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ma2024 ×
검색결과4건
금융·보험·재테크

5대 은행 1인당 평균 소득 1억 넘었다...하나은행 1억1500만 1위

지난해 5대 은행 임직원의 1인당 평균 연봉이 모두 1억원을 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5대 은행 중에는 하나은행의 1인당 평균 연봉이 가장 높았다. 1일 은행연합회가 공개한 '은행 경영현황 공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임직원 1인당 평균 소득은 1억1006만원으로 집계됐다. 하나은행이 1억1485만원으로 5대 은행 중 가장 많았다. 이어 KB국민은행(1억1369만원), 신한은행(1억1078만원), NH농협은행(1억622만원), 우리은행(1억476만원) 순이었다.하나은행 관계자는 "2021년 경영성과급 지급액이 2022년 근로소득으로 귀속돼 상대적으로 소득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평균 소득은 급여와 상여로 나눠진다. 5대 은행 중 상여를 제외한 1인당 평균 급여가 가장 높았던 은행은 신한은행으로 9103만원에 달했다. 인터넷은행까지 포함하면 토스뱅크의 평균 급여가 유일하게 1억원을 넘는 1억757만원으로 집계됐다. 인터넷은행 3사(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까지 포함하면 카카오뱅크의 1인당 평균 소득이 1억3579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토스뱅크는 1억1604억원, 케이뱅크는 8945만원이었다. 카카오뱅크는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 행사이익이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뱅크에 따르면 스톡옵션 행사 이익을 제외한 카카오뱅크 임직원의 1인당 근로소득은 1억305만원이다. 카카오뱅크는 은행 중 1인당 상여 평균이 5055만원으로 가장 높기도 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은행 임직원의 희망퇴직금 현황도 공개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5대 은행 모두 지난해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고, 5대 은행에서만 2357명이 희망퇴직을 결정했다.5대 은행의 1인당 희망 퇴직금 지급액 평균은 3억5548만원으로 집계됐다. 은행별로는 하나은행이 4억794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KB국민은행(3억7600만원), 우리은행(3억7236만원), 농협은행(3억2712만원), 신한은행(2억9396만원) 순이었다. 다만 퇴직자의 기본퇴직금까지 합하면 희망퇴직자가 받은 퇴직금은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11.01 16:17
경제

IPO 무검토·무배당 재검토…주주 눈치 보는 SK이노베이션

SK의 종합 에너지 계열사 SK이노베이션이 소액주주 눈치를 보며 자세를 낮추고 있다. 지난해 거침없이 공개해 말이 무성했던 분할 계획은 어느새 쏙 들어갔다. 미래 투자를 위해 내세운 무배당 안건도 전면 재검토되고 있다. 흑자 전환에도 2년 연속 무배당 계획에 반발 3일 업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의 무배당 안건은 이른바 ‘민심’에 부딪혀 부결됐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달 28일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무배당 안건의 전면 재검토로 2년 만에 배당 시행을 예고했다. 당초 SK이노베이션은 향후 성장 사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와 재무 구조 등을 고려해 2021년도 주주 배당을 하지 않겠다는 안건을 이사회에 상정했으나 부결됐다. SK이노베이션은 2020년에도 대규모 적자로 인해 배당하지 않았다. 2021년도 매출 48조8429억원, 영업이익 1조7656억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음에도 SK이노베이션은 주주 배당을 고려하지 않아 주주들의 반발을 샀다. 다행히 이사회에서 이런 민심을 고려해 무배당 안건을 강력하게 반대하면서 2년 만에 주주 배당 가능성이 커졌다. 김종훈 의장 등으로 구성된 SK이노베이션 이사회는 흑자전환을 이룬 만큼 주주 가치·신뢰와 경쟁사 현황 등을 고려해 경영상 어렵더라도 주주 배당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적극적으로 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양섭 SK이노베이션 재무본부장은 "올해 예상되는 성장 사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 지출에 대한 대응이 배당 지급보다 시급하다는 판단으로 2021년 사업연도 무배당 안건을 이사회에 상정했다"며 "그러나 이사회가 치열한 논의 끝에 무배당 안건을 부결 처리했다"고 밝혔다. SK이노베이션은 어려운 시기에도 변함없이 지지를 보내준 주주에 대한 신뢰 제고 등을 위해 배당안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했다. 회사 측은 2017년과 2018년에만 하더라도 보통주 기준 주당 8000원의 배당을 했다. 배당금은 2019년 3000원으로 줄더니 적자가 발생한 2020년에는 무배당이 됐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해 주주 배당을 금전 외 주식과 기타 방식으로 할 수 있도록 정관을 변경했다. 이에 현금 배당이 아닌 주식 배당 등으로 이익을 배분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천문학적인 투자금, 물적분할 무검토 지난해 7월에만 해도 SK이노베이션의 분할은 기정사실에 가까웠다. 김준 부회장은 당시 파이낸셜 스토리 ‘중장기 핵심 사업 비전 및 친환경 전략’ 발표에서 “배터리 사업 성장을 위해 상당히 많은 자원이 들어가는데 재원 조달 방안의 하나로 분할을 검토하고 있다”고 당당하게 밝혔다.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부문 자회사인 SK온 지동섭 대표는 더 나아가 “향후 투자 타이밍을 놓치지 않기 위해 배터리 사업 입장에서는 빨리 분사를 하면 좋다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최근 주주들 반발에 기업공개(IPO) 말도 꺼내지 못하는 등 180도 상황이 달라졌다. SK온은 지난해 10월 이미 출범했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달 28일 “현시점에서 SK온 IPO에 대해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분명 말씀드린다”고 선을 그었다. 이런 행보는 분할로 인한 지주사의 주주가치 하락 등이 논란이 되면서 정치권에서 제도 개선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는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 손병두 한국거래소 이사장도 지난달 25일 신년 간담회에서 “물적 분할 후 모자회사 동시상장, 경영진 스톡옵션 행사와 관련한 투자자 보호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배터리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설비 부문에 천문학적인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하지만 분할을 통해 투자금을 확보한다는 카드를 당분간 쓰지 못하게 됐다. 여기에 예정에 없었던 주주 배당까지 해야 하는 상황이라 진퇴양난에 빠진 모양새다. SK이노베이션은 올해 설비투자 총 규모를 6조∼6조5000억원으로 전망했다. 사업 부문별로는 배터리 4조원, 분리막 1조원, 기타 사업 및 유지보수에 1조5000억원 수준이다. 김준 부회장은 “지난해에는 경영환경 및 시황 변동성의 영향으로 시장 전망에 비해 다소 저조한 실적을 달성했다”며 “이런 변화에도 흔들리지 않고 ‘카본 투 그린(탄소 중심에서 친환경 사업으로의 전환)’ 전략으로 빅 픽처를 그리겠다”고 말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2.02.04 07:02
경제

