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ma2024 ×
검색결과6건
사회

여성 임금근로자 최초 1000만명 넘었다

올해 여성 임금근로자가 최초로 1000만명을 돌파했다.14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여성 임금근로자는 1015만2000명으로 1963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1000만명을 웃돌았다. 올해 수치는 1∼8월 월평균 기준이다. 연말까지 큰 변화가 없다면 올해 연간 수치가 1000만명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여성 임금근로자는 61년 전인 1963년과 비교하면 17.7배에 달하는 것이다. 올해 전체 임금근로자(2202만7천명)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도 46.1%로 역대 최고다.여성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가 696만2000명으로 68.6%에 달했고 임시근로자는 290만7000명으로 28.6%, 일용근로자는 28만3000명으로 2.8%를 각각 차지했다.반면 남성 임금근로자는 1963년 181만명에서 올해 1187만5000명으로 6.6배로 늘었다. 여성 증가 폭이 남성의 2.7배 수준이다. 이는 그만큼 여성의 경제 활동이 더 활발해졌기 때문이다.지난해 여성 임금근로자를 포함해 전체 여성 취업자는 1262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이 비중은 전체 취업자의 44.2%로 역대 가장 높았다.임금근로자와 마찬가지로 올해 여성 자영업자 비중도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올해 여성 자영업자는 172만명으로 전체 자영업자의 30.5%를 차지했다. 이 비중은 지난해 30.1%로 처음으로 30%를 돌파했다.여성 자영업자 수는 2006년 181만7000명으로 정점을 찍었다가 코로나19 시기인 2021년 156만4000명까지 줄어든 이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올해 여성 자영업자와 함께 무급가족종사자를 합한 비임금근로자는 247만1000명으로 전체 비임금근로자의 37.9%였다. 무급가족종사자는 임금을 받지 않고 자영업자의 사업체 등에서 일하는 가족·친척으로 계속 줄고 있다. 무급가족종사자가 줄어들면서 임금근로자로 이동한 것으로 풀이된다.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고령화가 갈수록 심화하고 중소기업은 인력난에 시달리는 만큼 외국인 근로자와 함께 여성을 노동 시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여성의 경제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지만 남녀 임금 격차는 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국의 남녀 임금 격차는 31.2% 수준으로 관련 수치가 있는 36개 회원국 중 1위다. 남녀 임금 격차는 OECD 회원국 평균(11.4%)의 2.7배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10.14 09:35
경제일반

서울 편의점, 15년새 4배 증가…연평균 매출 4억4000만원

서울 시내 편의점이 15년새 4배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서울시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서울의 편의점은 총 8493개로 2006년 2139개 대비 약 4배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당 편의점 수를 나타내는 밀집도 또한 같은 기간 3.5개에서 14개로 늘었다.편의점 대표자 성별은 남성이 50.6%로 여성 49.4%보다 약간 많았다. 다만 여성 대표자 비율은 2017년 47.2%에서 2018년 48.4%, 2019년 49.0% 등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또한 편의점 대표자 연령은 50대가 44.5%로 가장 많았다. 30대 비율은 2016년 20.5%에서 2021년 16.7%, 40대는 31.1%에서 25.0%로 줄었다. 60대 이상은 같은 기간 10.0%에서 16.0%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편의점 종사자는 2021년 기준 총 3만4454명으로 남성이 1명7604명, 여성이 1만6850명이었으며 매장당 평균 4.06명이었다. 대표자(자영업자)와 무급가족종사자가 1만8명이고 상용근로자 4617명, 임시·일용근로자 1만9710명, 고용계약이 1개월 미만인 기타 근로자가 119명으로 나타났다.가맹사업거래 등록자료 분석 결과 서울 시내 편의점 매장당 연평균 매출은 2021년 기준 4억4832만원 수준이었다.서울시에 등록된 2018~2022년 가맹사업거래 정보를 활용·분석한 편의점 평균 창업비용은 지난해 기준 약 7600만원선이었다. 2018년 6900만원과 비교해 5년새 10%가량 높아졌다.창업 비용 증가 이유는 보증금, 기타 비용 증가로 나타났다. 보증금은 2018년 2489만원에서 2022년 2889만원으로 평균 400만원, 기타 비용은 3677만원에서 3826만원으로 평균 149만원 증가했다.서울시는 앞으로도 서울시가 보유하고 있는 국가승인통계, 빅데이터, 행정 자료 활용해 시민들의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 등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통계 분석 결과를 수시로 발표할 계획이다.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3.03.07 13:37
경제

