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ma2024 ×
검색결과11건
자동차

연식 바꾸고 옵션 장착…슬그머니 신차 값 인상

신차 구매 비용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글로벌 반도체 수급난으로 물량 수급에 비상이 걸리자, 자동차 업계가 연식·부분변경 모델을 내놓을 때마다 가격을 올리고 있어서다. 수입차 업체들은 한술 더 떠 고가의 옵션을 장착한 최상위 트림 모델만 들여와 판매하고 있다. 반도차 수급난으로 '판매자 우위' 시장이 이어지면서 소비자의 신차 구매 비용만 증가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산차, 연식 변경 후 가격 '껑충' 1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최근 연식 변경 모델인 준대형 세단 '2022 그랜저'를 출시하면서 일부 옵션을 기본 적용하는 방식으로 가격을 인상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2022 그랜저는 12.3인치 컬러 LCD 클러스터와 터치식 공조 컨트롤러를 전체 트림에 기본 적용했다. 또 인기 트림인 르블랑에 상위 트림에만 적용됐던 스웨이드 내장재와 뒷좌석 수동커튼 등을 기본 사양으로 추가했다. 이밖에 전방 충돌방지 보조, 고속도로 주행보조,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등 지능형 안전 사양을 익스클루시브 트림에 기본으로 탑재했다. 최상위 트림인 캘리그래피에는 고객 선호도가 높은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기본으로 달았다. 이에 가격이 가솔린 2.5 모델의 경우 3392만~4231만 원, 가솔린 3.3 모델은 3676만~4481만 원이 됐다. 이는 지난해 내놓은 '2021 그랜저'보다 81만 원에서 192만 원가량 오른 가격이다. 기아가 지난 2일 내놓은 준대형 세단 K8의 연식 변경 모델 '더 2023 K8'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출시된 2.5 가솔린 노블레스 가격은 개별소비세 적용 시 3510만 원이었지만, 연식 변경에 따른 같은 등급 모델 가격은 3573만 원으로 63만 원 올랐다. 기본 모델(노블레스 라이트)의 경우 3318만 원으로 전년 대비 1.5%(48만 원)가량 상승했다. 기아 관계자는 "노블레스 트림에의 경우 전동식 파워 트렁크와 뒷좌석 이중접합 차음글라스, 후면 전동 선커튼 등을 기본 사양으로 추가됐다"며 "지난 1년간 구매 데이터를 분석해 고객 선호도가 높은 패키지의 주요 사양을 기본화해 가격이 소폭 상승했다"고 말했다. 제네시스의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GV70도 연식 변경 모델을 출시하면서 가격을 올렸다. GV70 2022년 모델에는 헤드레스트(머리 받침대)에 인조가죽이 씌워지고, HUD(헤드업디스플레이)와 계기판 그래픽, 스티어링휠 버튼이 개선되는 등 일부 옵션(선택 사양)이 기본 포함됐다. 이 때문에 가격이 뛰었다. 2022년 모델 가격은 4904만(2.5 가솔린 터보)~5846만 원으로, 기존 모델 가격(4791만~5724만 원)보다 113만~122만 원이 올랐다. 최근 사명을 변경한 르노코리아도 올해 '2023년형 XM3'를 내놓으면서 가격을 인상했다. 올해 연식 변경 모델의 가격은 1866만∼2863만 원으로 2022년형의 1787만∼2641만 원보다 가격대가 높아졌다. 업계는 최근 원자재, 부품 가격 인상과 공급난으로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강판, 반도체 등 여러 부품 가격이 죄다 오르니 자동차 가격도 오를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현대차그룹은 역대 최대 매출과 영업수익을 올리고 있다. 