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4건
산업

'신의 직장' 평균 1억 넘는 공공기관 20곳...현대차·LG엔솔보다 많아

공공기관 직원의 평균 연봉이 대기업보다 많고 1억 원이 넘는 ‘신의 직장’도 20곳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 시스템인 알리오에 따르면 지난해 공공기관 370곳의 직원 평균 연봉은 전년보다 1.5% 증가한 6976만 원이었다. 일반 정규직의 1인당 평균 보수액을 기준이다. 세부적으로는 기본급 5030만 원, 고정수당 602만 원, 실적수당 266만 원, 급여성 복리후생비 86만 원, 성과상여금 967만 원 등이다. 울산과학기술원의 연봉이 1억2058만 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한국전자통신연구원(1억1595만 원), 한국투자공사(1억1592만 원), 한국과학기술원(1억1377만 원), 한국산업은행(1억1370만 원) 등의 순이다. 이들을 포함해 연봉이 1억 원 이상인 공공기관은 20곳이다. 2017년에는 1억 원 이상이 한국투자공사(1억1103만 원)를 비롯해 단 5곳이었는데, 4년 만에 4배로 늘었다. 통계청이 지난 2월 발표한 '2020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보수) 결과'를 보면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은 529만 원과 259만 원으로 연간으로 환산하면 6348만 원과 3108만 원이다. 2020년 기준 공공기관 370곳의 평균 연봉은 6874만 원으로, 대기업보다 8.3% 많았다. 중소기업과 비교하면 2.2배 수준이다. 공공기관들의 연봉은 주요 대기업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지난해 연봉 1위인 울산과학기술원을 시가총액 상위 10대 기업과 비교하면 상위 4위 수준이다. 올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보면 시총 상위 10대 대기업 중 울산과학기술원보다 연봉이 높은 곳은 카카오(1억7200만 원), 삼성전자(1억4400만 원), 네이버(1억2915만 원) 등 3곳뿐이다. SK하이닉스(1억1520만 원), 삼성SDI(1억1000만 원), LG화학(1억300만 원), 기아(1억100만 원), 현대차(9600만 원), LG에너지솔루션(9000만 원), 삼성바이오로직스(7900만 원) 등 나머지 7곳은 울산과학기술원보다 낮았다. 지난해 공공기관 연봉을 성별로 보면 남성이 7451만 원으로 여성(6030만 원)보다 23.6% 높았다. 남성 1위는 한국산업은행으로 1억2941만 원이고 이어 울산과학기술원(1억2680만 원), 한국투자공사(1억2633만 원), 정부법무공단(1억2230만 원), 한국수출입은행(1억2062만 원) 등의 순이었다. 여성 1위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1억1057만 원)으로 유일하게 1억 원이 넘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2.05.16 09:57
경제

카카오뱅크 사외이사 하루 일하고 2000만원?…"활동시간 기준 불명확해"

지난해 출범한 인터넷 전문은행인 카카오뱅크 사외이사들이 20~30시간 남짓 일하고 2000만원이 넘는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12일 카카오뱅크가 은행연합회에 공시한 2017년 지배구조 및 보수체계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카카오뱅크 사외이사 6명은 지난해 평균 27시간을 일하고 연간 기본급으로 각 2216만원을 받았다.이사회 의장 등 위원장에게 지급되는 추가 수당이나 회의 참석비 등은 보수에 포함되지 않아 금액의 절대값은 다른 시중은행들보다 적었지만 시간당 보수는 100만원에 육박하는 수준이었다. 이 가운데 홍준기 사외이사는 지난해 총 이사회 6회 중 5회 참석, 임원후보추천위원회 1회 참석, 보수위원회 2회 참석 등 총 활동 시간이 21시간으로 시급이 무려 105만5238원에 달했다.가장 많은 활동을 한 노재균 사외이사는 이사회 6회 참석, 임원후보추천위원회 1회 참석, 위험관리위원회 6회 참석 등을 했지만 총 활동 시간은 32시간에 그쳤다. 시급으로 따졌을 때는 1시간 당 69만2500원을 받은 셈이다.이외에 이상원 사외이사는 31시간으로 시급이 71만4838원, 김만수 사외이사는 30시간 활동으로 시급이 73만8666원, 김호·윤영규 사외이사는 각각 24시간으로 시급이 92만3333원 등이었다.이는 같은 인터넷 전문은행인 케이뱅크보다 높은 수준이다.케이뱅크는 지난해 동안 6명의 사외이사들에게 평균 4495만원의 보수를 지급했다. 이들의 평균 활동 시간은 106시간으로 시급으로 따지면 42만4056원이다.가장 활동을 많이 한 성낙일 사외이사는 이사회 14회에 참석하고 임원후보추천위원회 3회, 감사위원회 12회, 위험관리위원회 7회 모두 참석하는 등 활동 시간이 128시간이었다. 지난해 받은 보수는 4470만원으로 시급은 34만9218만원이다.KB국민·신한·KEB하나·우리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의 경우 사외이사 활동 시간은 통상 200~300시간으로 집계됐다. 연보수액 평균은 6500만원 선이다.카카오뱅크 측은 활동시간에 대한 일괄적인 기준 없이 단순 수치상 비교는 억울하다는 입장이다.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사외이사 활동 시간에 포함되는 기준은 일률적으로 정해져 있지 않다. 어떤 은행은 회의 참석 횟수보다 활동 시간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도 있다"며 "명확한 기준도 없는 상황에서 시급으로 비교를 한 것은 억울하다"고 말했다.이 관계자는 "카카오뱅크는 단순하게 회의 참석 시간만 활동 시간에 포함시켰기 때문에 다른 은행에 비해 투명하게 공개한 것"이라며 "다른 은행들이 주는 회의비나 건강검진비, 통신비 등도 전혀 없이 기본급만 제공해 보수 수준은 낮다"고 말했다. 조은애 기자 cho.eunae@jtbc.co.kr 2018.03.12 15:33
경제