네이버·카카오·셀트리온…'인재 유치 경쟁'에 스톡옵션 최대치

기업들의 ‘인재 유치 경쟁’에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도 역대 최고치로 치솟고 있다. 특히 전문적인 인재풀이 제한적인 정보통신(IT)·서비스와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스톡옵션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CEO스코어가 7일 2017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국내 상장사의 스톡옵션 현황을 조사한 결과, 최근 5년간 임직원들에게 총 6조1464억원의 스톡옵션이 부여된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상장사들의 스톡옵션채택이 해마다 증가하면서 올해 상반기에만 2조원에 육박하는 스톡옵션이 부여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7333억원에서 2018년 9664억원, 2019년 1조669억원으로 1조원을 넘어선 뒤 지난해 1조4025억원으로 증가했다. 올해는 상반기에만 벌써 1조9774억원이 부여돼 작년 규모를 뛰어 넘었다. 사상 최대치를 계속해서 경신하고 있는 주식시장의 호황과 맞물린 결과로 분석되고 있다. 네이버가 2017년 이후 총 1조2042억원의 스톡옵션을 부여해 조사대상 기업 중 유일하게 조단위의 규모를 나타냈다. 네이버는 2019년부터 3년 연속 가장 많은 규모의 스톡옵션을 임직원에 부여하고 있다. 이어 카카오가 4886억원으로 뒤를 이었고, 셀트리온 4853억원, 한온시스템 1397억원, 셀트리온헬스케어 1085억원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신라젠(779억원)과 SK(633억원), NHN(558억원), 에이비엘바이오(550억원) 등 IT·서비스·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대부분 상위에 포진했다. 업종별로는 네이버·카카오 등이 포함된 서비스업종이 총 2조4256억원으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제약·바이오업종이 1조6935억원으로 2위에 올랐다. 서비스와 제약·바이오업종의 합산 스톡옵션 부여액은 4조1192억원으로 전체의 67%를 차지했다. 또 소수 임원 중심으로 부여되던 스톡옵션의 대상은 전체 직원으로 확대되는 분위기다. 2017년에는 상장사의 전체 스톡옵션 부여 대상 가운데 임원이 차지하는 비중이 57.2%에 달했으나 2019년부터는 직원 비중이 50%를 넘어섰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7.07 10:50
경제

