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4건
경제일반

소비자원 "렌터카 분쟁, 여름 휴가철 7~9월에 절정"

렌터카 이용량이 많은 여름 휴가철에 소비자 피해구제 신청이 지속적으로 접수돼 한국소비자원이 주의를 당부했다.15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5년(2019~2023년)간 렌터카 관련 소비자 피해구제 신청은 총 1743건 접수됐다.렌터카 피해구제 신청은 2019년 276건, 2020년 342건, 2021년 339건, 2022년 378건, 2023년 408건으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최근 5년간 접수된 피해구제 신청을 월별로 살펴보면, 관광 수요가 많은 휴가철인 7월이 전체의 10.4%(181건)로 가장 많고, 9월 9.9%(173건), 6월 9.6%(168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7월과 9월 사이 피해 신청은 519건으로 전체 29.8%를 차지했다.지역별로는 제주와 내륙이 각각 36.7%(639건), 62.1%(1083건)의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전체 접수 건을 분쟁 유형별로 나누면 예약 취소 시 위약금 과다 청구, 계약 불이행 등 '계약 관련 분쟁'이 41.6%(725건)로 가장 많았고, 렌터카 '사고 관련 분쟁'이 35.4%(617건)로 뒤를 이었다.'사고 관련 분쟁' 가운데에선 수리비·면책금·휴차료 등 '사고처리 비용 과다 청구' 피해가 74.2%(458건)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면책 또는 보험처리 거부' 피해도 17.3%(107건)로 집계됐다.한국소비자원은 재작년까지는 계약 관련 분쟁이 많았지만, 지난해에는 사고 관련 분쟁이 35.8%로 가장 많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한국소비자원은 여름 휴가철을 맞아 렌터카 수요가 집중되는 제주도에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관광협회, 한국렌터카사업조합연합회 등과 함께 소비자 피해 예방 활동을 펼치기로 했다.아울러 소비자에게는 렌터카 예약 시 취소 수수료와 자차보험 약관 등 거래조건을 꼼꼼히 살피고, 차량을 인수할 때는 차량 외관과 기능 작동 여부 등을 점검한 뒤 사진 등으로 남겨놓을 것을 당부했다.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4.07.16 08:53
경제

수리비 과다 청구하고 예약금 안돌려주고… 휴가철 '렌터카 피해' 주의

2020년 7월 소비자 A씨는 렌터카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본인 과실의 단독사고로 렌터카의 프런트범퍼 및 후미등 도장이 손상되는 일이 발생했다. 렌터카 업체에 이를 이야기하자, 정당한 이유 없이 프런트범퍼 손상에 대한 보험처리를 거부했다. 그리고는 신청인에게 수리비 182만7000원, 휴차료 60만원, 면책금 50만원 등 총 292만7000원을 청구했다. 여름 휴가철을 맞아 소비가 증가하는 '렌터카'와 관련된 피해 발생이 우려되고 있다. 25일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국내 여행의 증가와 함께 렌터카 수요도 늘면서 사고 처리비용 과다 청구 및 예약금 환급 거부‧위약금 과다 요구 등 관련 소비자피해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공정위 관계자는 "여름 휴가철을 맞아 렌터카 이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7~8월에는 소비자들의 주의가 더욱 필요하다"고 말했다. 소비자원에 2018년부터 2021년 5월까지 접수된 렌터카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1010건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이 중 7~8월 피해구제 신청이 20.8%(210건)로 가장 많았다. 피해유형별로는 수리비, 면책금, 휴차료 등 사고 처리비용을 과다하게 요구하는 ‘사고 관련 피해’가 40.2%(406건)로 가장 많았다. ‘사고 관련 피해’ 406건 가운데서는 ‘수리비 과다 청구’가 42.4% (172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 ‘면책금·자기부담금 과다 청구’ 36.5%(148건), ‘휴차료 과다 청구’ 34.7%(141건), ‘감가상각비 과다 청구’ 2.4%(26건) 순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예약금 환급 거부, 위약금 과다 요구 등 ‘계약 관련 피해’ 39.2%(396건), ‘렌터카 관리 미흡’ 6.6%(67건), ‘반납 과정상의 문제’ 4.1%(41건), ‘연료대금 미정산’ 2.3%(23건) 순으로 피해가 발생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1.07.25 16:20
연예

휴가철 렌터카 피해 급증…소비자원, 수리비 과다청구 ‘주의보’