생산비용 증가분보다 차량 가격을 더 올려 큰 이익을 내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완성차 업체들이 부품 공급난을 이유로 가격을 올리고 있다. 과연 부품 공급난이 해결되면 다시 가격을 다시 인하할지 의문"이라며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면 인상 이유와 소비자에게 주어지는 혜택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수입차, 최고급 트림 '고집' 국내 완성차 브랜드가 연식 변경을 이유로 가격을 올리고 있는 반면, 수입차 업체들은 가장 비싼 최고급 트림만 들여와 판매하고 있는 방식으로 소비자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볼보자동차코리아는 최근 브랜드 최초의 쿠페형 순수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C40 리차지’를 출시했는데, 최상위 등급인 ‘트윈 얼티메이트’만 판매한다. 전기차 전용 T맵 인포테인먼트와 LTE 5년 무상, OTA 15년 무상 등 디지털 커넥티비티 패키지, 파일럿 어시스트, 충돌 회피 지원 등이 기본 탑재된 모델이다. 가격은 6391만원에 달한다. 올해 기준 전기차 구입 보조금의 절반만 받을 수 있는 금액이다. 볼보차코리아 관계자는 "향후 아랫급의 트림을 출시하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지만 당장은 트윈 얼티메이트 트림만 판매할 것"이라며 "C40 리차지에 적용된 최고의 안전 시스템, 편의사양, 서비스를 옵션 가격으로 환산하면 1000만 원 이상의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쉐보레도 마찬가지다. 최근 초대형 SUV ‘타호’의 판매를 시작했는데, 고급 기능을 기본으로 탑재한 최상위 트림인 하이컨트리만 수입하고 있다. 미국 현지에서 판매되는 타호 트림은 LS, LT, 하이컨트리 등 6개로 판매되며 가격 범위도 5만1895~7만595달러(약 6611만~8993만 원)로 넓다. 반면 단일 트림인 국내 타호의 가격은 9253만 원이다. 캐딜락 역시 소형 SUV 'XT4'의 최상위 트림 모델(스포츠)만 국내에 들여왔다. XT4는 미국에서는 럭셔리, 프리미엄 럭셔리, 스포츠 등 3가지 트림으로 판매되고 있다. 가격은 럭셔리 3만5795달러(약 4560만 원)부터, 프리미엄 럭셔리는 3만9595달러(약 5044만 원)부터, 스포츠 3만9395달러(5018만 원)부터다. 스포츠 단일 트림인 국내 판매 모델은 5531만 원이다. 자동차 회사들의 상술에 소비자들의 신차 구매 가격은 해마다 오르는 추세다. 실제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국민이 구매한 신차 평균 가격은 4000만 원을 넘어섰다. 앞서 한 해 전보다 두 자릿수 이상 오른 수치로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이다. 국민차 반열에 오른 준대형 세단 그랜저에 빗댄다면, 2020년에는 따로 선택 사양 없이 샀다면 지난해에는 배기량 등을 높인 ‘풀옵션’으로 산 셈이다. 업계에서는 올해 신차 구매 비용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차량용 반도체와 부품수급, 원자재 가격 인상 등의 여파로 신차 가격이 꾸준히 오르고 있다"며 "완성차 업체가 갑의 지위를 유지하게 되면서 자동차 구매 부담은 계속 커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2.05.19 07:00
자동차

