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8건
산업

20대 건설사 공사 현장 사망자 25% 증가...사상자는 1868명

20대 건설사의 공사 현장에서 불의의 사고로 발생한 사망자가 25%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용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토교통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정부의 시공 능력 평가 상위 20위 건설사들의 건설 현장 사고로 인한 사상자는 총 1868명으로 조사됐다.지난해 사상자는 전년(2259명)보다는 17.3% 줄었지만 2년 전인 2022년(1666명)과 비교하면 12.1% 늘었다. 사망자는 35명으로 전년(25명)보다 25.0% 증가했다.부상자는 전년(2231명)보다 17.8% 감소한 1833명으로 나타났다.이는 정부 건설공사 종합정보망(CSI)에 등록된 사망 또는 3일 이상 휴업이 필요한 부상자 수와 1000만원 이상 재산피해 사고 건수를 집계한 자료로 시공사 등은 건설기술 진흥법에 따라 사고가 발생하면 즉시 CSI에 신고해야 한다.건설사 중 지난해 현장에서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대우건설로 모두 7명이 숨졌다. GS건설과 포스코이앤씨(각 5명), 현대건설(3명)이 뒤를 이었다.사망 사고가 없었던 곳은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 호반건설, DL건설, 중흥토건 네 곳이었다.다만 삼성물산은 다친 사람이 모두 273명으로 부상자가 가장 많았다. 이어 DL건설(172명), 현대건설·SK에코플랜트(각 141명), 현대엔지니어링(137명), 계룡건설(112명) 등의 순이었다.이를 포함해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상위 20위 건설사들의 공사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총 96명, 부상자는 5697명으로 집계됐다.이 기간 삼성물산(682명)과 현대건설(349명)은 사상자 수 기준으로 매년 나란히 1위와 2위를 유지했다.지난해 공사 현장에서 1000만원 이상 사고 피해가 발생한 곳은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 DL이앤씨, 포스코이앤씨, SK에코플랜트, DL건설, 서희건설 8곳이었다.박용갑 의원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건설 현장 사상자 수는 전혀 줄고 있지 않다"면서 "시행 3년이 지난 지금 처벌이 아닌 예방 위주로의 법 개정 논의와 정부의 철저한 관리 감독 및 점검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김두용 기자 2025.02.02 15:22
생활/문화

어제 서울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466명…역대 세 번째

서울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역대 세 번째로 많은 수치를 나타냈다. 26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전날 서울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466명이다. 역대 최다 기록이었던 24일의 신규 확진자는 552명이다. 두 번째로 많았던 지난 19일의 신규 확진자는 473명이다. 어제 서울의 코로나19 사망자는 7명으로 누계 155명으로 집계됐다. 26일 0시 기준 서울의 확진자 누계는 1만7068명이다. 격리 중인 환자는 7433명, 격리에서 해제된 사람은 9480명이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0.12.26 10:04
경제

