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5건
스포츠일반

쑨양 기록 깨고, 박태환의 전설 물려받은 김우민…이제 세계 정상을 꿈꾼다 [항저우 2022]

말 그대로 전설이 탄생했다. 김우민(강원도청)이 항저우 아시안게임을 수영 3관왕으로 제패하며 파리 올림픽을 향한 큰 꿈을 꾸기 시작했다.김우민은 28일 중국 저장성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수영 남자 자유형 400m 결승에서 3분44초36에 터치 패드를 찍고 이번 대회 개인 세 번째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대회 전부터 유력했던 3관왕을 드디어 현실로 만들었다. 역대 한국 수영 대표팀 중 아시안게임에서 단일 대회 3관왕을 차지한 이는 1982년 뉴델리 대회 최윤희(배영 100m·배영 200m·개인혼영 200m)와 2006년 도하 대회(자유형 200m·400m·1500m), 2010년 광저우 대회(자유형 100m·200m·400m)에서 2연속 3관왕을 이룬 박태환 뿐이었다. 그 전설적인 기록에 2023년 김우민도 이름을 더하게 됐다.타이틀만 많은 게 아니다. 김우민은 28일 자유형 800m 금메달을 딸 당시 7분46초03으로 우승했다. 이는 중국 수영의 아이콘이자, 항저우가 고향인 쑨양의 종전 대회 기록 7분48초36을 2초33이나 줄인 대회 신기록이었다. 자신이 세웠던 종전 한국 기록 7분47초69도 1초63 단축한 숫자였다. 앞서 열린 남자 계영 800m 결선에서도 7분01초73으로 아시아 신기록을 동료들과 함께 달성했다.사실 29일 우승한 남자 자유형 400m에서도 신기록을 노렸다. 이날 그는 경기 중반까지 자신의 종전 페이스보다 최대 0.9초 가까이 빠르게 질주했다. 그러나 막판 페이스가 주춤했고, 결승 자체는 압도적 우승을 기록했으나 개인 신기록 달성까진 이뤄내지 못했다. 페이스가 빨랐던 건 욕심이 있어서다. 김우민이 오르고자 하는 정상은 아시안게임 3관왕이 아니다. 아시안게임은 그에겐 일종의 '중턱'이다. 올림픽에 나가 세계 정상에 서는 게 그의 꿈이다. 실제로 그는 자신의 왼쪽 손목에 오륜기를 새겨놓았다. 자신의 눈에만 잘 보이는 자리라 새긴 것이었다. 그만큼 올림픽은 그에게 꿈이요, 목표다.29일 경기 후 취재진과 만난 김우민은 "내 목표는 파리 올림픽이다. 파리 올림픽에 출전한다면 그 정도 페이스로 가야 세계적인 선수들과 경쟁할 수 있다고 생각해 초반에 페이스를 올린 게 사실"이라며 "개인적인 목표가 파리 올림픽에서 포디움에 올라가보는 것이다. 이번 대회는 그걸 위해 연습하는 한 단계의 과정이라고 생각했고, 그 부분이 괜찮게 이뤄진 것 같아 뿌듯하다"고 전했다.김우민은 "오는 2월 열리는 세계선수권을 파리 올림픽 전 마지막 점검이라 생각하고 대회에 임하겠다"며 "선수권에서도 좋은 결과를 낸다면 파리 올림픽에서도 더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지 않을까"라고 기대했다. 이어 "부다페스트 대회(2022년) 때 6위를 했는데, 그 다음(후쿠오카 대회) 5위를 했다. 2월 선수권 때 3위를 하고, 올림픽 때 1등을 해보고 싶다"고 다짐했다.또 다시 새 역사를 쓰기 위해 달려가기 전에, 김우민이 하고 싶은 게 하나 있다. 김우민에게 대회를 마쳤으니 가장 하고 싶은 게 뭐냐고 묻자 그는 "일단 하루만 수영 없이 쉬고 싶다"고 웃었다. 쉼 없이 달려온 '전설'에게도 수영 없는 날 하루 정도는 필요했던 모양이다.항저우(중국)=차승윤 기자 chasy99@edaily.co.kr 2023.09.30 05:50
스포츠일반

[장진영기자의 여기는 도쿄]'승리를 기원한다' 실력만큼이나 화려한 선수들의 문신

2020 도쿄올림픽 다이빙 종목에 출전한 우하람은 오른쪽 어깨에 오륜기 문신을 새겼다. 입수하는 순간에도 시선을 끄는 그의 문신은 마치 강렬한 의지를 드러내는 듯하다. 이번 대회에서 세계신기록을 세우며 5관왕에 오른 미국의 케일럽 드레슬의 몸에는 독수리, 곰, 악어 등 3마리의 동물이 그려져 있다. 어깨에 자리한 미국의 국조 독수리는 집중과 용기를 상징한다. 실력만큼이나 화려한 수영 선수들의 문신을 모아봤다. 도쿄=장진영 기자, 올림픽사진공동취재단 2021.08.01 14:26
야구