위기의 르쌍쉐, 한방이 없다

르노코리아와 쌍용차, 한국GM(쉐보레) 등 외국계 완성차 3사가 부진의 늪에서 좀처럼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일제히 적자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도 차량용 반도체 등 부품 수급난에 판매량 감소로 1분기 생산량이 18년 만에 최소치를 기록했다. 3사를 합쳐 시장 점유율은 단 10%대에 그치고 있다. 분위기를 바꿀만한 베스트셀링 차종이 없어 입지는 더욱 좁아질 전망이다. 1분기도 후진기어 밟은 르쌍쉐 27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에 이들 3사 이른바 '르쌍쉐'가 생산한 완성차는 총 12만3362대로 작년 같은 기간(12만5985대)에 비해 2.1% 감소했다. 이는 1분기 기준으로 2004년(12만210대) 이후 가장 적은 것이다. 같은 기간 내수 판매 역시 작년 동기 대비 19.9% 감소한 3만4538대로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3만1848대) 이후 최소 기록이다. 르쌍쒜는 지난해에도 총 43만3960대를 생산하는 데 그쳐 전년 대비 24.7% 감소했다. 이로 인해 일제히 적자를 기록했다. 브랜드별로 살펴보면 한국GM은 2021년 3760억 원의 영업 손실을 냈다. 2020년 영업손실(3168억 원)보다 더욱 나빠졌다. 매출도 8조4975억 원으로 전년 대비 1조5000억 원 정도 줄었다. 르노코리아도 지난해 80억6000만 원 적자를 냈다.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M3의 유럽 수출이 본격화되면서 전년(796억 원)보다 적자 규모는 감소했지만, 내수 판매가 크게 줄어 흑자 전환은 하지 못했다. 쌍용차도 지난해 영업손실이 2612억 원으로 전년(4493억 원)보다 줄었지만, 적자에선 벗어나지 못했다. 판매량이 줄면서 르쌍쉐 3사의 시장 점유율도 빠르게 주는 모양새다. 올해 1분기 3사의 합산 점유율은 10.7%에 그쳤다. 2018년(18.2%)보다 7.5%P 추락한 수치다. 올해 신차를 구매한 소비자 10명 가운데 1명만 르쌍쒜를 선택한다는 얘기다. 반면 현대차와 기아, 제네시스 등 현대차그룹의 올 1분기 국내 시장 점유율은 70.3%에 달했다. 급기야 르쌍쉐는 수입차 1~2위를 다투는 벤츠코리아와 BMW에 이미 매출과 영업이익, 판매량에서 추월당했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벤츠와 BMW의 경우 1분기 신차 등록 대수는 1만8154대, 1만8044대로, 한국GM(7275대), 르노코리아(1만3608대), 쌍용차(1만5237대)를 가볍게 따돌렸다. 르쌍쉐는 적자에서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벤츠는 지난해 2175억 원의 흑자를 냈다. 매출도 6조1213억 원에 달해 한국GM보다는 조금 적지만 르노코리아와 쌍용차보다는 2배 이상 많았다. 사상 처음으로 매출 4조 원을 돌파한 BMW코리아도 995억 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하며 '불자동차' 논란으로 입었던 타격을 회복한 모습이다. 업계 관계자는 "르쌍쉐가 생산부족에 판매량 하락이라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며 "우리나라 자동차 시장은 이젠 현대차그룹과 수입차의 대결로 굳혀지고 있다"고 말했다. 정상화 잰걸음…베스트셀링카 도입 '절실' 르쌍쉐는 부진의 늪에서 탈출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당장 르노코리아는 올해 유럽시장에 수출되고 있는 XM3의 하이브리드 모델을 국내에 선보일 예정이다. XM3 하이브리드는 스웨덴 유력 자동차 전문지 테크니켄스바를드가 진행한 하이브리드 모델 종합평가에서 도요타 캠리 하이브리드(64점), 폭스바겐 골프 1.0(65점) 등을 제치고 최고 점수(69점)를 획득한 모델이다. XM3 하이브리드는 4기통 1.6ℓ 가솔린 엔진과 전기모터, 1.2킬로와트시(kWh) 리튬이온 배터리를 조합해 도심 주행 시 최대 75%까지 전기 모드로 달릴 수 있다. 한국GM은 최근 노조와 부평2공장 인력 1200여 명을 부평1공장·창원공장으로 연내 전환 배치하는 안에 합의했다. 부평2공장은 연내 폐쇄하고 국내 생산기지를 부평1공장과 창원공장 두 곳 체제로 운영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부평2공장 인력은 다음 달부터 2교대에서 1교대(상시 주간제)로 바뀐다. 부평2공장에서 생산되던 트랙스와 말리부는 단종 수순을 밟게 될 전망이다. 노조가 이번 안에 동의하면서 한국GM은 생산 효율화를 통해 국내 생산물량 증가를 꾀할 수 있게 됐다. 부평·창원공장에서 각각 만드는 트레일블레이저와 크로스오버유틸리티(CUV) 신차에 집중해 총 50만대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한국GM은 지난해 22만대가량을 생산했다. 쌍용차는 올 하반기 SUV 무쏘의 후속 모델인 중형 SUV 'J100'(프로젝트명)을 내놓는다. 오는 6월 말 출시를 목표로 양산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1.5 가솔린 터보엔진이 유력하다는 평가다. 쌍용차는 전기차와 픽업 등 파생 모델도 검토하고 있다. 다만 르쌍쉐의 이런 노력이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을지는 미지수다. 르쌍쉐는 그간 가끔 신차를 출시했지만 대부분 틈새시장 공략 모델에 그쳐 판매량 증가에 크게 도움이 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실제 올해 1분기 베스트셀링카만 살펴봐도, 1~10위까지 모두 현대차·기아 일색이다. 르쌍쉐의 모델은 단 한대도 찾아볼 수 없다. 20위까지 범위를 늘려도 쌍용차의 렉스턴 스포츠(15위), 르노코리아의 QM6(16위)가 전부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르쌍쉐 3사가 저마다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실적 개선으로 이어지긴 어려워 보인다"며 "결국 베스트셀러 차종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해법이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2.04.28 07:00
경제

