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e스포츠(게임)

T1 배성웅 "전력은 롤드컵 우승권"…페이커 "컨디션 관리 총력"

T1이 '2022년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을 앞두고 우승컵을 들어올리겠다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최근 T1 감독에 선임된 '벵기' 배성웅 감독은 22일 서울 중구 그랑서울에서 열린 출국 전 기자간담회에서 "전력은 우승권 팀이라고 생각한다. 이번 롤드컵에서는 티어 정리를 확실하게 해서 상대 전력을 분석, 운영 방향을 정해 연습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장인 '페이커' 이상혁 역시 "올해 롤드컵은 작년과 마찬가지로 자신을 시험할 수 있는 경기라 그만큼 더 발전할 수 있는 계기"라며 "컨디션 관리를 중점적으로 할 생각이다. 최대한 시간을 효율적으로 써 연습에 집중할 수 있도록 여러 방면에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새로운 롤드컵 패치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배 감독은 "패치가 됐다고 해도 챔피언의 성능을 조금 건드렸지만 메타 전체가 바뀌지는 않은 것으로 본다. 여전히 바텀이 강세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또 "(패치 내용을 보면) 비선호 챔피언이 별로 없고, 좋아하는 챔피언이 너프됐거나 하는 것도 없어 현재 메타에서도 자신감이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오너' 문현준도 헤카림이 버프됐다는 평가에 대해 "개인·팀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엄청 1티어라는 생각은 안 든다. 고평가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외신에서 롤드컵 최고 탑으로 꼽힌 '제우스' 최우제는 중국 팀들을 향한 긴장의 끈을 놓지 않았다. 최우제는 "외부의 평가는 최대한 신경을 쓰지 않으려고 한다. 잘 적응하는 탑 라이너의 모습을 보여주겠다"며 "경계하는 탑을 특별히 뽑자면 한국과 중국 탑 라이너들이다"고 했다. 조별리그에서 디펜딩 챔피언 EDG를 만나는 것과 관련해 이상혁은 "당연히 경계해야 할 팀"이라며 "그래도 조별리그에서 만난다는 것이 전력을 테스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좋은 것 같다. 6대 0 스코어를 만들면 자신감이 생겨서 재미있을 것"이라고 했다. T1은 휴식기간 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노력했다. 배성웅 감독은 "서머 시즌이 끝나고 팀 내에서 의사소통이 안 된다는 얘기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신경을 더 많이 쓸 것"이라고 말했다. 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2022.09.22 14:19
야구

오승환 측 “한신, 정말 고마웠다”

한국 최고 마무리 투수 오승환(31·삼성)이 일본의 명문 팀 한신으로 이적한다. 오승환 측은 "한신이 정말 고마웠다"고 말했다. 삼성과 한신은 22일 오승환의 이적에 합의하고 2년 최대 9억엔(약 95억원)의 계약조건을 발표했다. 계약금은 2억엔, 연봉은 3억엔이다. 또한 성적에 따라 연간 5000만엔의 인센티브가 추가된다. 이대호(31)가 오릭스에서 2년간 받은 7억엔(약 73억원)을 뛰어넘는 액수다. 아울러 한신은 이적료 5000만엔(약 5억2000만원)을 삼성에 지급하기로 했다.오승환 측은 "한신의 진심이 느껴졌다"고 말했다. 한신은 그 동안 미나미 노부오 사장과 나카무라 가츠히로 단장 등 구단 고위관계자가 직접 나서 오승환의 영입 의사를 밝혔다. 시즌 중반에는 2년 7억엔(약 74억원)이라는 구체적인 액수까지 흘리며 적극적인 구애를 펼쳤고, 나카무라 단장이 지난 9월 오승환을 보기 위해 한국을 찾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몸값과 이적료 등을 이유로 오락가락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오승환을 대신해 새로운 마무리 후보를 찾는다는 등 갈 지(之) 행보를 했다. 게다가 한신은 한국 프로야구에서 '양치기 소년' 이미지가 강했다. 과거 이승엽부터 임창용, 김태균, 이대호 등 한국 선수가 일본으로 진출할 때마다 관심을 드러냈으나 계약으로까지 이어진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때문에 실제 계약으로 이어지기 전까지 오승환의 해외 진출을 절대 믿을 수 없는 분위기가 팽배했다. 오승환의 에이전트인 김동욱 스포츠인텔리전스 대표는 22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일본 매체에서 (오락가락) 보도가 많았지만 한신은 그 동안 변함없는 애정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일본 내 여러 구단에서 좋은 조건을 제시했는데, 다양하게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며 "한신이 마무리 투수로 오승환을 간절히 필요로 했다. 오승환 역시 본인이 마무리 역할을 하면 충분히 우승권에 도전할 수 있는 강팀이라고 생각했다"며 한신을 결정하게 된 이유를 밝혔다. 이형석 기자 ops5@joongang.co.kr 2013.11.22 19:47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