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5건
산업

대우건설 3분기 영업이익 1902억원…"시장 기대치 상회"

코스피 상장사 대우건설은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902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7.4%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7일 공시했다.이번 영업이익은 시장 전망치 1755억원을 8.4% 상회했다. 매출은 2조9901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8.6% 증가했다. 순이익은 1099억원으로 36.9% 줄었다.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은 8조8696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3.0% 늘었다. 이는 연간 목표액(10조9000억원)의 81.4%에 해당하는 수준이다.사업 부문별로 보면 주택건축사업 부문 5조5668억원, 토목사업 부문 1조7737억원, 플랜트사업 부문 1조2287억원, 기타 연결 종속 부문 3천4000원 등이다.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보다 13.9% 늘어난 5846억원, 당기순이익 역시 4.0% 증가한 4122억원을 기록했다.대우건설 관계자는 "고금리와 건설 자재비 상승 등으로 주택건축사업의 원가 부담이 지속하고 있지만, 토목 및 플랜트사업 부문의 성장세에 힘입어 매출이 확대됐고 영업이익도 시장기대치를 상회했다"고 말했다.이어 "기존 대형 프로젝트의 매출이 계속 발생하는 것과 함께 향후 신규 프로젝트도 실적에 기여할 것으로 보여 비주택 사업 부문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올해 들어 3분기까지 누적 신규 수주액은 9조189억원으로 연간 수주목표액(12조3000억원)의 73.3%를 달성한 상태다.이 가운데 신규 해외 수주액은 연간 목표액(1조8000억원)의 133.7% 수준인 2조4061억원을 기록해 초과 달성했다.3분기 말 기준 수주 잔고는 45조5455억원으로 연간 매출액 대비 4.4년 치의 일감을 확보하고 있다.대우건설 관계자는 "하반기에도 주요 해외 거점 국가에서 후속 수주와 신시장 확대가 기대된다"며 "양질의 수주에 기반한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를 확보해 올해 목표를 달성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3.10.27 09:17
산업

수주 목표 93% 달성 HD한국조선해양 흑자 전환...STX중공업 인수전 진행 중

HD한국조선해양이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HD현대의 조선지주사인 HD한국조선해양은 27일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712억원으로 지난해 동기(영업손실 2651억원)와 비교해 흑자 전환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5조4536억원으로 30.2% 증가했고, 순이익은 394억원으로 흑자로 돌아섰다.조선 부문 매출은 26.2% 증가한 4조5031억원이고 영업이익은 478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이 부문 매출은 선박 건조물량 증가와 친환경·고부가가치 선박 매출이 반영됨에 따라 증가했다. 또 해양플랜트 부문 매출은 신규 수주 공사의 공정 증가로 47.6% 늘어난 2786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손실은 311억원으로 손실 폭이 줄었다.아울러 엔진기계 부문은 선박용 엔진 납품 수량과 친환경 이중 연료 엔진의 비중 확대로 매출은 296.4% 급증한 4880억원이고, 영업이익은 188.6% 증가한 1267억원이다.HD한국조선해양은 올해 들어 현재까지 112척, 145억9000만 달러(약 18조6000억원) 규모를 수주해 연간 목표 157억4000만 달러(약 20조800억원)의 약 92.7%를 달성했다.HD한국조선해양은 이날 콘퍼런스콜을 통해 매각 본입찰에 참여한 STX중공업 인수 협상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성기종 기업설명(IR) 담당 상무는 "STX중공업 인수 협상은 여전히 진행 중"이라며 "협상 과정에서 접점이 없어 갭(차이)을 좁혀가는 과정이 진행 중이고, 결론은 조만간 나올 것 같다. 다만 결과의 가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콘퍼런스콜에서는 한화오션과의 수주 경쟁 격화 등에 따른 우려도 언급됐다.강재호 HD현대중공업 선박해양영업본부 전무는 "특수선 사업은 국가 전략적으로 공공재를 양산하기에 시장에서 무한경쟁하는 쪽으로만 맡겨두지 않는다"며 "한화오션이 출범 이후 처음으로 수주하며 분위기가 격화됐지만 시간이 지나면 안정화될 것으로 보이고 물량도 배분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7.27 17:04
산업

대우건설, 지난달 토목사업부문 수주 1조원 돌파

대우건설은 지난달 토목사업 부문에서만 1조원이 넘는 수주고를 달성했다고 9일 밝혔다. 대우건설은 지난달 광역급행철도(GTX) B노선 민간투자사업구간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데 이어 서울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4공구 재정구간의 기본설계기술제안 설계적격심사에서도 1위로 선정됐다.GTX-B노선은 총 사업비가 3조5천억원으로 컨소시엄의 주간사인 대우건설은 이중 7700억원 규모의 수주가 가능할 전망이다.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 4공구 재정구간은 전체 공사비가 3639억원 규모로 역시 주간사인 대우건설 지분은 1620억원 규모다.이와 함께 지난달 889억원 규모의 이천마장물류단지 단지조성공사도 동시에 수주하면서 1월 수주액만 1조원을 넘겼다는 게 대우건설의 설명이다.이달 초에는 나이지리아에서 카두나 정유시설 긴급보수공사를 7055억원에 따내 한달 사이 비주택부문에서만 2조원에 가까운 수주액을 달성했다.대우건설 관계자는 "올해 토목부문의 수주목표가 1조8000억원인데 한달 만에 3건의 수주로 절반이 넘는 수주액을 달성한 것"이라며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부동산 시장 상황에 대비해 국내외 인프라와 해외건설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가겠다"고 말했다.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3.02.09 09:45
부동산

