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산업

'삼성 합병' 불합리 주장 메이슨 캐피탈에 438억 배상...엘리엇 이어 두 번째

'삼성 합병'과 관련해 한국 정부가 미국계 헤지펀드 메이슨 캐피탈에 약 438억원을 배상해야 한다는 국제중재기구 판정이 나왔다. 엘리엇 매니지먼트에 이어 두 번째 정부의 손해 배상 책임 판결이다. 12일 법무부에 따르면 국제상설중재재판소(PCA)의 중재판정부가 메이슨 측 주장을 일부 받아들여 한국 정부에 3203만876달러 및 지연이자(2015년 7월부터 5% 연복리)를 지급하라고 판정했다고 밝혔다. 이날 환율(달러당 1368.5원) 기준으로 약 438억원 수준이다. 메이슨이 청구한 손해배상금 2억 달러(약 2737억원) 중 16%가량이 인용된 것이다.중재판정부는 한국 정부가 메이슨에 법률비용 1031만8961달러(141억원)와 중재비용 63만유로(9억원)도 지급해야 한다고 판정했다. 배상 원금에 지연이자, 법률·중재비용을 모두 합치면 정부가 메이슨에 줘야 할 금액이 800억원에 육박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메이슨은 2015년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을 승인하는 과정에 한국 정부가 부당하게 개입해 손해를 봤다며 2018년 9월 국제투자분쟁 해결 절차(ISDS)를 통해 국제중재를 제기한 바 있다. 당시 양사는 합병 비율을 삼성물산 1주당 제일모직 0.35주로 정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그룹 승계라는 부당한 목적으로 삼성물산 주주들에게 불리한 비율이 정해졌다는 것이 메이슨 주장이다.나아가 박근혜 정부의 입김이 미친 국민연금공단이 불공정한 합병을 찬성함에 따라 자신들이 손해를 봤다며 정부의 배상을 요구했다. 당시 메이슨은 삼성물산 지분의 2.18%를 보유하고 있었다. 메이슨은 중재판정부의 심리 과정에서 "합병의 진정한 목적은 총수 일가의 승계를 촉진하고 지배력을 증대시키는 것이었고, 이는 궁극적으로 삼성물산 주주의 손실로 이어졌다"며 "박근혜 전 대통령이 2015년 삼성 총수 일가가 제공한 수백만 달러의 뇌물을 받았고, 국민연금의 내부 절차를 침해하고 합병에 승인하도록 개입했다"고 주장했다.이에 맞서 정부 측은 "박 전 대통령이 뇌물을 수수한 것, 그리고 이를 이유로 탄핵당하고 수감된 것은 사실이나, 뇌물은 합병이 승인된 이후에 수수했기 때문에 국민연금 의결권 행사와는 관련이 없다"며 "메이슨은 한국 법원의 판단과 미확정 상태인 형사 기소 단계에서의 주장을 짜깁기해 허구의 이야기를 지어내고 있다"고 반박했다.그러나 중재판정부는 양측의 공방을 심리한 결과 메이슨 측의 주장에 일부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이번 사건과 취지가 비슷한 '엘리엇 사건'에서도 중재판정부는 삼성 합병과 관련해 한국 정부의 배상 책임을 일부 인정한 바 있다. 엘리엇 매니지먼트에게 정부가 지급해야 할 돈은 1300억원대에 이른다.정부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상의 '관할 위반' 등을 이유로 이 판정에 불복해 지난해 7월 중재지인 영국 법원에 취소소송을 제기한 상태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4.12 08:26
경제