우크라이나 사태에 한국차 ‘초비상’…수천억 피해 우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내 자동차 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미국과 동맹국들이 강력한 대러시아 경제 제재 방안을 내놓으면서 러시아 판매 위축은 물론, 생산망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번 사태 및 제재가 장기화할 경우 심대한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완성차, 원자재·부품 조달 등 악영향 불가피 2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을 비롯한 서방이 러시아를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 결제망에서 퇴출하기로 하는 등 대러 금융·무역제재 강화 조치를 잇달아 발표하자 현대차 등 완성차 업체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대러시아 자동차 관련 수출 비중이 40.6%에 달했기 때문이다. 당장 서방국의 제재로 러시아 경제 상황이 악화하면 러시아 내 자동차 판매가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 지난 2014년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강제 합병한 이후 서방 제재가 나온 당시에도 러시아 경제가 침체하면서 자동차 판매가 급감했다. 코트라에 따르면 2012년 293만대였던 러시아의 연간 자동차 판매는 크림반도 사태 이후 2016년 130만대 수준으로 축소됐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이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장기화할 경우 러시아 현지의 내수 판매가 약 29%까지 줄어들 것으로 추정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러시아에서 기아 20만5801대, 현대차 17만1811대를 판매해 현지 자동차 브랜드인 라다에 이어 2위, 3위를 차지했다. 시장 점유율은 각각 12.3%와 11.2%다. 특히 현대차는 현지 공장(HMMR)에서 연간 25만대 가량을 생산한다. 제너럴모터스(GM)에서 인수한 연 10만대 수준의 공장도 올해 초부터 가동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기아의 리오도 위탁 생산하고 있다. 여기에 루블화 급락으로 인한 환 손실도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다. 현지에서 생산·판매하는 제품의 경우 현지 통화로 거래하기에 비교적 영향이 적을 수 있지만, 수출 품목의 경우 다른 기축 통화를 사용해 리스크를 분산시키더라도 손실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미국의 전략물자 수출 통제에 따라 미국산 반도체나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국산 자동차의 대러 수출 자체도 제한될 수 있다. 증권가에서는 현대차·기아의 손실이 4500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도 내놓았다. 현지 부품 회사는 줄도산 우려 자동차 부품 업체도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러시아에서 벌어들이는 전체 수출액은 연간 15억 달러(약 1조8000억원)로 미국과 중국 다음으로 큰 규모를 차지한다. 특히 규모가 작은 부품 업체들이 먼저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에 대한 고강도 제재가 장기화하면 최악의 경우 줄도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해부터 계속된 차량용 반도체 품귀현상이 채 해소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팔라듐, 백금 등 차량용 반도체에 들어가는 원자재의 공급이 더욱 어려워지면서 부품 생산에 차질이 발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 부품 업체가 러시아로 수출하는 부품의 90% 이상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현대차 공장으로 납품되고 있는데, 부품 공급에 문제가 생길 경우 현대차·기아의 현지 공장 가동도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 우려는 현실이 되고 있다. 현대차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은 물류난에 따른 부품 수급 차질로 지난 1일부터 오는 5일까지 생산 라인의 가동을 멈추기로 했다. 완성차 생산에 차질을 빚으며 현대차는 현지 딜러들에게 차량 인도 역시 중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크라이나에 위치한 협력업체를 통해 자동차 부품을 공급받고 있는 쌍용차도 일정 부분 영향을 받을 우려가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자동차 산업은 2년 넘게 이어진 코로나 사태와 반도체 등 원자재 공급난 때문에 생산 차질이 만성화된 상태”라며 "이번 사태가 이런 요인과 복합적으로 작용할 경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생산망을 구축해 놓은 국내 업체의 어려움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미국과 우리 정부 지침에 맞춰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타이어도 좌불안석 타이어 업계도 우크라이나 러시아 사태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당면한 과제는 산유국들의 전쟁으로 인한 중·장기 유가 상승이다. 한국타이어·금호타이어·넥센타이어 등 타이어 3사에 따르면 이달부터 국내 타이어 공급 가격은 3~10% 인상된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원자재 가격 상승분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기 위한 가격 조정이다. 타이어 제조 원가의 30%는 천연고무와 합성고무가 차지한다. 천연고무 가격은 지난해 대비 20% 이상 증가했고, 최근 유가 급등으로 석유화학 공장에서 공급되는 합성고무 가격도 크게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에너지경제연구원, JP모건 등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군사 충돌로 인해 국제유가가 배럴당 최대 150달러까지 오를 것이라는 예상을 내놓으면서 원자재 가격 반영이 당면 과제로 떠올랐다. 타이어 업계 관계자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가격이 인상되면서 타이어 3사의 제조원가 부담이 크게 오른 상황"이라며 "유가 급등이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하고, 이에 더해 운송비도 오르면서 부담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더 큰 문제는 이번 사태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인다는 데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대표단은 교전 닷새 만에 협상에 나섰지만, 의미 있는 결과를 내놓는 데는 실패했다. 양측은 일단 다음 회담에서 구체적인 논의에 들어가기로 합의했지만, 대규모 러시아 병력이 키예프를 향하고 민간인 거주지역에도 포격이 이뤄지는 등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공세는 강화되고 있다. 이에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정부에 공급 차질이 우려되는 품목에 대해 한시적으로 긴급할당관세를 적용하고, 대러시아 수출 제재로 피해를 보는 기업에 대해서는 유동성 지원을 해달라고 건의했다. 협회 관계자는 "대금 결제를 못 받을 경우 등에 대비해 수출 금융 지원이나 대출 상환 유예, 금리 인하 등 지원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2.03.03 07:00
경제