대형 건설사들, 1분기 성적표에 한숨…선방한 곳은

대형 건설사들의 올 1분기 성적표가 초라하다. 원자재 가격이 급등한 가운데 수익률이 떨어지고, 해외 사업도 신통치 않다. 주요 건설사 중에는 대우건설만 영업이익 2000억 원을 넘어서며 체면을 챙겼다. 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1년 시공능력평가 10위 내 건설사 중 절반 이상이 1분기 실적을 공개했다. 이 중에서 영업이익 2000억 원을 넘어선 곳은 대우건설뿐이었다. 대우건설은 1분기 매출 2조2459억 원, 영업이익 2213억 원을 기록했다. 부문별로 쪼개보면 주택건축사업부문 1조5143억 원, 토목사업 3825억 원, 플랜트사업 2719억 원, 기타연결종속부문 808억 원으로 나타났다. 작년 1분기 기저효과와 원자잿값 상승에 따른 마진율이 떨어지긴 했으나, 국내 주택사업과 해외 사업이 비교적 선전하면서 전망치보다 나은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지난해 1분기 주택건축 현장의 원가율 개선 요인과 해외 플랜트 현장 준공 프로젝트 실적 등 약 780억 원에 달하는 일시적 이익의 기저효과로 당기 영업이익이 줄었다"면서도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컨센서스를 상회하며 지난해부터 이어온 견고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도 매출 3조190억 원, 영업이익 1550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보다 각각 8.8%, 14.8% 증가한 수치로 나름대로 선방했다는 평가다. 대규모 프로젝트 공사가 본격화하면서 실적이 전반적으로 개선됐다는 것이 삼성물산의 설명이다. 다른 건설사는 울상이다. GS건설은 매출 2조3759억 원으로 집계됐으나, 영업이익 1535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이 기간 13% 줄었다. 지난 2년간 매년 약 2만7000가구의 분양 실적을 내면서 매출은 늘어났으나, 지난해 주택부문 선 착공 물량 1만 가구의 원가율 산정이 늦어지면서 영업이익이 줄었다. 현대건설은 매출이 4조1453억 원으로 지난해와 비슷했지만, 영업이익이 15% 가까이 감소한 1715억 원에 그쳤다. 현대건설은 1분기 부진이 원자잿값 때문만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사우디 마르잔 공사, 이라크 바스라 정유공장 등 해외 현장 공정이 하반기 이후에 집중됐다는 것이다. DL이앤씨는 매출 1조5147억 원, 영업이익 1257억 원을 기록했다. 각각 10.9%, 37.1% 감소한 결과다. 플랜트 부문의 매출이 절반 줄고, 자회사인 DL건설의 매출이 크게 떨어졌다. 2분기 이후 주택 부문, 하반기 해외 토목·플랜트의 신규 수주가 예정돼 연간 수주목표 달성은 무난할 것이란 것이 DL이앤씨의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1분기에 주요 건설사들이 부진한 모습을 보인 것은 계절적 특성과 대내외 악재가 맞물린 탓이 크다"며 "건자재 수급 불안정에 따른 공기 지연은 공사매출 하락과 간접비 증가 등이 건설사 실적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2.05.09 07:00
경제

삼성물산 패션부문, 신명품·보복소비 덕분에 껑충

삼성물산이 지난해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개선됐다. 상사와 패션 부문의 선적 덕이다. 올해도 수익성 중심의 내실있는 성장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삼성물산은 26일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9.4% 늘어난 9조7650억원, 영업이익은 27.7% 늘어난 3270억원이라고 공시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전체 매출액은 14.0% 늘어난 34조4550억원, 영업이익은 39.6% 늘어난 1조1960억원이다. 부문별로 보면 지난해 전체 건설부문 매출액은 10조9890억원, 영업이익은 2510억원을 기록했다. 건설부문에서는 수주액 13조원을 기록, 2021년 목표(10조7000억원)의 21%를 초과달성했다. 회사 측은 "3분기 국내 화력 발전 프로젝트의 공사비 증가 등으로 인한 일시적인 손실 발생 영향으로 이익이 감소했지만 수주는 연간 수주목표를 초과달성했다"고 설명했다. 상사부문에서는 매출액 17조3540억원, 영업이익 2960억원을 기록했다. 원자재가 상승 및 글로벌 트레이딩 역량 강화에 따른 수익성 개선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했다. 패션부문은 매출 1조7670억원, 영업이익 1000억원을 기록했다. 소비심리 회복세와 경영 효율화로 인한 체질 개선 가시화, 수입 브랜드 판매와 온라인 사업 호조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했다. 이른바 신명품 인기가 삼성물산 패션부문을 견인했다. 삼성물산이 2010년대 해외에서 들여온 메종키츠네와 아미, 톰브라운 등이 MZ세대에게 인기를 끌었다. 아미와 메종키츠네 매출은 지난해 10월 기준 각각 전년 동월 대비 200%, 70% 늘었다. 삼성물산 패션 측은 "국내 패션시장 소비심리 회복과 경영 효율화로 인한 체질 개선으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며 "수입 브랜드 판매와 온라인 사업이 성장하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반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2.01.27 14:49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