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산업

LG에너지솔루션, 7.2조 들여 애리조나에 북미 최대규모 공장 짓는다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애리조나주 퀸크릭에 7조2000억원을 투자해 북미 시장 선점에 나선다. LG에너지솔루션은 24일 미국 애리조나주 퀸크릭에 7조2000억원을 투자, 신규 원통형 및 ESS(에너지저장장치) LFP 배터리 공장을 건설한다고 밝혔다. 총 생산능력은 43GWh로 북미 지역에 위치한 글로벌 배터리 독자 생산 공장 중 사상 최대 규모다.이날 이사회를 통해 지난해 6월 재검토를 결정했던 애리조나 원통형 배터리 독자 생산 공장 건설을 재개하기로 결정했다. 이어 투자금액 및 생산규모를 각각 4조2000억원, 27GWh로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또 같은 부지 내에 3조원을 별도 투자해 총 16GWh 규모의 ESS LFP 배터리 생산 공장을 건설하기로 했다. ESS 전용 배터리 생산 공장을 짓는 것은 글로벌 배터리 업체 중 처음이다.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3월 애리조나주에 1조7000억원을 투자해 11GWh 규모의 원통형 배터리 생산 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이후 글로벌 경제환경 악화에 따른 투자비 급등으로 투자 시점 및 규모, 내역 등에 대해 면밀하게 재검토한다고 공시한 바 있다.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 시행에 따라 북미 지역 내에서 고품질·고성능 배터리의 안정적인 공급에 대한 고객들의 요청이 크게 증가했다”며 “이에 따라 기존 계획했던 투자를 대폭 확대해 고객 및 시장 수요에 적극 대응해 나가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이를 위해 LG에너지솔루션은 이날 미국의 이차전지 생산 및 판매 업체(LG Energy Solution Arizona ESS)에 약 1조5099억원을 출자한다고 공시했다.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조처의 목적을 "북미 ESS전지 생산 거점 구축을 통한 수요 대응 및 고객 확보"라고 밝혔다.이어 미국의 이차전지 생산 및 판매 계열사(ES America)에 약 7260억원을 출자한다고 공시했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3.24 15:25
스포츠일반

`세계 속의 넥슨` 이제부터다!

역시 넥슨답다. 미국 지사 설립, 캐나다 개발스튜디오 설립, 미국 바이아컴과 마케팅 제휴, 콘솔 게임 개발, 애니메이션 사업 진출…. 지스타2006 첫날부터 넥슨은 데이비드 리 넥슨재팬 대표의 주도 아래 6개월 동안 꼼꼼이 준비한 해외사업부문의 전략 및 대규모 제휴건을 잇달아 발표해 최대 이슈메이커가 되었다. '지스타가 아니라 넥스타'란 질시와 탄성을 자아낸 넥슨의 글로벌 전략을 들여다본다.▲지스타 2006 넥슨 부스에서 열린 2차리그 결승전의 모습. ■ "북미로 퍼져라, 넥슨 DNA" 북미 개발 스튜디오 책임자로 영입된 알렉스 가든은 "넥슨 DNA가 국제용"이라고 했다. 넥슨 DNA는 다른 말로 말하면 창의성, 게이머만이 아닌 소비자를 향한 엔터테이너로서의 개발 능력이다. 사실 넥슨의 글로벌 파워는 지금도 가공할 만하다. 가 중국에서 동시접속자 70만명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고, 의 지구촌 회원은 5000만명이다. 해외에서의 월 매출 100억원, 넥슨의 전체 매출 40%가 해외서 나온다.   이 모든 게 남녀노소 전계층 대상의 '즐거운 놀이터'란 컨셉트로 잇달아 성공시킨 경험에서 출발한다. 개발 능력, 성공 경험, 인재 중심의 넥슨 브랜드가 글로벌 전략의 최우선 타깃으로 삼는 것은 북미시장이다.   넥슨은 미국의 바이아컴과 마케팅 제휴를 했고, 또한 북미 개발 스튜디오 및 미국 지사 통해 북미·유럽 시장 본격 공략하기로 했다. 바이아컴은 시가 총액 30조, 2005년 매출 10조, 영업이익만 2조 4000억원에 달하는 명실공히 북미최대 미디어 그룹이다. MTV 등 133개 채널 보유 178개국 5억명이 시청하는 메이저급으로 32개 언어로 방송되며 파라마운트 등 영화사 다수를 거느리고 있다. 내년부터는 MTV 및 MTV 닷컴 등 웹사이트 방문 순위 1위의 채널과 온라인 통해 넥슨의 광고를 볼 수 있을 것 같다.   ■ , 애니·Xbox용 콘솔로 개발   넥슨은 또한 콘솔 게임·애니메이션·머천다이징 등 새로운 영역에도 공격적으로 진출한다. 진정한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회사로서의 면모를 갖춰 나가겠다는 전략이다.   콘솔 플랫폼 진출에도 두 가지 프로젝트를 마련했다. 아직 타일틀 명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온라인 기반의 게임을 닌텐도 DS 타이틀로 만들고, 를 Xbox 용으로 컨버전화한다. 또한 일본 굴지 애니메이션사인 매드하우스에서 의 애니메이션화를 진행중이고, 국내 전문 제작 스튜디오인 동우 애니메이션을 통해 도 만화화한다.   이밖에 미국의 권위 있는 조사에서 '가장 오래 머무르는 사이트' 12위에 선정된 세계적인 아바타 게임 사이트인 니오페츠와 부분 유료화 공동 전개 및 아시아 지역에서의 서비스도 진행한다. 어린이를 비롯 젊은 고객을 다양한 플랫폼으로 끌어들이는 동일한 유저층을 보유한 두 회사의 제휴도 주목된다.   하지만 이렇게 대대적으로 해외 전략을 발표했지만, 아직 현지의 인식과 습관의 변화가 미미하다는 것과 이번에 영입한 알렉스 가든 등 스타 개발자들이 한국 영화 한편 안 본 '역현지화'가 안 된 점이 옥에 티로 꼽히고 있다.   "북미시장서 넥슨이 3년 정도 앞서 있다" -지스타 피플·알렉스 가든   알렉스 가든(26·사진)은 넥슨의 북미지역을 총괄하는 비밀병기다. 실시간 전략시뮬레이션(RTS)의 역사인 시리즈, 등 개발한 스타 개발자다.   그는 북미에서 온라인 게임 시장 진출이 시기상조라는 우려에 대해 "선두 게임회사들의 전망이 이미 변하고 있다"며 " 의 경우 개발 초창기에 미국에 들어가 성공했다. 이게 가능성의 증거다. 그런 의미에서 넥슨은 타업체에 비해 3년은 앞서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온라인 게임은 북미에서 동양적 방식, 아시아 또는 한국의 문화현상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한국의 피시방, 강력한 네트워크 인프라, 강한 커뮤니티성 등에서 기인한 문화현상으로 본 것.   하지만 북미의 메인 게임인 콘솔이 '취미로서의 게임'이라면, 앞으로는 '사람을 위한 엔터테인먼트 게임'이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는 것이 최근 북미 업계의 공통 인식이라는 것. 그는 넥슨의 캐주얼 게임 성공에 높이 평가하는 한편, 경쟁상대도 콘솔이나 MMORPG가 아니라 마이스페이스닷컴· ·DVD라고 말했다.   박명기 기자 2006.11.15 09:5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