신규확진 61명, 나흘만에 다시 두 자릿수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100명 아래로 떨어졌다. 지난 22일(61명) 이후 나흘 만의 두 자릿수 기록이다. 그러나 요양시설과 어린이집 등 곳곳에서 새로운 집단감염 사례가 발견되는 데다 감염 경로를 알지 못하는 '불분명' 환자 비중도 25%에 달해 언제든 감염 규모가 다시 커질 수 있는 상황이다. 방역당국은 인구 이동량이 많은 추석 연휴(9.30∼10.4)가 코로나19의 재확산과 진정을 가르는 중대 기로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1명 늘어 누적 2만3516명이라고 밝혔다. 전날(114명)보다 확진자 숫자가 53명 적다. 일일 신규 확진자는 지난 23∼25일(110명→125명→114명) 사흘 연속 세 자릿수를 나타냈으나 이날 다시 두 자릿수로 내려왔다. 앞서 신규 확진자는 지난달 27일 441명까지 치솟았지만 이후 300명대, 200명대로 점차 감소한 데 이어 이달 3일부터 19일까지 17일 연속 100명대를 나타낸 뒤 20∼22일(82명→70명→61명) 사흘간 잠시 두 자릿수까지 떨어졌었다. 이날 신규 확진자 61명의 감염 경로를 보면 지역발생 49명, 해외유입 12명이다. 지역발생 확진자가 50명 아래로 떨어진 것은 지난달 13일(47명) 이후 44일 만이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25명, 경기 13명, 인천 1명 등 수도권이 39명이다. 수도권 지역발생 확진자는 전날(83명)보다 44명 감소하며 지난 22일(36명) 이후 나흘 만에 50명 아래로 내려왔다. 주요 감염 사례를 보면 수도권에서 크고 작은 집단감염이 새로 발견됐다. 서울 관악구 사랑나무 어린이집과 관련해 23일 첫 확진자가 나온 뒤 총 6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고, 경기 안양시 음악학원 사례에선 22일 첫 환자 발생 이후 지금까지 11명이 확진됐다. 또 서울 도봉구 예마루 데이케어센터(누적 18명), 동대문구 성경모임(18명), 강남구 대우디오빌플러스(46명) 등 기존 집단감염 사례에서도 확진자가 잇따랐다. 한편 사망자는 하루 새 4명 늘어 누적 399명이 됐다. 국내 평균 치명률은 1.70%다. 코로나19로 확진 판정을 받은 뒤 상태가 위중하거나 중증 단계 이상으로 악화한 환자는 전날보다 6명 줄어 총 122명이다. 격리해제된 확진자는 189명 늘어난 누적 2만1166명이고, 현재 격리돼 치료를 받는 환자는 132명 줄어든 1951명이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이뤄진 코로나19 검사는 총 229만345건이다. 이 중 224만8천321건은 음성 판정을 받았고 나머지 1만8508건은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0.09.26 13:16
경제

'인구당 사망자 최다' 페루, 임상 3상 참가자 10분 만에 마감

페루에서 10분 만에 3000명의 코로나19 백신 임상 참가자 모집이 마감됐다. 31일(현지시간) EFE통신과 일간 엘코메르시오에 따르면 중국 시노팜이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의 페루 내 3상 임상 개시를 앞두고 전날 온라인으로 참가 신청자를 모집하자 정원 3000명이 10분 만에 모두 찼다. 오전 11시 정각 접수가 시작된 직후부터 사이트에 한꺼번에 접속자가 몰려 과부하가 걸렸고, 얼마 지나지 않아 "신청이 마감됐다"는 메시지가 떴다. 페루 내 시노팜 백신 임상 3상은 페루 2개 대학이 각각 3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내달 나머지 3000명을 모집할 예정이다. 남미 페루에는 지금까지 64만7166명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와 2만8788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인구 100만 명당 사망자 수는 871명(통계 사이트 월드오미터 기준)으로, 인구 10만 명 이상의 전 세계 국가 중 가장 많다. 페루를 비롯해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는 중남미 각국에서는 글로벌 제약사들의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은 전날 러시아의 코로나19 백신 '스푸트니크 V'의 임상 3상에 베네수엘라가 참여할 예정이라며 곧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0.09.01 12:02
연예