지난해 연봉킹 1위는 권오현 부회장…수입 200억원 추정

지난해 오너가 아닌 현직 전문경영인(CEO) 중에서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이 가장 많은 수입을 올렸을 것으로 추정됐다. 1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전문경영인의 작년 한 해 보수총액과 배당금, 주식 평가차익 등 연간 수입을 분석한 결과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이 약 200억원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되면서 ‘연봉킹’ 1위에 올랐다. 권 부회장은 지난해 상반기에 받은 보수 139억8000만원과 삼성전자 임원 보수 규정에 따라 하반기 급여와 상여금 추정액 50억원 등을 합쳐 연간 보수만 190억원 수준에 달한다. 삼성전자 주식의 배당금과 일부 보유주식 매각차익도 10억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2015년 자신의 기록 149억5400만원을 넘어 등기임원 보수액이 공개된 2013년 이후 전문경영인으로 역대 최고다. 권 부회장의 연간 보수액은 2013년 67억7300만원, 2014년 93억8800만원, 2015년 149억5400만원, 2016년 66억9800만원 등 4년간 378억1천300만원으로 집계된다. 여기에 지난해 추정액을 더하면 5년간 권 부회장이 받은 보수총액은 570억원에 육박한다. 다음으로 많은 수입을 올린 전문경영인은 김태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장으로, 연간 보수액은 상반기 21억3400만원을 합쳐 30억원대로 추정된다. 여기에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장과 주가 급등에 따른 주식평가액이 60억원대에 달해 연간 90억원 수준의 수입을 올린 것으로 추정됐다. 삼성전자의 윤부근 사장과 신종균 사장도 지난해 회사에서 받은 보수 등 수입이 70억원대로 추산됐다. 차석용 LG생활건강 부회장은 보수와 보유주식 평가차액 등 모두 50억원대 수입을 올렸고, 김창근 SK이노베이션 이사회 의장도 40억원 넘게 벌어들인 것으로 보인다. 조성진 LG전자 부회장, 박진수 LG화학 부회장, 한상범 LG디스플레이 부회장, 유상호 한국투자증권 사장, 조대식 SK 사장 등 전문경영인도 보수와 보유주식 평가차익 등을 합친 작년 수입이 30억원대에 이른다. 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 정택근 GS 부회장, 최양하 한샘 회장, 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 김준호 SK하이닉스 사장, 육현표 에스원 사장, 최희문 메리츠증권 사장, 권오준 포스코 회장 등도 20억원이 넘는 수입을 올린 것으로 추정된다. 온라인 일간스포츠 2018.01.02 08:32
경제

같은 임원인데…오너·전문경영인 연봉 ‘하늘과 땅 차이’

같은 재벌그룹의 임원이라도 오너 일가와 전문경영인간 연봉 격차가 2배 이상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개혁연구소는 7일 지난해 국내 30대재벌 계열사 73곳의 임원 보수를 분석한 결과 보수 격차가 큰 상위 20개 기업 중 19곳에서 총수 일가가 가장 많은 연봉을 받아간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 회사의 최상위 보수 수령자의 평균보수는 24억1000만 원, 차상위 수령자의 평균보수는 10억6000만 원이었다. 전체 임원 287명의 연간 평균 보수액은 14억 4천만 원으로 집계됐다.최상위 수령자와 차상위 수령자 간 보수 격차가 가장 큰 기업 1~3위는 모두 SK그룹 계열사가 차지했다. SK의 보수격차(최상위 보수/차상위 보수)는 7.95배로 가장 컸고, SK C&C 7.82배 , SK이노베이션이 6.70배로 뒤를 이었다.세 기업 모두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가장 많은 보수를 받아갔다. 최 회장은 SK에서 87억 원, SK C&C에서 80억 원, SK이노베이션에서 112억 원을 수령했다.이외에 금호석유화학(5.99배), 대한항공(5.32배), 현대모비스(5.07배) 등도 큰 격차를 나타냈다.나머지 기업들도 대부분 배 이상의 보수 격차를 보였다. 상위 20개 회사 중 오너가 아닌 전문경영인이 최고 보수액을 받아간 경우는 삼성증권의 김석 대표이사가 유일했다.최상위 보수 수령자가 대부분 오너인 반면 차상위 보수 수령자들은 대부분 전문경영인이었다.하지만 현대자동차와 GS건설은 최상위 보수 수령자에 이어 차상위 보수 수령자도 총수 일가인 것으로 확인됐다.현대차에선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에 이어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이 가장 많은 임금을 받았고, GS건설에서는 허창수 GS그룹 회장과 허명수 GS건설 사장이 보수 수령액이 가장 많은 임원 1~2위에 올랐다.경제개혁연구소는 “임원 간 보수 차이가 배 이상 나는 것은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부분”이라며 “총수 일가의 보수 책정에 객관적이고 명확한 기준이 있기보다는 총수 일가나 최측근이 보수 책정에 깊이 관여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고 지적했다.경제개혁연구소는 이어 “개정된 자본시장법의 취지에 맞게 개별임원 보수를 공시할 때 반드시 구체적인 산정 기준과 방법에 대해서도 공시하도록 의무화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형구 기자 ninelee@joongang.co.kr 2014.05.08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