[경제톡] 2020년 시간당 최저임금은 8590원

2020년 새해 시간당 최저임금은 8590원이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시간당 최저임금은 2019년(8350원)보다 2.9% 오른 8590원으로 1일부터 적용된다. 최저임금은 상용근로자뿐 아니라 임시직·일용직·시간제 근로자, 외국인 근로자 등 고용 형태나 국적과 관계없이 근로기준법상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된다. 정부는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영세사업주의 인건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일자리안정자금을 계속 지원한다. 다만 액수는 줄어든다. 월평균 보수 215만원 이하 노동자를 고용한 30인 미만 사업주에 대한 인건비 지원금액은 월 13만원에서 9만원으로, 최저임금 인상 영향이 더 큰 5인 미만 사업체는 월 15만원에서 11만원으로 하향조정된다. 정부는 65세 이상 저소득자에 대한 소득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기초연금 월 최대 30만원 지원 대상을 소득 하위 20% 이하에서 소득 하위 40% 이하로 확대한다. 이에 따라 기초연금이 25만원에서 30만원으로 오르는 대상이 156만명에서 325만명으로 늘어난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0.01.01 07:01
경제

은행원 상반기 보수 4750만원…근로자 연봉 6개월만에 챙겨

은행원들이 올해 상반기 동안 보수로 받은 금액이 일반 근로자의 연봉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한국씨티은행, 스탠다드차타드은행 등 6개 시중은행의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상반기 직원 급여 총액 평균은 4750만원이었다. 은행별로 보면 한국씨티은행 직원의 올해 상반기 수령액이 55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1년 전(4900만원)에 비해 인상률이 12%나 됐다.신한은행과 우리은행 직원의 상반기 급여는 각각 5000만원이었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상반기 수령액 4500만원에서 11% 인상됐다.하나은행 직원의 상반기 수령액은 4500만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0% 가까운 인상률이 적용됐다. 하반기에도 비슷한 추세로 보수를 받게될 경우, 평균 연봉은 1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은행원들의 상반기 급여는 근로자 1년 연봉을 넘는 수준이다. 지난해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1인당 보수는 연 4222만원으로, 올해 은행원 6개월치 보수보다 500만원 가량 적은 액수다. 또 삼성전자(4300만원)나 현대차(3700만원)의 상반기 보수보다도 높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상반기 수령액(4500만원)보다 줄었고, 현대차는 지난해와 같은 수준이었다. 반면 은행은 지난해보다 보수가 늘었다. 올 상반기 은행원이 받은 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7% 증가했다. 지난해 상반기 은행원 보수는 4450만원이었다. 은행들은 금융위기 직후인 2010년부터 매년 두 자릿수 안팎의 급여를 인상해 오다가 2013년에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지난 2013년에는 19.1%의 보수 인상률을 기록한 바 있다. 당시 금융 당국은 성과체계 개편을 통해 은행원 보수 인상률을 강제로 낮췄다. 여전히 은행들이 급여 잔치를 벌이고 있는 데에는 기록적인 ‘실적’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상반기 국내은행은 19조7000억원 상당의 이자이익을 벌어들인 바 있다. 이는 금리 인상기에 대출금리를 예금금리보다 빨리 올려 순이자마진을 상승시킨 덕분이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tbc.co.kr 2018.08.19 15:12
연예

청년실업률 9.5%, 16년 만에 최고치 찍어... 정말 '노오력'이 부족해서?

15~29세 청년 실업자 수가 1년새 1만8000명 가량 늘면서 청년 실업률이 9.5%로 상승했다.17일 뉴시스는 통계청이 발표한 '1월 고용동향'을 인용, 지난달 15~29세 청년 실업자 수는 41만3000명으로 전년 동월(39만5000명) 대비 1만8000명(4.6%)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청년 실업률은 2015년 1월 9.2%에서 지난달 9.5%로 0.3%포인트 상승했다고 보도했다.지난달 청년 실업률은 1월 기준으로는 2000년(11.0%) 이후 최고치다. 지난해 2월 11.1%까지 치솟았던 청년 실업률은 10월 7.4%까지 떨어졌다가 다시 상승곡선을 그리면서 10%에 근접했다.청년층을 제외한 다른 연령대에서는 실업률이 모두 0.1~0.3%포인트씩 하락했다. 이에 따라 전체 실업률은 3.7%로 전년 동월 대비 0.1%포인트 낮아졌다.청년 취업난이 심화되면서 '취업준비생'도 크게 늘었다.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준비생 수는 60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56만4000명) 대비 4만5000명(8.0%)이나 증가했다.구직 단념자는 51만7000명으로 전년 동월(49만2000명) 대비 2만6000명(5.3%)이 늘었다.잠재취업가능자와 잠재구직자 등을 실업률에 포함해 계산한 체감실업률(고용보조지표3)은 11.6%를 기록했다.한편 1월 취업자 수는 2544만5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3만9000명(1.4%) 증가했다.연령대별로 보면 50대(+11만5000명)와 60세 이상(+19만4000명)에서 취업자 수가 가장 크게 늘었고 20대(+4만7000명)와 30대(+1만명) 취업자도 소폭 증가했다. 하지만 인구가 감소 중인 40대(-4000명)에서는 취업자 수가 줄었다.업종별로 보면 제조업(+14만5000명), 숙박및음식점업(+8만1000명), 부동산업및임대업(+6만4000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늘었고 도소매업(-12만5000명), 농림어업(-7만4000명) 등에서는 감소했다.임금근로자는 1918만6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7만1000명(2.5%) 늘었다. 상용근로자(+50만9000명)와 임시근로자(+1만9000명)가 늘었고 일용근로자(-5만6000명)는 줄었다.비임금근로자는 625만9000명으로 13만2000명(-2.1%) 감소했다. 자영업자가 1.6%, 무급가족조사자가 4.8%씩 감소했다.고용률은 58.8%로 전년 동월 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0.4%포인트 상승한 65.2%를 기록했다.기획재정부는 1월 고용 동향에 대해 "지난해 1월보다 수출부진, 대외 불확실성 등이 확대됐음에도 불구하고 취업자수 증가 폭이 전년과 유사한 34만명 수준을 기록했다"며 "지난해 하반기 이후 내수 회복세에 의한 고용여건 개선세가 지속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기재부는 "전반적인 고용증가세가 지속될 전망이나 대외 불확실성 증가, 기저효과 확대 등은 고용 증가세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온라인 일간스포츠'청년실업률 9.5%' 2016.02.17 16:12
연예

