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6건
경제

2분기 시총 증가 100% 이상 10곳…절반이 진원생명과학 등 바이오 기업

올해 2분기에 ‘1조원 클럽’에 가입한 클럽이 270개 기업으로 늘어났다. 이중 백신 전문기업인 진원생명과학은 시총 규모가 30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CXO연구소가 8일 ‘2021년 2분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진원생명과학은 지난 3월말에는 5238억원으로 시총 1조 클럽에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하지만 6월말에는 2조1374억원으로 3개월 새 1조6000억원 넘게 시총 규모가 커졌다. 올 2분기에만 시총 규모가 308%나 높아졌다. 3월31일 주가가 1만1700원에서 6월30일에 4만7300원으로 높아진 것이 시총이 커졌다. 8일 11시50분 현재 5만4200원까지 증가하고 있다. 진원생명과학은 mRNA 코로나 백신을 개발하고 있고,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는 상황이다. 2분기에 시총 증가율이 100% 넘는 곳은 10곳으로 집계됐다. 이중 진원생명과학을 비롯해 5개가 바이오 기업이다. 셀리드(233.5%↑), 네이처셀(203.7%↑), 엑세스바이오(123.4%↑), 유바이오로직스(102.5%↑)가 바이오 기업으로 100% 이상 증가율을 기록했다. 또 28조원이나 급증한 카카오를 포함해 3월말 대비 6월말에 시총 규모가 1조 넘게 증가한 곳은 40곳이나 됐다. SK이노베이션(7조736억원↑), 네이버(6조6526억원↑), 삼성바이오로직스(6조1533억원↑), HMM(5조2839 원↑), 두산중공업(5조2059억원↑), 현대차(4조5938억원↑), LG화학(3조1766억원↑), LG생활건강(2조9986억원↑), 하이브(2조7306억원↑)가 대표적이다. 반면 같은 기간 시총 규모가 1조원 넘게 감소한 곳은 8곳으로 파악됐다. 셀트리온의 시총이 3월말 43조8164억원에서 6월말 37조305억원으로 최근 3개월 새 6조7859억원이나 가장 크게 감소했다. 삼성전자(4조1788억원↓), SK하이닉스(3조6400억원↓), 셀트리온헬스케어(2조7356억원↓), 금호석유화학(1조4015억원↓) 등이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7.08 12:08
경제

진원생명과학·제넥신 코로나 백신 비교 임상 수행 청신호

진원생명과학과 제넥신이 개발하고 있는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비교 임상 수행에 청신호가 켜졌다. 진원생명과학과 제넥신은 DNA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DNA 백신이 아직 나오지 않아 비교 임상 수행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우려가 존재했다. 하지만 식품의약품안전처가 16일 개발 방식이 다른 기허가 백신과도 중화항체가 등 면역지표를 비교해 국산 백신의 효능을 평가할 수 있다고 밝히면서 비교 임상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앞서 식약처는 토종 코로나19 백신 개발 지원을 위해 대규모 백신 투약군과 가짜약 투약군이 필요한 임상 3상 대신 이미 허가된 백신과 비교 임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표준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시험 대상자를 수만 명에서 수천 명으로 줄여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됐다. 또 국내 코로나19 예방접종 본격화로 가짜약 투약군을 모집하기 어려운 문제도 해결할 수 있게 됐다. 식약처는 다른 국가의 경우에도 다른 플랫폼을 활용한 코로나19 백신의 비교 임상을 케이스가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제넥신과 진원생명과학은 임상 1상 마무리 단계에 있다. 제넥신은 이달 성인 21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 1상 시험에서 안전성과 면역원성을 확인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임상 결과에서 중화항체가가 급격히 감소하는 등 효과에 대한 의문부호가 달리고 있다. 의학논문 사전공개 사이트 메드아카이브에 올라온 임상 결과를 보면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GX-19N) 투여 직후 중화항체 반응은 상당히 증가했다. 하지만 57일이 지난 시점의 중화항체 기하평균면역가는 37.26에 그쳐 코로나19 회복기 환자의 혈청의 중화항체 288.78보다 낮게 나타났다. 진원생명과학도 임상 1상 투약을 완료한 상태다. 이달 말이나 내달 초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SK바이오사이언스와 유바이오로직스 백신은 영국 의약품청(MHRA), 유럽의약품청(EMA), 국내 식약처 등에서 사전검토를 하는 노바백스 백신과 같은 합성항원 방식이다. 셀리드 백신도 아스트라제네카·얀센과 같은 아데노 바이러스 벡터(전달체) 방식이라 비교 임상 플랫폼이 존재한다. 토종 백신을 개발 중인 국내 5개사는 아직 임상 1·2상 단계를 밟고 있다. 임상 3상에서 어떤 백신과 비교 임상을 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은 상태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6.16 13:09
경제

