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6건
산업

9월 선박 수주량, 중국 86% 한국 12% 극심한 격차

한국 조선업계가 선박 수주량에서 중국에 크게 밀린 것으로 나타났다.8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9월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289만CGT(표준선 환산톤수·90척)로 작년 동월 대비 25% 감소했다. 중국은 248만CGT(65척)를 수주해 점유율 86%로 글로벌 1위를 기록했다.한국은 34만CGT(14척)를 수주해 점유율 12%에 그쳤다. 중국의 수주량과 비교하면 7분의 1 수준이다.지난달 말 기준 세계 수주 잔량(남은 건조량)은 1억4922만CGT로, 전월보다 222만CGT 증가했다. 이중 중국의 수주 잔량은 8279만CGT로 55%, 한국의 수주 잔량은 3821만CGT로 26%를 차지했다.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189.96으로 지속적으로 우상향하고 있다. 이는 작년 동월과 비교해 8%, 2020년 9월과 비교해 50% 상승한 수치다. 선가 상승세는 2020년 11월부터 46개월간 이어지고 있다.선종별 1척 가격은 17만4000m³이상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이 2억6150만 달러,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이 1억2900만달러 , 초대형 컨테이너선이 2억7350만 달러였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10.08 11:29
산업

4, 5월 연속 수주 점유율 10%대...한국 조선업 경고등

한국 조선업계의 수주 점유율이 4, 5월 연속으로 10% 점유율을 기록하는 등 중국에 밀린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달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180만CGT(표준선 환산톤수·62척)로 작년 동월 대비 51% 감소했다.중국이 154만CGT(54척)를 수주해 85%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17만CGT, 척수로는 2척을 수주하는 데 그쳐 수주점유율이 10%까지 떨어졌다. 한국의 특화 선종인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과 대형 컨테이너선 발주가 크게 감소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 지난 4월(14%)에 이어 5월에도 수주점유율이 10%대를 기록했다.한국이 경쟁력을 가져 수주를 싹쓸이하는 LNG 운반선과 대형 컨테이너선 발주가 지난달 주춤했던 것이 수주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적은 수주량에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지난달 말 기준 세계 수주 잔량(남은 건조량)은 전월 말 대비 225CGT 증가한 1억3312만CGT였다. 국가별 수주 잔량은 중국 6784만CGT(51%), 한국 3907만CGT(29%) 등의 순이었다.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186.42포인트를 기록하며 작년 동월 대비 10.0% 상승했다. 선종별 1척 가격은 17만4000m³이상 LNG 운반선이 2억6400만 달러,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이 1억3000만 달러, 초대형 컨테이너선이 2억6750만 달러였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6.05 11:36
세계

中 지난해 약 490만 대 자동차 수출. 세계 최대 수출국 등극

중국이 세계 최대 자동차 수출국 자리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중국 공업정보화부(공신부)는 19일 중국이 지난해 총 491만 대의 자동차를 수출했다며 세계 최대 자동차 수출국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신궈빈(辛國斌) 공신부 부부장(차관)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중국 자동차 수출이 새로운 수준에 도달했으며 중국산 신에너지차가 글로벌 소비자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제공했다고 말했다. 지난해 중국의 자동차 수출은 전년 대비 57.9% 증가했으며 이중 신에너지차 수출은 77.6% 급증한 120만 대를 기록했다. 중국 자동차 수출이 급증하면서 운반선에 대한 수요도 높아지고 있다. 비야디·치루이(奇瑞·Chery)·상하이자동차(上海汽車·SAIC) 등 중국 자동차 기업은 최근 수년간 자동차 수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자동차 운반선의 자체 운영에 박차를 가해 왔다. 클락슨리서치 통계에 따르면 세계 자동차 운반선 수주 중 중국 선주사의 수주량이 전체의 21.1%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주한 자동차 운반선을 모두 인도 받으면 중국 선단의 자동차 운송 능력은 일본·한국·비운항 선주 위주인 노르웨이의 뒤를 이어 세계 4위가 될 전망이다.​자료 제공: CMG 2024.01.22 10:24
산업

