 않는다. 실제 주행 결과, 속도를 안정감 있게 뽑아내는 탓에 160km/h로 내달려도 풍절음조차 미미해 소위 말하는 속도감이 느껴지지 않았다. 그 이상의 속도도 무리 없어 보인다. 스포츠 모드가 아닌 일반 모드 주행 시에는 초반 엑셀 반응이 둔한 편이다. 다만 어느 정도 속도를 붙이고 나면 반응이 좋아진다. 여타 전기차처럼 밟은 만큼 뛰쳐나가는 느낌을 줄이기 위해 일부러 그렇게 세팅한 것처럼 보인다. 또 터널 안을 지날 때면 타이어 소음 배기음이 울리기 마련이다. 하지만 e-트론 55 콰트로는 거슬리지 않을 정도로 잘 제어됐다. 관건은 주행 가능 거리다. 국내에서 307km 공인 주행거리를 인증받은 e-트론은 수치상 서울에서 부산까지(456km) 갈 수 없다. 좀 더 긴 주행거리를 원하는 소비자들에게 실망스러울 수 있는 부분이다. 하지만 실제 주행에서는 얘기가 달라진다. '회생제동 시스템' 덕분이다. 저속으로 주행할 때뿐만 아니라 브레이크를 밟을 때마다 발생하는 제동력을 전기 에너지로 바꿔주는 기능이다. e-트론의 제동력 회수율은 약 30%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실제로 주행을 시작할 때 200km였던 주행가능 거리가 15분가량 내리막길 주행 후 220km로 약 20km가량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심 서울에서 부산도 갈 수 있을 거란 생각마저 들었다. 김성환 아우디 상품 담당 책임은 "에어컨을 켜고 정속주행을 진행하게 되면 e-트론은 한번 충전으로 서울부터 부산까지 갈 수 있다"며 "e-트론을 타고 서울부터 부산까지 무충전 주행을 해봤다"고 말했다. 충전 시설이 부족한 점은 아쉽다. 아우디는 전국 네트워크에 24시간 사용 가능한 충전기를 구축했다. 하지만 서울의 경우 충전 가능 매장은 12곳뿐이다. 거주지에서 완속 충전이 가능하지 않다면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불편할 수밖에 없다. 가격도 1억1700만원으로 분명 부담스러운 요소다. e-트론의 전기차 보조금 지급 여부는 내달 확정될 예정이다. 보조금이 적용되면 실제 구매 가격은 9000만원 내외가 될 전망이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07.23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