리딩뱅크 자리 내준 신한…사회공헌도 '인색'·신한사태 앙금도 여전

신한은행이 흔들리고 있다. 신한은 지난 2분기 실적에서 KB금융에 뒤처지며 '리딩뱅크' 자리를 뺏기더니 사회공헌에도 인색한 모습이다. 이달 중순에 발표될 3분기 실적에서도 신한은 KB금융을 뛰어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7년 전 발생한 신한사태의 앙금까지 남아 있어 전전긍긍하고 있다. 리딩뱅크라던 신한, 사회공헌은 줄여11일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최근 5년간 은행별 사회공헌활동 예산집행 현황' 자료에 따르면 국내 17개 은행의 사회공헌 예산집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17개 은행의 사회공헌 지출 총액은 2013년 5767억원, 2014년 5082억원, 2015년에는 4610억원까지 줄어들었고 지난해에는 3949억원까지 대폭 떨어졌다. 올해는 7월 말까지 1643억원을 집행한 것으로 나타나 감소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 리딩뱅크 자리를 KB국민은행에 내준 신한은행의 사회공헌비용은 국민은행보다도 적었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365억원을 집행해 4년 전인 2013년 540억원보다 175억원(32.4%) 줄였다. 국민은행도 줄였지만 감소 폭은 28.4%로 신한은행보다 작았고 사회공헌비용 역시 지난해 463억원으로 신한은행보다 많았다. 영업이익 대비 사회공헌비용이 차지하는 비중도 신한은행은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지난해 신한은행은 1조7208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지만 이 중 사회공헌비용은 365억원으로 2.12%에 불과했다. 신한은행의 영업이익 대비 사회공헌비율은 지난 2013년에만 3.16%로 3%대였다가 2014년에는 2.59%로 떨어지면서 3년 연속 2%대에 머물러 있다. KB국민은행은 지난해 1조1643억원의 영업이익을 내고 이 중 463억원(3.97%)을 사회공헌비용으로 지출했다. 우리은행 실적은 4대 은행 중 가장 낮았지만 사회공헌비율은 높은 수준이었다. 지난해에 1조2705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린 우리은행은 사회공헌비용으로 513억원을 내면서 4대 은행 가운데 가장 많은 금액을 집행했다. 영업이익 대비 사회공헌비율도 4.03%로 4대 은행 중 가장 컸다. 4대 은행 가운데서 지난 4년간 사회공헌비용을 가장 많이 줄인 곳은 KEB하나은행이었다. KEB하나은행은 지난 2013년 603억원이던 사회공헌비용을 2016년에 243억원까지 360억원(59.6%) 줄였다. 리딩뱅크도 뺏기고 신상훈 부상에 '전전긍긍'신한은행은 최근 국민은행에 실적 면에서 뒤처지며 '국내 1위 은행'이라는 위상도 뺏길 처지다. 이달 중순 발표 예정인 3분기 실적에서도 국민은행은 신한은행을 제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증권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은행주의 올 3분기 당기순이익(지배주주 귀속순이익) 예상 실적은 KB금융이 8263억원으로 가장 높았다. 신한지주는 7740억원으로 KB금융에 약 500억원 적을 것으로 보인다. 하나금융지주는 5500억원, 우리은행은 3487억원으로 집계됐다. 신한지주는 지난 2분기 KB금융에 리딩뱅크 자리를 뺏겼다. 지난 2분기 신한지주가 892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낼 때 KB금융은 9901억원이었다. 이런 가운데 조용병 신한지주 회장과 위성호 신한은행장 등 현 고위 경영자들과 앙금이 남아 있는 신상훈 전 신한금융지주 사장이 차기 전국은행연합회 회장 후보군으로 이름을 올리고 있어 신한은행은 전전긍긍하고 있다. 은행연합회는 전국 22개 은행을 회원사로 둔 사실상 국내 은행을 대변하는 단체로, 은행연합회장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 추천권까지 갖고 있다.신 전 사장은 지난 2010년 신한지주 내부에서 발생한 권력 다툼(신한사태)으로 라응찬 전 신한금융지주 회장과 이백순 전 신한은행장으로부터 횡령 및 배임 혐의로 검찰에 고소당했다. 당시 위 행장은 신한금융지주 공보 담당 부사장으로 재직하며 라 전 회장을 대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신 전 사장은 약 7년간의 법정 소송 끝에 최근 대법원으로부터 무죄 선고를 받았다. 신한지주는 최근 신한사태 이후 행사를 못 하게 묶어 둔 신 전 사장의 잔여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의 보류 해제를 결정하며 신한사태가 종지부를 찍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신 전 사장 측은 "신한지주의 사과가 먼저"라며 여전히 불편한 내색을 보이고 있다. 조은애 기자 cho.eunae@joins.com 2017.10.12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