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인터뷰] 서현우, "'악의 꽃', 10년 연기 중간 결산한 느낌"
영화 '남산의 부장들'에서 광활한 M자형 이마를 드러낸 보안사령관 전두혁, 영화 '독전'에서 조진웅이 이끄는 마약 수사팀 형사 정일, 드라마 '나의 아저씨'에서 이지은에게 일방적으로 쏘아대는 상무 앞에서 "제가 좋아합니다"라고 고백해 분위기를 싸하게 한 안전진단 3팀의 송과장. 이 모든 캐릭터를 배우 서현우가 연기했다. 체중과 헤어 스타일 등 비주얼의 변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어투와 톤으로 금방 다른 사람이 되는 천의 얼굴을 가졌다. 필모그래피를 찬찬히 들여다보면 '이 작품에서 이 역할을 한 사람이라고?'라는 반응이 저절로 나온다. 애드리브인지 대본에 있는 대사인지 구분하기 힘들 정도로 자연스럽게 툭 내뱉는 연기도 그의 특장점이다. 최근 종영한 '악의 꽃'에서 데뷔 10년 만에 첫 주연을 맡아 마음껏 연기를 펼쳤다. 자유분방하고 자기중심적인 사회부 기자 무진 역을 분했다. 마음껏 연기할 캐릭터를 주고, 판을 펼쳐놓으니 이준기와의 브로맨스를 만들어내며 활약했다. '신 스틸러' 보다는 신을 빈틈없이 꽉 채우는 유연하고 잠재력이 많은 배우다. -호평 속에 '악의 꽃'을 마친 소감은. "이번 작품을 하면서 처음 겪는 일들이 많았다. 드라마 중간에 내 (연기와 관련된) 기사가 나와 포털사이트에 기사가 걸리고 이슈가 된 건 처음이었다. 현장에서 처음 겪는 일도 많았다. 예전에는 내 연기랑 캐릭터만 생각하고 내가 어떻게 연기해야하는지만 급급했는데 이번에 같이 연기한 (이)준기 형을 보면서 연기 외적으로도 중요한 게 많다는 걸 알았다. 현장을 끌고 가는 힘과 현장 분위기를 좋게 메이킹하는 게 중요하다는 걸 배웠다. 스태프와 소통하는 방식도 배우면서 그런 교류가 얼마나 중요한지, 또 연기에도 얼마나 좋은 영향을 미치는지 알았다. 예전엔 경험하지 못했던 것들이다." -배우 이준기와의 호흡은 어땠나. "준기 형은 연기하면서 한 번도 그냥 스쳐 지나가면서 본 적 없는 배우였다. 처음 만나는 자리에서 긴장을 많이 했는데 형이 의외로 털털하고 편한 분이었다. 연기적인 부분을 소통할 땐 대학 동기처럼 편했다. 많은 분이 준기 형과의 브로맨스 케미(스트리)에 대해 얘기해줬는데 대화를 많이 하면서 연기를 해서 그런 게 자연스럽게 생긴 것 같다." -극 중 맞는 장면이 많았다. "때리는 입장이 더 쉬운 거더라. 액션은 하는 것 보다 받는 게 더 어려운 것 같다. 맞는 액션을 해본 적이 없었는데 액션 부심이 있는 이준기 형이 정말 디테일하게 알려줬다. 무술팀 수준으로 액션을 잘해서 어떻게 하면 안 다치게 액션을 받을 수 있는지 알려줬다. 정말 고마운 분이다. 형 덕분에 크게 어려움 없었던 것 같다." -'악의 꽃'은 첫 주연 드라마다. 의미 있는 작품으로 남을 것 같은데. "데뷔한 지 10년 됐다. 드라마에서 짧게 스쳐 지나가는 역할도 해보고 상업영화에서 단역, 조연 다양한 걸 했는데 이번 작품은 그 모든 작품과 시간을 중간 결산하는 느낌이었다. 김무진 캐릭터는 하나의 성향을 가진 게 아니라 변화무쌍한 역할이었다. 만나는 사람마다 태도도 바뀌었다. 다양한 역할, 모습을 보여주는 캐릭터였는데 지난 10년 동안 구축한 역할이나 연기의 질감을 김무진에게 투여해본 시간이었다. 참 절묘한 타이밍이다. 내 연기도 체크해보면서 지난 10년을 돌아보게 해준 작품이고, 굉장히 특별한 작품으로 기억에 남을 것 같다." -전작과 비슷하거나 겹치는 캐릭터는 하지 않는 것 같다. 캐릭터로 항상 도전하는 이유가 있나. "배우는 많이 변화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게 배우에 대한 내 기준이자 가치관이다. 편한 방식으로 연기하는 걸 스스로 못 견디는 것 같다. 한 가지 일을 몇 년 이상 하다 보면 편한 방식을 알게 된다. 하지만 안일하고 안정적인 방법은 경계하는 편이다. 또 평범한 외모라 분장이나 체중의 변화에 따라 이미지가 바뀌는 편인데 그 부분을 다행스럽고 감사하게 생각한다. 어떤 작품에서 뭘 했는지 많이 못 알아보는 게 단점이면서도 굉장한 장점인 것 같다." -연기 호평이 이어졌고 반응이 좋아서 '악의 꽃' 방영 중, 그리고 종영하고 러브콜을 많이 받았을 것 같다. "몇 군데 연락이 왔는데 '악의 꽃'을 하는 동안엔 작품에 올인하고 싶어서 (차기작에 대한) 생각은 안 했다. 작품이 끝난 지금 시점에선 향후 방향성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중요한 시기를 맞이한 것 같다. 어떤 작품에서 어떤 방식으로 연기를 보여줘야 할지 고민 중이다. 센 캐릭터를 할지, 좀 밝은 캐릭터나 작품을 할지 고민하고 있다." -지금의 서현우를 있게 한 작품을 꼽아 본다면. "영화 '그놈이다'는 체중을 23kg이나 찌워서 외형적으로 가장 큰 변화를 시도한 작품이다. '나의 아저씨'는 연기 앙상블에 대한 이해를 심어준 작품이다. 내 연기가 튀려고, 이 작품에서 살아남으려고 연기를 하는 게 아니라 신을 채우는 연기가 뭔지를 알게 해준 작품이다. 또 드라마를 하면서 시청자 입장에서도 감동한 작품이다. 영화 '배심원들'은 분장 적으로 극적인 경험을 한 작품이다. 양손에 엄지손가락 밖에 없는 드라마틱한 상황을 연기 했는데 그 역할과 작품 덕분에 (연기)스펙트럼을 넓힐 수 있었다." -무명 생활이 꽤 긴 편이었다. 버티는 힘, 원동력은 어디서 왔나. "힘든 시기가 없었다면 거짓말이다. 심각하게 힘들 때도 있었다. 경제적으로 힘든 순간도 있었다. 오디션을 보고 채워지지 않는 연기의 갈망, 욕구가 있었는데 그런 건 사실 무대에서 많이 풀었던 것 같다. 카메라 앞에서 분량적인 욕심도 무대에서 풀었다. 요즘 코로나 때문에 공연계가 힘든데 어떤 식으로든 방법을 찾아서 다시 무대 공연 예술이 힘든 시기를 이겨냈으면 좋겠다. 기회가 닿는다면 앞으로도 계속 1~2년 안에 한두 작품씩 꼭 연극을 하고 싶다." 김연지 기자 kim.yeonji@jtbc.co.kr
2020.10.08 0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