삼성·SK·현대차·LG…미래 대비 '신연대' 속도

2022년 임인년을 맞아 기업 간의 협력이 주목받고 있다. 세계적으로 불확실성이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미래 먹거리 확보를 위한 기업들의 ‘신연대’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세계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어제의 경쟁자가 오늘의 동반자가 되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 기존 반도체, TV 부문도 ‘신연대’ 4일 업계에 따르면 전통의 핵심 산업군인 TV와 반도체 분야에서 기업 간 협력 논의가 구체화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셧다운으로 ‘반도체 대란’을 겪은 바 있는 기업들은 정부와 함께 반도체 공급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협력 무드가 싹트고 있는 가운데 대통령까지 협력 강화를 주문했다. 지난달 27일 문재인 대통령은 삼성과 SK·현대차·LG·포스코·KT 6개 기업 총수와의 청와대 오찬에서 정의선 현대차 회장에게 “현대차의 전기차가 유럽에서 올해의 차로 다수 선정된 것을 축하한다. 차량용 반도체에서 현대차가 삼성과 협력하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현대차와 삼성의 초협력으로 차량용 반도체 부족 사태를 진화했으면 한다는 공개 제안이었다. 대통령의 구체적인 언급으로 양사의 협력에 속도가 붙을 가능성이 커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차량용 반도체 부족 사태가 본격화된 지난해 3월 현대차·삼성전자·현대모비스·자동차산업협회·반도체산업협회·한국자동차연구원 등이 참여한 '미래차·반도체 연대 협력 협의체'를 발족한 바 있다. 이 협의체에서는 단기적으로 차량용 반도체 수급 불안정 관련한 대책을 모색하는 동시에 미래차·반도체 시장 선점을 위한 중장기 협력방안도 논의하고 있다. 지난해 5월에는 산업부·삼성전자·현대차 등이 차량용 반도체 수요·공급 기업 간 연대·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협약도 체결했다. 실제로 양사의 협력은 일부 차량용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이뤄지고 있다. 이제 차량의 전장을 제어하는 MCU(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나 자율주행차의 두뇌를 담당하는 프로세서 등에서도 협력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전장을 제어하는 단순 기능의 MCU 제품보다 차량용 통신용 칩이나 인포테인먼트용 프로세서 등 고기능성 시스템반도체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그룹이 현대모비스를 통해 차량용 반도체 내재화를 추진 중이지만 실제 반도체 생산을 위해서는 삼성전자 등 반도체 기업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이에 차량용 시스템을 공동 개발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TV 부문에서는 경쟁자인 삼성과 LG의 협력이 가시화되고 있다. 삼성전자가 LG디스플레이어로부터 OLED를 공급받을 전망이 우세하다. 글로벌 TV 1위 업체인 삼성전자는 올해 OLED TV 시장에 진입을 앞두고 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OLED TV 시장 신규 진입은 OLED 생태계 확대와 세계 TV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 것"이라며 "삼성전자와 LG디스플레이의 전략적 협력 관계는 대형 LCD에서 OLED로까지 확대된다"고 말했다. 차세대 기술 수소·배터리 합종연횡 수소와 배터리 분야에서는 이미 협력이 진행되고 있다. 먼저 ‘수소 경제’ 실현을 위해 현대차·SK·포스코 등 16개 기업이 수소기업협의체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에 참여하고 있다. 현대차와 SK·포스코 3개사가 공동 의장사를 맡고 있다. 수소협의체 구성을 주도했던 정의선 회장은 “우리나라는 유럽·일본 등에 비해 수소산업 생태계의 균형적인 발전이 늦었지만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만큼 못할 것도 없다”며 “기업·정책·금융 부문을 하나로 움직이는 역할을 함으로써 수소 경제에 기여하는 리딩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협의체는 지난달 국회에 계류 중인 수소법 개정안의 조속한 통과를 촉구하기도 했다. 2차 전지 부문에서는 현대차를 중심으로 LG에너지솔루션·SK온·삼성SDI 3사와의 협력이 강화되고 있다. 정의선 회장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차례로 회동한 뒤 ‘배터리 동맹’을 맺은 바 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2.01.05 07:01
경제

미래차 규제가 발목…업계 "정부 나서야"

자동차 산업이 전기차와 수소차, 자율주행차 등장과 함께 급변하지만 우리나라 규제 환경 개선 속도는 이를 따라가지 못해 경쟁에서 밀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7일 국내 자동차 산업을 주제로 '제5차 미래산업포럼'을 열고, 정부에 과감한 정책 지원과 규제 완화를 요청했다. 이날 포럼에는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과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 윤석현 현대자동차 전무, 장석인 산업기술대 석좌교수 등 관련 기관 및 업계 전문가 10여 명이 참석했다.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진단하는 발표에서는 변화 노력은 일찍부터 시작됐지만, 급격한 기술변화에 대응하기는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장석인 산업기술대 석좌교수는 "자동차 산업의 변화 속도가 무서울 정도로 빠르지만, 기술 개발과 산업구조 전환을 제약하는 규제환경 개선은 느린 편"이라며 "글로벌 경쟁에서 도태되는 것 아닌지 두렵다"고 말했다. 장 석좌교수는 "국내 근로기준법이나 파견법 등 노동관계법이 지나치게 경직적으로 규정돼 있어 자동차산업의 구조 전환을 어렵게 한다"며 "자동차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해법이 무엇인지 노사와 정부가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이재관 한국자동차연구원 본부장은 "자율주행은 완성차와 부품, 플랫폼 서비스, 통신 등 다양한 업종의 기술이 융합돼 완성되는 제품"이라며 "완성도 평가를 위해선 실증사업이 중요한데, 국내 실증사업 역량 강화를 위한 규제와 인프라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날 포럼에서 자동차 업계는 미래차 전환을 추진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연구개발비 지원과 금융지원,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충, 노동시장 경직성 완화 등을 정부에 건의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자동차 산업은 지난 한 세기 넘게 대량생산과 효율 생산으로 경쟁력을 키웠지만, 이제는 기술혁신과 친환경이라는 새 패러다임에 직면했다"며 "정부가 과감한 규제개선과 정책지원으로 기업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06.17 14:16
경제

수입차에 유리한 정부의 자동차 정책…국산차들 '부글부글'