3년째 밀리는 선박 수주...1월 점유율 한국 33%, 중국 57%

한국의 선박 수주가 올해 들어서도 계속해서 중국에 밀리고 있다. 7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달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196만CGT(표준선 환산톤수·72척)로 작년 동월 대비 63% 감소했다. 한국은 이 중 64만CGT(12척)를 수주해 점유율이 33%로 2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한국의 2배가량인 112만CGT(40척·57%)의 수주량으로 1위에 올랐다.지난달 말 기준 세계 수주 잔량은 전월 말 대비 77만CGT 감소한 1억913만CGT였다. 국가별 수주 잔량은 중국 4919만CGT(45%), 한국 3758만CGT(34%)였다.한편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162.51포인트를 기록하며 작년 동월 대비 8.25포인트 상승했다.선종별 1척 가격은 17만4000m³이상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이 2억4800만 달러,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가 1억2000만 달러, 초대형 컨테이너선이 2억1500만 달러를 기록했다.한국은 2년 연속으로 중국에 선박 수주에서 밀리고 있다. 2022년 12월까지 작년 한해 누적 발주량은 4278만CGT(1384척)였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2082만CGT(728척)를 수주해 전년 수준인 49%를 차지했다. 한국은 1627CGT(289척)로 수주량은 전년(1786만CGT·414척) 대비 감소했으나 수주 비중은 34%에서 38%로 소폭 상승했다.한편 지난 1월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조선 산업의 가치사슬별 경쟁력 진단과 정책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재작년 기준 우리나라 조선 산업의 종합 경쟁력은 100점 만점에 86.7점으로 전세계 1위였다.연구개발(R&D)·설계, 조달, 생산, 애프터마켓(AM)·서비스, 해운·에너지산업 수요 등 5단계 가치사슬별로는 일부 분야에서 주요 경쟁국에 비해 다소 뒤처졌다. R&D·설계(89.1)와 생산(91.9)은 모두 1위를 차지했지만, AM·서비스(79.0)와 수요(81.0)는 중국, 일본에 비해 낮아 3위에 머물렀다.이에 따라 종합 경쟁력 점수도 2위인 일본(84.6), 3위인 중국(84.0)과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선종별로는 가스운반선, 컨테이너선 경쟁력이 중국, 일본, 유럽연합(EU)에 비해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벌크선 경쟁력(78)은 중국(94), 일본(89)보다 열위였고, 유조선(86)도 중국(90)에 밀렸다.산업연구원은 "2021년 이후 우리나라 조선 산업은 장기 불황을 딛고 대규모 수주에 성공하며 본격적인 회복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며 "다만 중국 조선소의 LNG운반선 시장 진출이 확대되고 있어 경쟁이 심화될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2.07 10:36
산업