규정 뛰어넘은 진원생명과학·대유플러스 대표 연봉 눈살

실적 악화에도 오너와 임원들은 오히려 보수를 배로 늘려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고 있다. 13일 금융정보업체 인포맥스와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감소한 상장사에서 보수를 늘린 오너와 임원이 89개사 130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5억원 이상 고액 보수를 받은 임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고 있는 진원생명과학의 박영근 대표는 2019년에 비해 연봉이 2배 이상 늘었다. 2019년 17억9300만원에서 2020년 40억5100만원으로 무려 22억5800만원이 늘었다. 하지만 진원생명과학은 2019년 82억원이었던 영업손실이 2020년 184억원으로 늘어났다. 영업적자가 2배 이상 불어난 상황에서도 박 대표의 연봉 오히려 큰 폭으로 증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연봉 내역을 살펴보면, 상여금이 2019년 10억4600만원에서 2020년 31억9900만원으로 약 3배 가까이 늘었다. 진원생명과학은 사업보고서에서 “재무 부분 기여도의 50% 범위에서 산출한 금액, 코로나19 백신 및 코로나19 중증 억제 경구용 치료제 임상연구 수행 등을 고려해 상여금을 산출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회사가 설명한 재무 부문 기여도 50% 범위를 뛰어 넘을 정도로 많은 상여금이 책정됐다. 리더십, 전문성, 기타 기여도로 구성된 비계량지표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는 설명이지만 적자가 커진 만큼 객관적 수치로는 상여금 급증이 납득이 되지 않는다. 게다가 진원생명과학은 백신 개발을 위해 정부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12일 코로나19 대응 특별방역점검회의를 통해 국산 백신 개발 상황을 보고 하면서 진원생명과학을 비롯해 SK바이오사이언스, 유바이오로직스, 셀리드, 제넥신 등 5개 회사가 백신 임상에 진입했다고 발표했다. 올해 하반기 임상 3상 착수를 목표로 687억원의 예산으로 임상시험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유선 통신장비 제조업체인 대유플러스 박영우 회장의 연봉은 6억5200만원에서 지난해 23억4900만원으로 무려 3.6배가 늘어났다. 2020년 대유플러스의 순이익은 57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박 회장은 지난해 18억5900만원의 상여금을 받았다. 대유플러스는 사업보고서를 통해 “임원보수규정 중 특별 상여금 규정에 따라 회사의 재무성과와 개인의 경영목표 달성도에 따라 이사회의 승인을 거쳐 연봉의 0~40%내에서 1회 지급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박 회장의 상여금은 규정과는 다르게 연봉의 40%를 훨씬 뛰어넘었다. 대유플러스는 올해 초 위니아딤채와 함께 코로나19 백신 보관용 냉동고를 개발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우리금융지주의 손태승 회장의 연봉도 영업이익이 25.7%가 감소했음에도 3억3800만원이 뛰었다. 손 회장은 지난해 연봉 11억원을 받아 44.4% 상승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이날 "손 회장이 우리금융지주 출범 첫해인 2019년에는 상여를 받지 못했다. 2019년도 상여금 약 3억원을 지난해 이연 지급해 연봉이 증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손 회장은 라임자산운용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와 관련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문책 경고’를 받은 상태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4.13 15:22
경제

셀트리온, 대웅제약 3차 임상 지원대상 선정, 2월 초 허가 전망

정부가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대한 임상지원을 확대한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26일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임상지원 3차 공모'를 진행한 결과 셀트리온, 대웅제약이 각각 개발 중인 치료제 2종과 셀리드, 유바이오로직스가 각각 연구 중인 백신 2종을 임상지원 대상으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복지부가 임상지원 중인 코로나19 치료제·백신은 총 10종(치료제 5·백신 5)으로 늘어났다. 현재까지 복지부가 치료제·백신 10종 개발 지원에 들인 예산은 약 1208억원이다. 복지부는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국가신약개발사업단을 통해 격월로 임상지원 과제를 공모하고 있다. 치료제와 백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예산도 지난해 940억원에서 올해 1388억원으로 48% 늘어났다. 복지부는 지난해 9월부터 '국가감염병임상시험센터'를 통해 피시험자를 모집해 치료제·백신이 신속하게 개발될 수 있도록 지원해왔다. 또 민간기업들이 연구를 진행하면서 겪는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상담창구인 '임상시험지원 TF(태스크포스)'를 운영하고, '기업애로사항해소지원센터'를 설치해 문제 해결도 지원하고 있다. 한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코로나 치료제를 2월 초, 백신을 2월 둘째 주에 허가한다는 계획이다. 셀트리온 치료제가 가장 먼저 허가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 백신이 앞선 상황이다. 정부당국은 올해 백신 5건, 치료제 3건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치료제는 셀트리온의 항체치료제를 비롯해 대웅제약과 종근당, GC녹십자가 개발 중인 치료제가 주목 받고 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1.26 12:16
경제

셀리드, 진원생명과학 코로나 백신 임상 승인 받아

셀리드와 진원생명과학이 코로나19 백신 임상 승인을 받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5일 국내에서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2종의 임상 1/2상 시험 계획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승인받은 국산 백신 2종은 셀리드의 'AdCLD-CoV19'과 진원생명과학의 'GLS-5310'이다. 이로써 국내에서 코로나19 관련해 승인한 임상시험은 총 33건이다. 이 중 25건(치료제 20건·백신 5건)이 임상을 진행 중이다. 셀리드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코로나19 백신의 안전성과 면역원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 1상과 2상 시험을 할 예정이다. 셀리드의 백신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표면항원 유전자를 아데노 바이러스 주형에 넣어 제조한 '바이러스벡터 백신'이다. 진원생명과학 역시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해당 백신의 안전성 및 면역원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 1상과 2상을 한다. 이 백신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표면항원 유전자를 DNA(플라스미드) 형태로 제조한 'DNA 백신'이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0.12.05 16:53
경제

LG화학, 셀리드와 코로나19 백신 개발 협약 체결

LG화학과 셀리드가 코로나19 백신 개발과 생산, 상업화에 상호 협력하는 협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LG화학은 셀리드가 자체 개발 중이던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의 개발과 대량생산을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셀리드는 항암면역치료백신 개발 기업이다. 손지웅 LG화학 생명과학사업본부 본부장은 "이번 협약 체결로 코로나19 백신의 신속한 개발 및 사업화가 이뤄지기를 기대한다"며 "LG화학은 자체 코로나19 백신 개발과 함께 위탁생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코로나19 퇴치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0.10.05 16:07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