코로나 신규 확진 441명…대구·경북 대유행 후 첫 400명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00명을 넘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7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41명 늘어 누적 1만8706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 400명대는 수도권 집단감염 사태에 따른 최근 2차 유행 이후 가장 많은 것이며 대구·경북 중심의 1차 대유행기 중에서도 정점기에 속하는 2월 말 3월 초 이후 처음이다. 이에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의 3단계 격상 고민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신규 확진자 수는 최근의 수도권 집단감염이 본격화한 이달 14일부터 이날까지 2주 연속 세 자릿수로 집계되고 있다. 14일부터 일별 신규 확진자 수는 103명→166명→279명→197명→246명→297명→288명→324명→332명→397명→266명→280명→320명→441명 등이며, 이 기간 발생한 신규 확진자는 총 3936명으로 4000명에 육박한다. 신규 확진자 441명은 앞서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신천지) 대구교회 집단감염으로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발생한 1차 대유행기인 지난 3월 7일(483명) 이후 173일만에 가장 많은 수치다. 신규 확진자의 감염 경로를 보면 해외유입 7명을 제외한 434명이 지역에서 발생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154명, 경기 100명, 인천 59명 등 313명이 수도권에서 나왔다. 수도권 외에는 광주에서 39명, 충남 15명, 강원 14명, 전남 13명, 대구 12명이 각각 새로 확진됐다. 그밖에 부산·경남 각 8명, 대전·경북 각 3명, 전북·울산 각 2명, 충북·제주 각 1명 등이다. 주요 감염 사례를 보면 전날 정오 기준 서울 사랑제일교회와 관련해 총 933명이 확진됐다. 이 교회 집단감염은 의료기관과 어린이집 등 이미 23곳으로 전파된 상태다. 또 인천 서구 주님의 교회(총 30명), 인천 부평구 갈릴리교회(총 46명) 등 다른 교회에서도 집단감염이 발생했다. 지난 15일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집회 관련 감염자도 계속 발견되면서 전날까지 누적 확진자는 219명으로 늘었다. 이 집회에 다녀온 확진자가 광주 북구 각화동 성림침례교회에서 예배를 드리면서 이 교회에서도 집단감염이 발생해 현재까지 총 39명이 확진됐다. 사망자는 1명 늘어 누적 313명이 됐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oongang.co.kr 2020.08.27 10:39
경제

스웨덴 '집단면역 실험' 실패···확진자 120배 늘자 봉쇄 검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 '봉쇄'와 '사회적 거리두기' 대신 '집단 면역' 을 택해 주목받았던 스웨덴이 정책 전환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수도 스톨홀름 등에서 감염자와 사망자가 크게 늘자 결국 스웨덴 정부가 '봉쇄'를 강화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독일 도이치벨레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도이치벨레는 이날 ‘스웨덴 정부가 코로나19 정책에 유턴을 검토하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스웨덴 정부가 이동 제한과 공공생활 규제 등의 정책을 신속하게 도입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고 전했다. 그동안의 '느슨한 거리두기', '집단 면역' 실험에서 강력한 봉쇄 쪽으로 전환하는 모양새다. 그동안 스웨덴 정부는 직장인들의 재택 근무와 고령자의 자가 격리를 독려하고 50명이 넘는 모임을 금지하는 등 일부 봉쇄 정책을 취했지만, 학교나 식당 운동장 등 공공시설의 문을 닫지는 않았다. 스테판 뢰벤 스웨덴 총리는 지난달 22일 “지역 소비를 위해 가까운 식당에서 점심을 먹으라”고도 했다. 영국 더 타임스는 이런 스웨덴의 정책은 신종 코로나 백신이 나오기 전까지는 '집단 면역'을 높이는 것만이 코로나를 이기는 방법이라는 스웨덴 보건 전문가들의 신념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전했다. '집단 면역'은 백신이나 감염으로 한 집단 중 일정 비율 이상이 면역력을 갖게 되면, 집단 전체가 그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보유하게 된다는 의미다. 하지만 정부의 예상과는 달리 상황이 악화되면서 정책 전환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스웨덴의 전체 신종 코로나 감염자수는 지난 달 4일 52명에서 이달 4일 6443명으로 120배 넘게 늘었다. 사망자도 지난달 10일 처음 발생한 후 373명까지 늘어났다. 스톡홀름에서는 집단 감염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지난달 말 2300여명의 스웨덴 학자는 정부에 의료 시스템 보호를 위해 좀 더 강력한 조치를 요구하는 공개서한을 보냈다. ━ 스위스 "통제 완화 없다. 더 엄격한 조치 필요" 유럽 내 신종 코로나 확산세가 큰 나라 중 하나인 스위스에서도 더 강력한 통제 조치가 예고됐다고 외신들이 전했다. 스위스 연방 공중보건청은 5일(현지시간) 오전 8시 현재 신종 코로나 누적 감염자 수가 2만 1100명이라고 밝혔다. 2만 278명이었던 전날보다 822명 늘어난 것이다. 누적 사망자도 559명으로, 19명 증가했다. 스위스의 경우 신종 코로나 검사를 주로 고령층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어, 높은 의료수준에 비해 사망률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스위스 연방 정부는 더 엄격한 통제 조치를 취할 전망이다. 알랭 베르세 보건부 장관은 5일 현지 신문 '존탁스차이퉁'과의 인터뷰에서 "신종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한 규제책을 빨리 끝내야 한다는 주장은 비현실적"이라면서 부활절을 앞두고 시민들이 방역을 위한 조치를 준수하지 않으면 통행 금지 같은 더 강력한 조치를 발표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또 "감염자와 입원자 수가 명백하게 감소할 때만 조치 완화를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은 신종 코로나 대응을 위해 소매업의 영업을 중단하고 행사 등을 중단한 조치가 한 달 가까이 이어지자 경제를 위해 일부 완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일각에서 제기된 데 따른 것이다. ━ 이탈리아, 스페인은 확산세 안정국면 한편 유럽 내 가장 큰 신종 코로나 피해국이었던 이탈리아와 스페인은 확산세가 안정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5일 이탈리아의 일일 사망자 수는 525명으로 약 2주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확진자는 총 12만8948명으로 전날보다 4316명 늘어 신규 확진자가 일주일 연속 4천명대를 유지했다. 이탈리아 시민보호청의 안젤로 보렐리 청장은 이에 대해 "좋은 소식이지만 우리는 경계를 늦추면 안 된다"고 말했다. 유럽에서 이탈리아 다음으로 신종 코로나 사망자가 많은 스페인 역시 확진자와 사망자 증가세가 뚜렷한 완화세를 보이고 있다. 5일 스페인의 신종 코로나 누적 사망자는 1만2418명으로 전날보다 674명 늘었다. 일일 사망자 수는 지난 2일 950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래 사흘 연속 감소했다. 신규 확진자 발생률도 열흘 전 14%에서 지난 1일 8.2%에 이어 이날 4.8%로 계속 줄고 있다. 신종 코로나 확진자가 유럽에서 스페인, 이탈리아 다음으로 많은 독일의 누적 확진자 수는 5일 9만 8578명으로 10만 명에 육박했지만, 확산세는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존스홉킨스대 통계에 따르면 한국시간으로 6일 오전 11시 유럽 각국 신종 코로나 확진자 수(사망자 수)는 프랑스가 9만 3780명(8078명) 영국 4만 8440명(4934명) 벨기에 1만 9691명(1447명) 네덜란드 1만 7953명(1766명) 등이다. 이영희 기자 misquick@joongang.co.kr 2020.04.06 13:23
연예