휴가철 렌터카 관련 소비자 피해가 집중되고 있어 소비자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0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접수된 렌터카 관련 피해구제 신청 819건 중 173건(21.1%)이 여름 휴가철인 7~8월에 접수됐다. 렌터카는 이용 기간에 따라 하루 단위인 일반 렌터카와 시간 단위인 카셰어링, 12개월 이상 빌리는 장기렌터카로 구분된다. 이중 장기렌터카와 카셰어링과 관련한 피해구제 신청은 3년 만에 각각 66.7%, 13.0% 증가했다. 피해 유형은 '사고 관련 피해'(382건·46.6%), '계약 관련 피해'(282건·34.4%), '렌터카 관리 미흡'(48건·5.9%) 등의 순이었다. 사고 관련 피해를 세부적으로 분석(중복 포함)한 결과 '수리비 과다청구'가 267건(69.9%)로 가장 많았고, '휴차료 과다청구'(185건·48.4%), '면책금·자기부담금 과다청구'(159건·41.6%), '감가상각비 과다청구'(35건·9.2%) 등이 뒤를 이었다. 휴차료란 수리 기간 차를 운행하지 못해 발생한 영업손해를 말한다. 이중 수리비의 평균 청구금액은 약 182만원이었다. 휴차료와 면책금·자기부담금 청구금액도 각각 73만원, 60만원 정도로 집계됐다. 소비자정책위원회는 지난해 이 같은 과다청구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차대여 표준약관’을 개정할 것을 공정거래위원회에 권고했다. 이에 따라 공정위는 렌터카 업체가 수리비를 청구할 때 차량 수리내역을 제공하고 사고 수위에 따른 면책금의 적정 액수를 규정하도록 표준약관을 개정한다는 방침이다. 한국소비자원은 "렌터카 관련 피해 예방을 위해 차량을 인수·반납할 때나 사고 발생 시 주의사항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소비자에 당부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07.20 13:29
연예

르노삼성자동차, 르노그룹 지원받고 2013년 부활한다

르노그룹이 르노삼성자동차에 전폭적인 지지를 약속했다. 르노삼성자동차는 25일 서울 가산동 르노삼성타워에서 신년 기자간담회를 열어 성장과 전략을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는 질 노만 르노그룹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괄 부회장은 "한국을 통해 아시아·태평양 시장 실적을 높이는 게 목표다. 한국 시장 활성화를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프랑수아 프로보 르노삼성자동차 사장은 "부품 국산화율을 80%까지 높이겠다. 협력 업체와 긴밀한 협조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생각이다. 또 내수 시장 10% 달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르노삼성자동차는 지난해 11월 출시된 SM5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뉴 SM5 플래티넘으로 상승세를 탔다. 뉴 SM5 플래티넘의 성공적 출시는 르노삼성자동차가 르노 그룹으로부터 R&D, 디자인 등에서 전권을 위임 받은 후 이뤄낸 성과라는 점에서 더 큰 의미를 가진다.앞으로 르노삼성자동차는 글로벌 시장에서 차세대 SM5 모델과 QM5 모델의 개발을 주도하게 된다. 르노삼성자동차가 그룹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중대형 세단 및 SUV에 대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다지게 된 계기를 마련한 셈이다. 르노삼성자동차는 2013년부터 이 두 가지 모델에 대한 개발 작업을 시작할 계획이다.또 르노삼성자동차는 내수 시장에서 시장점유율 10%를 달성한다는 장기적인 목표를 세웠다. 올해 전국적으로 500개 서비스 센터를 보유하는 것을 목표로 14개의 서비스 센터를 확충할 계획이다. 지난해부터 시작한 서비스 브랜드 '오토 솔루션'을 한층 업그레이드시켜 새롭게 '고객과의 3가지 약속'을 선보인다. ▲보증기간과 견인거리에 상관없이 어디서든 가까운 르노삼성 정비소로 평생무료 견인서비스 제공 ▲정확하고 투명한 견적, 불필요한 정비 시 과다 청구 수리비 전액환급 ▲회사에서 보증하는 규격부품 사용으로 믿을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을 약속했다.부산공장에서는 2014년부터 닛산의 차세대 차량 로그를 생산하게 된다. '르노-닛산 얼라이언스'라는 이름을 통해 최고의 생산시설로 거듭날 계획이다. 앞으로도 로그 프로젝트와 같은 신규 프로젝트를 추가로 유치할 계획이다. 르노 그룹은 유럽 경제 위기의 영향으로 유럽 지역 내에서 지난해 실적은 하락했으나 2011년 43%에 지나지 않았던 유럽 이외의 지역에서 매출이 2012년에는 50%까지 상승하는 등 유럽 외 지역에서 빠른 성장을 거두고 있다.프로보 사장은 "2013년은 르노삼성자동차가 국내 시장은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 재도약하는 의미 있는 한 해가 될 것이다. 한국에서의 장기적인 전략과 2012 리바이벌 플랜의 성공적 실행을 토대로 지속 가능한 강한 기업으로 성장해나가는 동시에 르노 그룹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성장세를 가속화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라고 했다. 노만 부회장도 "르노 그룹은 르노삼성자동차가 국내 시장은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 르노 그룹의 성장에 기여하는 자동차 기업으로 성장하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김환 기자 hwan2@joongang.co.kr 2013.01.25 17:36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