한화 가세한 한국 조선업, 중국에 내준 수주 1위 탈환할까

세계 1위를 자부하는 한국 조선업이 중국에 2년 연속으로 수주 점유율 1위 자리를 내줬다. 한화그룹이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며 순풍이 기대되는 가운데 한국이 전세 역전에 성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29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4193만CGT(표준선 환산톤수)로 지난해보다 22%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한국은 작년 대비 11% 감소한 1564만CGT(37%)를 수주하며 중국(2034CGT·49%)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2020년까지 3년 연속 수주 1위에 올랐지만 ‘저가공세’를 펴고 있는 중국에 지난해부터 수주량에서 밀리고 있다. 올해 수주 선종을 살펴보면 한국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등 가스 운반선에서 강세를 보였다. 한국의 수주 선종은 LNG 운반선 1012만CGT(65%), 컨테이너선 426만CGT(27%) 순으로 집계됐다. 중국은 컨테이너선 676만CGT(33%), LNG 운반선 440만CGT(22%), 벌크선 332만CGT(16%) 순으로 수주량이 많았다. 한국은 고부가가치 선박인 가스운반선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중국은 저부가 가치 선박인 벌크선이나 소형 컨테이너선으로 수주 선종이 양분화된 모양새다. 올해는 카타르 프로젝트 개시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LNG 운반선 발주가 폭증했다. 그 수혜를 어부지리로 중국이 받으면서 수주 물량이 크게 증가했다. 올해 전 세계에서 발주된 LNG 운반선은 작년 대비 130% 증가한 1452만CGT였는데 한국과 중국은 각각 1012만CGT, 440만CGT를 수주하며 70%, 30%의 점유율을 보였다. 지난해 한국은 세계 LNG 운반선 발주량의 93%인 582만CGT를 수주했다. 한국은 LNG 운반선 발주량이 2배 가까이 늘어 수주량 초과로 이 물량들을 중국에 넘겨줘야 했다. 이에 중국은 지난해 LNG 운반선 수주량이 46만CGT에 불과했으나 올해 10배 가까이 증가했다. 중국이 한국의 수주 물량 초과에 따른 반사이익을 얻은 셈이다. 전국 곳곳에 조선소를 보유한 중국과 달리 한국은 독(건조공간) 수 자체가 제한돼 현재 2026년 말 인도 물량까지 예약이 꽉 찬 상태다.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은 LNG 운반선 건조에 강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한화가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더라도 건조공간은 크게 증가하지 않을 전망이라 수주 점유율 1위 탈환을 위한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세계적으로 친환경 건조가 대세로 자리 잡은 가운데 LNG 운반선 수주는 내년까지 호황이 이어질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한화가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면서 고부가 가치 선박 등의 분야에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2.12.30 06:56
산업

中 2년 연속 선박수주 1위 유력…'조선 빅3' 괜찮나

한국 조선업계가 2년 연속으로 선박 수주량 1위 자리를 중국에 내줄 전망이다. 유가 하락과 경기 침체에 따라 신규 수주 감소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10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한국은 올해 1∼10월 1465만CGT(표준선 환산톤수)를 수주해 1위 중국(1581만CGT)에 116만CGT 뒤졌다. 중국이 저가 공세로 물량을 늘리고 있는 추세고, 한국은 선박 건조공간 예약이 다 찬 상태라 순위 변동은 어렵다는 분석이다. 한국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중국에 수주 1위 자리를 뺏기게 되자 인력 문제와 함께 국내 조선업의 경쟁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온다. 증권가에서도 지난해와 달리 중고선가의 하락 등으로 우려를 표하고 있다. 유승우 SK증권 연구원은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중고선가 급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선박 신규 발주가 지속해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현재 전 세계 수주잔고 1위 기업은 1795만CGT를 기록한 현대중공업그룹의 조선 지주사 한국조선해양이다. 한국조선해양이 보유한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조선소를 최소 3년 이상 100% 가동할 수 있는 물량이다. 후둥중화조선, 대련조선 등을 보유한 중국선박집단유한공사(CSSC)는 1766만CGT로 뒤를 잇고 있다. 삼성중공업(937만CGT)과 대우조선해양(768만CGT)이 3, 4위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의 수주물량과 비중은 지난해 비해 81만CGT, 12% 늘었다. 더군다나 한국 조선소의 경우 건조공간이 2026년 말까지 예약이 꽉 차 있어 빠른 공급이 불가능한 상태다. 이에 저가의 벌크선 등은 중국 쪽으로 몰리고 있다. 1위 현대중공업그룹은 올해 3분기에 한국조선해양이 영업이익 1888억원을 기록하며 조선업계에서 유일하게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33.2%나 늘었다. 긴 불황의 터널에서 빠져나왔지만, 꽃길만 펼쳐지고 있지 않다. 이상균 현대중공업 사장은 지난 9일 경영상황 설명회에서 “올해 119억 달러를 수주하며 연간 목표(113억 달러)를 넘어섰지만, 매출은 70%가 아닌 63%에 그쳤다”고 우려했다. 그런데도 한국은 고가인 LNG(액화천연가스) 운반선 수주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고 있어 경쟁력을 자신하고 있다. 올해 1∼10월 전 세계에서 1172만CGT(136척)의 LNG 운반선이 발주된 가운데 한국은 889만CGT(76%)를 수주하며 284만CGT(24%)에 그친 중국을 따돌렸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2.11.11 07:01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