정부의 자동차 정책에 수입차 브랜드들이 남몰래 웃고 있다. 하반기 승용차 개별소비세(개소세) 인하의 경우 고가 수입차에 가장 큰 혜택이 돌아가는 데다, 전기차 보조금 역시 미국에 본사를 둔 테슬라가 절반가량을 가져가고 있어서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내수를 진작하려고 개소세를 낮춘다면서 고가의 수입차가 더 큰 할인 혜택을 누리게 하는 것이 올바른 정책인지에 대한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또 전기차 보조금의 가장 큰 수혜를 누리고 있는 테슬라가 과연 한국 경제에서 '일자리 증대' 등 상응하는 기여를 하는지도 따져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세금으로 저렴해지는 수입차 10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다음 달부터 판매되는 승용차에 3.5%의 개소세를 적용하기로 했다. 정부는 개소세를 줄곧 5%로 유지해오다 국내 자동차산업이 어려워지자 2018년 7월 19일부터 3.5%로 낮췄다. 코로나19가 불거진 지난 3월부터는 1.5%로 개소세를 낮추고 인하 상한선을 5%로 계산했을 때와 비교해 100만원 이내로 정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개소세를 다시 3.5%로 올리며 최대 인하폭 100만원 한도를 없앴다. 이에 따라 출고가 3000만원짜리 차를 기준으로 하면, 정상 세율(5%)을 적용할 경우 150만원인 개소세가 3~6월 50만원으로 100만원 감면됐다가 7월부터는 105만원으로 55만원 늘어난다. 반면, 출고가 1억원짜리 차는 정상 세율 500만원에서 3~6월 400만원으로 저가 차종과 동일한 개소세 감면을 받았으나, 7월 이후에는 350만원으로 오히려 50만원 줄어든다. 감면 한도가 사라지면서 차 가격이 비쌀수록 감면 혜택이 확대되는 구조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개소세 인하가 연장된 점을 반기면서도 고가의 수입차에 유리하게 조정된 것은 아쉽다는 반응이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1만대 이상 팔린 1억원 이상의 고가차량은 90% 이상이 수입차"라며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국산차는 가격이 올라가고 고가의 수입차가 오히려 개소세 인하의 혜택을 고스란히 누리게 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수입차협회에 따르면 올해 들어 4월까지 판매가 1억원 이상 승용차가 1만대 이상 팔렸다. 가격대별로 1억∼1억5000만원이 8257대, 1억5000만원 이상이 3345대다. 작년 같은 기간의 5307대와 2296대에 비하면 각각 55.6%와 45.7% 뛰었다. 특히 초고가 브랜드인 람보르기니는 올해 들어 판매량이 265% 증가했다. 이는 내수 진작이라는 정부의 정책 목표와 어긋난다는 지적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현대·기아차를 비롯해 르노삼성차, 쌍용차, 한국GM 등이 국내에서 생산한 차의 판매가 늘어야 부품업체를 비롯한 연관 산업이 수혜를 누릴 수 있다"며 "국내 고용을 수반하는 자동차 산업을 활용해 내수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국내에서 생산한 차의 판매를 늘릴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친환경차 보조금 쓸어 담는 테슬라 고가의 수입차 업체들과 더불어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 역시 정부의 자동차 정책 최대 수혜자로 꼽힌다. 테슬라는 국내에서 국가와 지자체에서 주는 전기차 보조금을 받고 있다. 올해 테슬라 모델3 구매 시 지원되는 국가 보조금은 최대 800만원으로 전기차 보조금 상한(820만원)에 가까운 수준이다. 1억원이 훌쩍 넘는 모델S도 보조금이 최대 771만원으로 코나(경제형) 766만원, 니로EV(경제형) 741만원, 쏘울 전기차(도심형) 744만원과 비슷하거나 더 많다. 이로 인해 테슬라는 올해 국내에서 승승장구하고 있다. 자동차 데이터 연구소인 카이즈유 조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테슬라 판매량은 4070대다. 벤츠와 BMW에 이어 수입차 판매 3위에 해당한다. 국내 전기차 시장만 보면 테슬라의 점유율은 46.1%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지급한 전기차 보조금의 약 45%를 테슬라가 가져갔다는 얘기다. 이 추세로 판매가 계속되면 상용전기차 등에 투입되는 보조금을 제외하고 테슬라로 흘러 들어가는 세금이 2000억원에 달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일부에서는 정부의 막대한 국가 보조금 지원을 받는 테슬라가 과연 한국 경제에서 '일자리 증대' 등 상응하는 기여를 하는지 꼼꼼하게 따져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테슬라는 상하이에 거대한 생산공장을 가동하는 것과 달리 국내에는 생산시설이 없는 '통신판매사업자'로 활동하고 있다"며 "테슬라의 국내 일자리 기여도는 사실상 없다고 봐야 한다"고 꼬집었다. 오히려 테슬라는 우리 국민 세금에서 나온 보조금을 받으면서도 국내 소비자를 차별하고 있다는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미국·중국 등 해외에서는 값을 내려 전기차를 팔면서도 유독 한국에서는 고가정책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27일 테슬라는 미국에서 보급형 전기차 ‘모델3’ 가격을 2000달러(약 240만원) 내렸다. 모델3의 기본 판매가는 3만9990달러에서 3만7990달러(약 4553만원)로 떨어졌다. 중국에서도 지난 4월 모델3 판매가를 인하했다. 기존 32만3800위안에서 29만 위안(약 4909만원)대로 10%가량 떨어뜨렸다. 반면 국내에서는 모델3 기본 가격이 5369만원으로 변동이 없는 상황이다. 모델S 등 고급 모델은 가격을 570만원 내렸지만, 생색내기용이라는 비판도 있다. 국내에서 팔리는 테슬라 모델 중 96%가 ‘모델3’라는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인하 효과가 없다는 것이다. 그동안 테슬라는 자사 전기차 전용 급속충전소(슈퍼차저)를 무료로 제공했는데, 유료 전환 계획을 밝히면서 자동차 가격 인하 효과는 더 적어진다는 견해도 있다. 국내 완성차 업체 관계자는 "수입 전기차에 너그러운 한국 정부의 보조금 정책이 지속하는 한 테슬라가 국내에 판매 비중이 높은 모델3 가격을 인하할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며 "이로 인해 테슬라에 한국 시장은 ‘거의 잡은 물고기’라는 말까지 나온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06.11 07:00
경제