[건강레이더] 국내 코로나19 환자, 증상 발현 후 사망까지 10일 걸려

코로나19 사망자들은 증상 발현 후 사망까지 평균 10일이 걸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3일 질병관리본부는 이달 12일까지 확인된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7755명과 사망자 66명을 분석한 논문을 정식 출판 전 메드아카이브에 게재했다. 이곳은 의학 논문을 정식 출판하기 전에 공개하는 해외 사이트다. 논문에 따르면 사망자 66명은 코로나19 증상이 시작된 후 평균 10일 만에 사망했다. 증상 발현 후 진단과 입원까지는 각각 4일과 4.5일이 걸렸다. 입원 후에는 사망까지 평균 5일이 걸렸다. 사망자 10명 중 9명 이상이 기저질환을 앓고 있었다. 이들의 기저질환 유병률은 고혈압(47.6%·중복집계), 당뇨병(36.5%), 폐 질환(17.5%) 등이었다. 기저질환이 없는 사망자는 3명(4.5%)이었다. 사망자 47명(71.2%)은 대구에서, 16명(24.2%)은 경북에서 나왔다. 나머지 지역 사망자는 3명(4.5%)이었다. 전체 확진자 중에서는 20대가 29%를 차지했다. 신천지대구교회를 중심으로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젊은 교인이 많이 감염된 것이 요인으로 분석된다. 대구·경북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20대 확진자가 21%였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oongang.co.kr 2020.03.24 07:00
축구