[포토]윤성빈,손목에 오륜기 문신

'2018 프로야구 신한은행 마이카 KBO리그' LG트윈스의 KIA타이거즈와의 홈개박전이 30일 오후 잠실야구장에서 열렸다.평창올림픽 스켈레톤 금메달리스트 윤성빈이 시구 하고 있다..잠실=정시종 기자 jung.sichong@jtbc.co.kr /2018.03.30.. 2018.03.30 18:48
스포츠일반

'봅슬레이 출격' 원윤종-서영우 "우리의 목표는 금메달"

‘봅슬레이’는 방향을 조종할 수 있는 썰매를 타고 눈과 얼음으로 만든 트랙을 활주하는 경기다.봅슬레이 종목은 오픈 4인승, 남자 2인승, 여자 2인승 총 3개의 종목으로 나뉜다. 2인승 봅슬레이에는 썰매를 조종하는 ‘파일럿’과 썰매를 밀고 멈추는 역할을 하는 ‘브레이크맨’으로 이뤄진다. 최고 시속 150km, 코스 평균 1.3km를 질주하는 봅슬레이는 파일럿과 브레이크맨의 호흡이 생명이다.이번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에 봅슬레이 남자 2인승에 출전하는 ‘파일럿’ 원윤종(33)과 ‘브레이크맨’ 서영우(27) 또한 환상의 호흡을 자랑한다.원윤종은 대한체육회와의 사전 인터뷰에서 “다니던 대학교 게시판에 붙은 봅슬레이 국가대표 선발전 공고문을 우연히 보고 관심이 생겼다. 그렇게 국가대표 선발전에 출전했고, 26살의 늦은 나이에 선수생활을 시작했다”고 말했다.원윤종은 체육교사의 꿈을 접고 바로 봅슬레이 국가대표 선발전에 출전해 1위를 차지했다. 어린 시절부터 올림픽을 준비하며 달려온 타 선수들과 출발점부터 달랐던 셈이다.서영우 또한 “20살 때, 우연히 봅슬레이 강습회에 갔다가 봅슬레이의 매력에 반했다. 봅슬레이는 얼음 위의 F1이라 불릴 만큼 바른 스피드를 지닌 종목이다. 힘과 스피드를 한계까지 끌어올리는 봅슬레이만의 폭발적인 경기력에 매료돼 여기까지 왔다”고 봅슬레이를 시작하게 된 계기를 밝혔다.2010년 ‘썰매 불모지’ 한국에서 봅슬레이를 시작한 두 사람의 지난 시간은 결코 쉽지 않았다. ‘가장 힘들었던 순간’을 묻는 질문에 서영우는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봅슬레이 종목이 늦게 도입됐다. 그러다 보니 고난과 역경이 많았다. 가장 힘들었을 때는 봅슬레이를 처음 시작했을 때다. 사실 시작이 가장 어렵지 않은가. 어떻게 운동을 해야 할지, 무엇을 먼저 해야 할지 고민이 많았다”고 털어 놓았다.실제로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가 확정되기 전까지 한국의 봅슬레이 선수들은 제대로 된 훈련 장소도 없이 외국에서 사용하던 중고 썰매로 훈련을 해야만 했다.그럼에도 원윤종-서영우는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대회에서 18위에 오르며 한국 봅슬레이의 희망을 쏘아 올렸다. 이어진 2015/2016 IBSF(국제봅슬레이스켈레톤경기연맹) 월드컵에서 세계랭킹 1위를 하는 기염을 토했다. 지난해 11월에 열린 IBSF 월드컵 3차 대회에서 6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올림픽을 앞 둔 시즌에서 21위로 다소 아쉬운 성적을 기록하기도 했다.하지만 원윤종-서영우는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대회의 우승 후보로 꼽힌다. 지난 16일, 남자 봅슬레이 2인승 세계랭킹 1위인 캐나다의 저스틴 크리프스가 원윤종-서영우를 우승 후보로 거론했다. 개최국 선수인 데다 유능한 선수라는 것이 저스틴 크리프스의 평이다.원윤종-서영우는 지난해 9월부터 평창 올림픽 슬라이딩 센터 트랙을 하루에 8번씩 주행하며 훈련에 매진해왔다.발목에 오륜기 문신을 새기며 평창 올림픽을 준비해 온 서영우는 “자국에서 열리는 첫 동계올림픽이다. 홈에서 열리는 경기인 만큼 이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고 본다. 열심히 노력한 결실을 금메달로 보여드리겠다. 봅슬레이의 불모지였던 한국에서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고난의 과정에 있었던 브레이크맨으로 기억되고 싶다”고 당찬 포부를 밝혔다.원윤종은 “국민들이 기뻐할만한 결과를 이뤄내는 것이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서의 내 목표다. 무엇보다 이번 올림픽에서 좋은 성적을 내어 한국 썰매 종목이 앞으로 꾸준히 국제무대에 활약하고, 국민들의 관심을 이끌어내고 싶다”고 말했다.이들의 주행에는 또 다른 사연이 담겨 있다. 원윤종은 ‘가장 힘들었던 순간’을 묻는 질문에 “열악한 환경에서 우리를 지도하고 이끌어줬던 말콤 로이드 코치가 갑자기 세상을 떠났을 때. 그 사실을 받아들이는 게 너무 힘들었다“며 2년 전 고인이 된 데니스 말콤 로이드 코치에 대한 애틋한 마음을 표했다.실제로 한국 봅슬레이팀은 데니스 말콤 로이드 코치를 추모하기 위해 '곰머(로이드 코치의 별명)'에서 딴 첫 번째 영어 이니셜 'G'를 헬멧과 썰매에 붙이고 뛰겠다고 밝힌 바 있다.이제 한국 봅슬레이의 새 역사가 시작될 날이 다가왔다. 18일, 역사의 포문을 여는 원윤종-서영우의 경기가 올림픽 슬라이딩 센터에서 펼쳐진다. 강릉=최용재 기자 2018.02.18 10:33
스포츠일반