[이주의 차] 회장님 차에서 '성공' 아이콘으로 '더 뉴 그랜저'

현대자동차의 대표 세단 '그랜저'의 부분변경 모델인 '더 뉴 그랜저'가 19일부터 본격 판매에 돌입했다.더 뉴 그랜저는 2016년 11월 출시 이후 3년 만에 선보이는 6세대 그랜저의 부분변경(페이스리프트) 모델이다.앞서 더 뉴 그랜저는 지난 4~18일까지 영업일 기준 11일간 사전계약 3만2179대로 부분변경 모델 중 최다 기록을 달성했다. 기존 6세대 그랜저가 사전계약 14일간 세운 2만7491대 기록도 훌쩍 뛰어넘었다.완전변경(풀체인지) 모델이 아닌 부분변경 모델이 최다 사전계약 기록을 이룬 건 우리나라 자동차산업 역사상 전례 없는 '사건'으로 통한다. 현대차 관계자는 "더 뉴 그랜저가 시대를 앞서가는 미래지향적 디자인과 함께 신차급으로 대폭 향상된 상품성으로 변화된 고객들의 요구와 기대감에 부응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했다. 더 뉴 그랜저는 2.5 가솔린, 3.3 가솔린, 2.4 하이브리드, 3.0 LPi 등 총 네 가지 엔진 라인업으로 동시에 출시된다. 또 탑승자뿐만 아니라 보행자까지 세심히 배려하는 최첨단 편의 및 안전사양을 대거 적용했다. 현대차 최초로 공기청정 시스템이 적용됐고, 2세대 스마트 자세제어 시스템으로 운전자의 장시간 주행 피로를 풀어준다. 대형차급에만 주로 적용되던 후진 가이드 램프와 후방 주차 충돌방지 보조도 안전 사양으로 탑재된다. 이 밖에도 전방 충돌방지 보조-교차로 대항차 기술, 후측방 모니터, 안전 하차 보조,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 등 첨단 편의 사양이 들어간다. 가격은 2.5 가솔린 3294만원, 3.3 가솔린 3578만원, 2.4 하이브리드 3669만원(세제 혜택 후), 일반 판매용 3.0 LPi 3328만원에서 시작한다.장재훈 현대차 부사장은 "내년 말까지 11만대 판매 목표"라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19.11.21 07:00
연예

"보이콧 재팬, 일본 오토바이도 불매..." 혼다, 야마하 사실상 여전히 가장 높은 점유율?

(한국이륜자동차산업협회 제공) 지난달 일본의 수출규제로 촉발된 국내의 '보이콧 재팬' 열기가 쉽게 가라앉지 않는 가운데 국내 오토바이 시장에서는 현재까지도 가장 많이 팔리는 오토바이 업체의 대부분이 일본 업체라 알려지며 '보이콧 재팬'의 열기가 오토바이 시장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통계에 따르면 일본 오토바이 브랜드 HONDA와 YAMAHA의 판매량은 7월 가장 높은 판매량을 기록,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큰 이슈이나 오토바이는 이를 대체하기 힘든 상황으로 보인다.현재 국내 오토바이 시장의 일본 업체 점유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대만이나 미국, 유럽의 오토바이 수입을 늘리고 우리나라의 오토바이 기술보다 앞선 해당 국가들의 기술 이전도 함께 진행해 국내 오토바이 기술 개발에 힘을 쏟는 편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관계자는 “일본이 화이트리스트에 제외되고 보이콧 재팬 열기가 거세지는 만큼 오토바이 역시 국내산 오토바이를 애용해 일본 오토바이 업체의 국내 점유율을 낮추는 데 많은 이들이 동참했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전했다.이소영 기자 2019.08.22 10:00
연예