이집트 축구장 최악의 참사, 최소 73명 사망

이집트 프로축구 경기 도중에 최악의 관중 난동 사태가 벌어졌다. 축구팬 74명이 사망했고, 부상자도 1000여 명에 이른다. 부상자 중 150여명은 위독한 상태라 사망자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대참사'는 2일(한국시간) 이집트 북동부의 항구도시 포트 사이드에서 일어났다. 이집트 프리미어리그(1부리그) 경기에서 강호 알 아흘리가 라이벌 알 마스리와의 원정경기에서 1-3으로 패한 게 발단이 됐다. 예상 밖 패배에 화가 난 알 아흘리의 팬들이 홈팀 팬들을 조롱하는 현수막을 내걸며 먼저 도발했다. 이어 알 마스리 팬들이 경기 종료 직후 그라운드와 원정팀 관중석으로 난입해 유혈 난투극을 벌였다. 알 아흘리 선수와 팬들을 향해 돌과 유리병이 날아들었고, 경기장 곳곳이 화염으로 뒤덮였다. 칼·각목 등 흉기를 사용한 이들도 있었다. 달아나던 관중이 좁은 출구로 한꺼번에 몰린 탓에 압사자가 많이 나왔다. 이날 경기장에는 2만2,000명의 관중이 입장했으며, 이중 2,000명 가량이 원정팀 서포터였다.알 아흘리 미드필더 모하메드 아부트리카는 현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그것은 축구가 아니라 전쟁이었다. 내 눈 앞에서 사람들이 죽어갔다. 현장에는 보안요원도, 앰뷸런스도 없었다"고 사건 당시를 회상했다. 이집트 축구연맹은 리그 일정을 무기한 연기하고 자체 진상 조사에 착수했다.당시 현장에 있던 경찰과 군인들이 적극적으로 진압에 나서지 않았던 사실이 밝혀지면서 파장은 더욱 커지고 있다. 알 아흘리의 팬클럽 관계자는 "경찰이 당시 상황을 본체만체 했다. 구급차 도착도 늦어 우리가 숨진 팬들을 직접 옮겼다"고 증언했다. 이어 "폭동이 일어난 뒤에도 경찰이 출입구를 열지 않아 알 아흘리 팬들이 경기장에서 빠져나갈 수 없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일각에서는 이번 사건이 단순한 훌리건끼리의 다툼으로 보기 어렵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AFP는 "지난해 '아랍의 봄' 당시 시위 진압에 나섰던 경찰과 치안부대가 국민의 반감을 샀고, 정권 붕괴 후 사기가 바닥에 떨어져 있는 상태"라면서 "폭동 당시 진압명령 조차 내려지지 않았다"고 보도했다.이집트에서는 지난달 25일 민간정부로의 권력 이양을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고, 이 과정에서 과도정부를 이끄는 군부가 시위대에 발포하는 등 유혈사태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군부와 경찰이 '군부 주도의 안정'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유혈 사태를 방치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이집트 의회 제1당인 무슬림 형제단 소속의 에삼 알-에리안 의원은 "이번 사건은 무바라크 전 정권의 잔당이 보낸 메시지"라고 해석했다. 수십년간 철권통치를 하다 쫓겨난 무바라크 전 대통령의 잔당들이 민심을 흔들기 위해 이번 일을 계획했다는 주장이다. 시기도 절묘하다. 무바라크 축출 후 지난달 24일 국회(하원)가 처음 개회됐고, 29일은 시민혁명 1주기였다. ◇세계축구 경기장 참사 일지발생년도 장소(국가) 사망자 발생 원인2012년 포트사이드(이집트) 최소73명 관중난동2001년 아크라(가나) 120명 관중난동 2001년 요하네스버그(남아공) 43명 압사1996년 과테말라시티(과테말라) 78명 압사1989년 셰필드(잉글랜드) 95명 압사1988년 카트만두(네팔) 93명 압사1985년 브래포드(잉글랜드) 56명 화재 1982년 모스크바(러시아) 340명 압사 1971년 글래스고(스코틀랜드) 66명 경기장 붕괴1968년 부에노스아이레스(아르헨티나) 150명 압사1964년 리마(페루) 318명 관중 난동송지훈 기자 milkyman@joongang.co.kr 2012.02.02 09:56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