박태환의 ‘빨강 머리’ 변신에 담긴 사연

박태환(21·단국대)의 '빨강 머리' 변신이 화제다.박태환은 지난 8일 태릉선수촌에서 열린 광저우 아시안게임 대표선수단 결단식에서 머리카락을 빨갛게 염색하고 나타났다. 결단식 사진이 인터넷 포털사이트에 오르자 네티즌들은 새롭게 변신한 박태환의 모습에 큰 관심을 보였다. 이날 주요 포털사이트에서는 '박태환 빨강 머리'가 인기 검색어였다. 박태환은 2006년 도하 아시안게임 3관왕으로 대회 최우수선수(MVP)에 뽑혔고, 이번에도 3관왕 이상의 성적을 내는 게 목표다. 그는 이번 대회 수영에서 남자 자유형100·200·400·1500m와 계영 400·800m, 혼계영 400m에 참가한다. 박태환은 지난 4일까지 약 석 달 동안 괌과 호주에서 전지훈련을 하면서 아시안게임 마무리 훈련을 했다. 이때만 해도 그는 평범한 머리색깔이었다. 그런데 지난 주말 파격적인 빨간 머리로 염색을 한 것이다. 박태환을 후원하는 SK텔레콤 스포츠단 관계자는 "박태환이 큰 대회를 앞두고 늘 패션을 바꾸는 것으로 기분 전환도 하고 각오도 다지는 징크스가 있다"고 설명했다. 박태환은 도하 아시안게임 때 노란색으로 염색하고 대회 3관왕에 올랐다. 금메달 3개뿐 아니라 은메달 1개·동메달 3개까지 총 7개의 메달을 휩쓸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때는 문신을 선보였다. 골반 옆쪽에 조그맣게 오륜기를 새겨넣으며 올림픽 금메달 의지를 보여줬다. 박태환은 베이징에서 아시아 선수로는 최초로 남자 자유형 400m에서 금메달을 따냈다. 그는 지난 8월 미국 어바인에서 열린 팬퍼시픽 수영대회를 앞두고는 머리카락을 노란색으로 염색했다. 박태환은 2009년 로마 세계선수권대회 때 전종목 결승행에 실패하는 좌절을 맛봤는데, 이후 처음으로 나선 굵직한 국제대회가 바로 팬퍼시픽 대회였다. 그는 이 대회 자유형 400m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SK텔레콤 스포츠단 관계자는 8일 "박태환이 이번에 빨간색으로 염색한 건 강렬한 인상을 주면서도 공격적이고 정열적으로 금메달에 도전하겠다는 뜻 아니겠는가"라고 말했다. 박태환은 이번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지난해 세계선수권 부진을 씻고 자존심을 회복하겠다는 각오가 대단하다. 그는 8일 결단식에서 "이번 광저우 아시안게임은 특정 선수가 아닌 나 자신과의 경쟁"이라고 각오를 밝혔다.광저우=이은경 기자 [kyong88@joongang.co.kr](사진=연합) 2010.11.09 09:53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