이재용의 '뉴 삼성’ 시대…노트7 수습·사업재편 과제 '산더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등기이사 선임을 계기로 공식적으로 경영 전면에 나선다.26일 재계에 따르면 이 부회장의 등기이사 선임 안건을 논의할 삼성전자 임시 주주총회가 27일 오전 10시 서울 서초구 삼성 서초사옥 다목적홀에서 열린다.등기이사 선임 안건이 의결되면 이 부회장은 이날부터 등기이사직을 수행하게 된다.이건희 회장이 2008년 그룹 회장직에서 물러난 이후 오너 일가의 삼성전자 등기이사직 복귀는 8년 만이다.이 부회장의 '뉴 삼성' 시대가 열렸지만 헤쳐나가야 할 난제가 산적하다. 당장 이 부회장의 발등에 떨어진 불은 '갤럭시노트7(이하 노트7)' 단종 사태다. 한때 노트7은 ‘최고의 스마트폰’이라는 찬사를 받았지만, 출시 두 달 만에 단종이라는 치욕을 맛본 만큼 명예 회복을 위해 철저한 반성이 필요하다는 게 중론이다. 재계에서는 이 부회장이 주도적으로 노트7 사태 수습을 지휘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아울러 그룹의 신사업 발굴과 지배구조 개편으로 미래 사업 방향을 명확히 제시해 불확실성을 줄여나가는 과제도 안고 있다.이병철 선대회장과 이건희 회장에 이어 3대 경영 체제에 돌입하는 것인 만큼 선친들의 그늘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리더십을 구축해야 한다.특히 지배구조 개편과 관련해 상법과 보험업법,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개정안 등 각종 규제 강화 법안들이 등장할 것으로 보여 이런 장애물들을 잘 대처하고 극복할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이와 맞물려 엘리엇매니지먼트와 같은 외국계 헤지펀드들의 공세를 방어해야 하는 것도 이 부회장이 떠안고 있는 난제이다. 지난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간 합병당시 심하게 반대한 엘리엇매니지먼트는 최근 자회사 블레이크캐피털과 포터캐피털을 통해 삼성전자 이사회에 공개서한을 보내 지주회사 분사, 주주 특별배당, 독립적 이사 추가 등을 요구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재계 관계자는 "이 부회장이 등기이사를 맡는다는 것은 책임을 지겠다는 의미로 과거 한국적 기업문화를 벗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라며 "당장 노트7 단종 사태로 인한 위기 상황을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ins.com 2016.10.27 07:00
경제

아르헨티나 “빚 못 갚겠다” 디폴트 위기감 고조

페르난데스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헤지펀드들의 강탈행위에 굴복할 수 없다"면서 미 대법원이 명령한 대로 빚을 갚으려면 아르헨티나 외환보유고의 절반 이상이 필요해 채무변제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다만 채무조정에 합의한 다른 투자자들에 대해서는 빚을 갚아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미국 대법원은 아르헨티나 정부가 이들 헤지펀드에 진 빚을 모두 갚아야 한다고 판결했지만 아르헨티나는 받아들일 수 없다며 버티고 있다. 이에 따라 아르헨티나 정부는 엘리엇매니지먼트 산하 NML캐피탈과 아우렐리우스 캐피탈 등 헤지펀드들에 15억달러(약 1조5347억원)에 이르는 채무 전액을 갚아야 하는 처지가 됐다. 아르헨티나는 다른 채권자들에게 진 채무를 상환하기에 앞서 헤지펀드에 진 채무를 먼저 갚아야 한다. 조정 채무에 대한 상환 만기일이 이달 30일로 얼마 남지 않은 상황이어서 아르헨티나는 채무 만기 상환이 일시적으로 불가능해지는 기술적 디폴트에 빠질 위기에 처했다. 디폴트 우려에 아르헨티나의 국가 신용등급도 강등됐다.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다드앤푸어스(S&P)는 이날 아르헨티나의 신용등급을 'CCC+'에서 'CCC-'로 두 단계 낮췄다. CCC-는 투자부적격(정크) 등급으로, 투자적격 등급보다 9단계 아래에 있다. 이는 현재 S&P가 신용등급을 매기고 있는 나라들 가운데 가장 낮은 등급이다. 온라인 일간스포츠 2014.06.18 16:33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