서울 모터쇼 29일 개막…신차 22종 이상 선보여

'2019 서울 모터쇼'가 오는 29일부터 다음달 7일까지 열흘 동안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다. 올해로 12회째를 맞는 서울 모터쇼는 세계자동차산업연합회(OICA)가 공인한 우리나라 유일의 국제 모터쇼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KAICA)이 공동 주최하고 격년으로 열린다.'지속 가능하고 지능화된 이동 혁명'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모터쇼에는 현대·기아차와 한국GM·르노삼성·쌍용차·제네시스 등 국내 6개 업체와 벤츠·BMW·테슬라를 포함한 수입차 14개 업체 등 모두 20개 완성차 브랜드가 100여 대의 전시차를 선보인다.전시 차량 중에는 세계 최초 공개 2종, 아시아 최초 공개 10종, 국내 최초 공개 10종 등 모두 22종(컨셉트카 5종)이 신차다.재규어랜드로버가 세계 최초로 ‘레인지로버 벨라 SV오토바이오그래피 다이내믹’을 내놓는다. ‘2018 월드카 어워드’에서 ‘올해의 자동차 디자인상’을 수상한 모델이다. 5.0L 슈퍼차지 V8 엔진이 장착돼 최대 출력 550마력, 최대 토크 69.4 kg.m의 성능을 발휘하며 4.5초 만에 정지 상태에서 100km/h로 가속이 가능하다.재규어랜드로버는 또 아시아 최초 공개작으로 '올 뉴 레인지로버 이보크'와 '재규어 뉴 XE'도 내놓는다.한불모터스는 PSA그룹의 프리미엄 브랜드 'DS'의 선봉인 소형 SUV 부문 ‘DS 3 크로스백’을 이번 모터쇼에서 아시아 최초로 공개한다. DS 3 크로스백은 전기 동력 탑재가 가능한 새로운 플랫폼 CMP를 기반으로 만든 SUV다. 올 하반기 국내 출시 예정이다.국산차 진영에선 기아차의 명기인 ‘텔루라이드’가 국내 인사를 올린다. 국내 첫 공식 공개다. 2016 부산 모터쇼에 텔루라이드 컨셉트 모델이 나오긴 했지만 양산차는 이번이 처음이다. 텔루라이드는 기아차가 국내 출시할 경우, 현대차 팰리세이드와 시장 정면 충돌도 불사할 모델이기도 하다.이외 르노삼성의 마스터 버스, BMW의 7세대 신형 3시리즈, 포르쉐의 8세대 신형 911, 렉서스의 컴팩트 SUV UX도 등장한다.전시장 운영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며, 입장 마감은 오후 6시다.입장권 가격은 일반인 및 대학생 1만원, 초·중·고생 7000원이다. 오는 27일까지 옥션 티켓에서 진행되는 사전 예매를 이용하면 각각 1500원의 할인 혜택이 제공된다. 안민구 기자 an.mingu@jtbc.co.kr 2019.03.21 07:00
연예

자동차산업, 지난해 무역흑자 600억달러 첫 돌파

자동차와 자동차부품 등 자동차산업이 지난해 기록한 무역수지 흑자가 사상 처음 600억 달러를 넘어섰다.22일 지식경제부와 한국무역협회 등에 따르면 2012년 자동차산업 무역흑자 규모는 지난해 583억 달러보다 5.8% 늘어난 617억 달러였다. 자동차가 420억 달러, 자동차부품이 197억 달러 무역흑자다. 지난해 자동차산업의 무역흑자는 늘어난 반면, 우리나라 전체 무역수지 흑자는 2011년 308억 달러보다 23억 달러(7.5%) 줄어든 285억 달러에 그쳤다. 그 결과 작년 자동차산업 무역흑자는 한국 전체 무역흑자의 2.2배에 달했다.2012년 자동차 수출은 재정위기에 따른 EU 시장 침체, 중남미 시장 성장세 둔화 등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수요 회복세를 보인 미국과 동유럽·아프리카 등 신흥국에 대한 수출이 늘면서 2011년 대비 0.4% 증가한 316만5689대를 기록했다. 자동차 수출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주춤했던 것은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치며 해외 판매량을 늘린 반면, 국내 기업들은 신차 부족 및 생산량 감소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2011년 대지진으로 시련을 겪었던 일본 브랜드들이 지난해 전열을 재정비하면서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쳤고, GM·폭스바겐 등도 전세계 판매량을 끌어올렸다. 국내 기업들은 수출 전략 신차종 투입이 2011년 7차종에서 지난해 5차종으로 줄고, 파업으로 인해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수출을 확대하는 데 한계를 드러냈다. 전년 대비 지난해 수출 증가율은 미미했지만, 2012년 자동차 수출액은 전년 453억 달러보다 4% 이상 증가한 472억 달러를 기록했다. 수출량 증가율보다 수출액 증가율이 높았던 것은 대당 수출단가 인상 및 고가 차량 수출 증가 등이 요인이었다. 실제로 지난해 대형차 수출 증가율이 30%를 넘었고, 승용차 차급별 수출비중에서는 대형차 비중이 처음 3%대를 기록했다.자동차업계 관계자는 “국산차의 제품 경쟁력과 브랜드 인지도가 향상되고 있고 세계 시장에서 국산차가 강점을 지닌 고연비 소형차에 대한 선호도도 올라가고 있어 환율, 글로벌 경기침체 등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수출은 올해도 증가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완성차 경쟁력 제고에 힘입어 한국산 자동차부품에 대한 글로벌 수요도 계속 늘고 있어 자동차와 부품 수출을 통한 자동차 산업의 국가경제 기여도는 갈수록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환 기자 2013.01.22 13:45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