청년실업률 9.5%, 취업난 심화에 취준생도 크게 늘어... 노오력이 부족한 탓?

15~29세 청년 실업자 수가 1년새 1만8000명 가량 늘면서 청년 실업률이 9.5%로 상승했다.17일 뉴시스는 통계청이 발표한 '1월 고용동향'을 인용, 지난달 15~29세 청년 실업자 수는 41만3000명으로 전년 동월(39만5000명) 대비 1만8000명(4.6%)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청년 실업률은 2015년 1월 9.2%에서 지난달 9.5%로 0.3%포인트 상승했다고 보도했다.지난달 청년 실업률은 1월 기준으로는 2000년(11.0%) 이후 최고치다. 지난해 2월 11.1%까지 치솟았던 청년 실업률은 10월 7.4%까지 떨어졌다가 다시 상승곡선을 그리면서 10%에 근접했다.청년층을 제외한 다른 연령대에서는 실업률이 모두 0.1~0.3%포인트씩 하락했다. 이에 따라 전체 실업률은 3.7%로 전년 동월 대비 0.1%포인트 낮아졌다.청년 취업난이 심화되면서 '취업준비생'도 크게 늘었다.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준비생 수는 60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56만4000명) 대비 4만5000명(8.0%)이나 증가했다.구직 단념자는 51만7000명으로 전년 동월(49만2000명) 대비 2만6000명(5.3%)이 늘었다.잠재취업가능자와 잠재구직자 등을 실업률에 포함해 계산한 체감실업률(고용보조지표3)은 11.6%를 기록했다.한편 1월 취업자 수는 2544만5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3만9000명(1.4%) 증가했다.연령대별로 보면 50대(+11만5000명)와 60세 이상(+19만4000명)에서 취업자 수가 가장 크게 늘었고 20대(+4만7000명)와 30대(+1만명) 취업자도 소폭 증가했다. 하지만 인구가 감소 중인 40대(-4000명)에서는 취업자 수가 줄었다.업종별로 보면 제조업(+14만5000명), 숙박및음식점업(+8만1000명), 부동산업및임대업(+6만4000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늘었고 도소매업(-12만5000명), 농림어업(-7만4000명) 등에서는 감소했다.임금근로자는 1918만6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7만1000명(2.5%) 늘었다. 상용근로자(+50만9000명)와 임시근로자(+1만9000명)가 늘었고 일용근로자(-5만6000명)는 줄었다.비임금근로자는 625만9000명으로 13만2000명(-2.1%) 감소했다. 자영업자가 1.6%, 무급가족조사자가 4.8%씩 감소했다.고용률은 58.8%로 전년 동월 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0.4%포인트 상승한 65.2%를 기록했다.기획재정부는 1월 고용 동향에 대해 "지난해 1월보다 수출부진, 대외 불확실성 등이 확대됐음에도 불구하고 취업자수 증가 폭이 전년과 유사한 34만명 수준을 기록했다"며 "지난해 하반기 이후 내수 회복세에 의한 고용여건 개선세가 지속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기재부는 "전반적인 고용증가세가 지속될 전망이나 대외 불확실성 증가, 기저효과 확대 등은 고용 증가세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온라인 일간스포츠'청년실업률 9.5%' 2016.02.17 15: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