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경제

운전자 없는 아이오닉5 택시, 내후년 도로 달린다

현대차의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가 무인 자율주행 택시로 거듭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오는 7일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2021 IAA 모빌리티’에 아이오닉5를 기반으로 개발한 '로보택시'를 전시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자율주행 기술업체 앱티브와 합작·설립한 모셔널과 아이오닉5로보택시를 공동 개발했다. 이번에 적용된 자율주행 기술은 '레벨4'다. 자율주행차는 그 수준에 따라 레벨1~5로 나뉜다. 레벨4는 고도자율주행으로 운전자가 탑승하되 목적지만 설정하면 차량이 알아서 간다. 아이오닉5로보택시는 레벨4이지만 비상상황에도 운전자 개입이 필요 없는 만큼 사실상 무인자율주행차다. 현대차그룹은 모셔널을 통해 2023년부터 미국에서 승객을 원하는 지점까지 이동시키는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를 위해 미국 차량 공유 업체인 리프트에 아이오닉5로보택시를 대량 공급할 예정이다. 지난달 31일 현대차그룹이 공개한 아이오닉5로보택시 제형에 따르면 이 차량은 루프 중앙에 파란색 원통형 '라이다' 장치를 달고 있다. 라이다는 레이더에 빛을 더한 합성어로 레이더가 전파를 쏴서 되돌아오는 속도로 사물을 감지하는 반면, 라이다는 전파보다 파장이 짧은 빛을 쏴 레이더가 못 보는 사각지대까지 파악한다. 아이오닉5로보택시는 루프 외에 전·후면 범퍼와 좌우에도 30여 개 센서를 장착했다. 이를 기반으로 360도 전방위 상황과 최대 300m 초장거리에 위치한 장애물까지 인식한다. 실내도 아이오닉5와 거의 같지만, 승객과 의사소통 할 수 있는 장치가 추가됐다. 운전석 앞쪽 대시보드 상단에는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소형 디스플레이가 부착돼 로보택시를 호출한 고객이 자신의 아이디(ID)를 확인한 뒤 탑승할 수 있다. 운전석 뒤쪽에는 태블릿PC가 달려 승객이 이동 경로를 확인하거나 중간 정착지를 추가할 수 있다. 실내 천장에는 스피커·마이크, 통화 버튼이 있어 관제 센터에 연락할 수 있다. 현대차는 로보택시가 운행 중 도로 침수 같은 대처가 어려운 돌발 상황이 발생할 경우, 관제 센터에서 차량 경로를 수정하는 등 원격 지원 서비스를 할 예정이다. 장웅준 현대차그룹 자율주행사업부 상무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기반의 아이오닉5가 자율주행에 필수적 안전과 편의 기술로 한 단계 더 진화했다”며 “모셔널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탄생한 차량으로 2023년 로보택시 상용화를 위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09.02 07:00
경제

정의선, '글로벌 리더' 위한 밑그림 미국 동부서 신사업 점검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이번에는 신사업 점검 차 미국 동부로 출장을 간 것으로 알려졌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정의선 회장은 13일 현대차그룹 전용기를 이용해 김포공항에서 미국 동부로 출국했다. 지난 4월 미국 서부 로스앤젤레스(LA)를 출장길에 오른 지 2개월 만이다. 당시에는 현대차의 미국 판매법인과 앨라배마 현대차 공장 등을 방문했다. 이번 출장에서는 신사업에 맞춰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미국 동부 보스턴에는 현대차그룹과 미국 자율주행 기술업체 앱티브의 합작사인 모셔널과 현대차가 인수한 로봇 전문 업체 보스턴 다이내믹스 본사가 있기 때문이다. 모셔널은 오는 2023년 미국에서 아이오닉 5를 기반으로 한 로보택시를 선보일 예정이다. 향후 5년간 총 74억 달러(약 8조1417억원)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밝힌 만큼 정 회장이 미래 신사업 등을 직접 챙길 가능성이 크다. 현대차는 전기차 현지 생산과 생산 설비 확충을 비롯해 수소,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로보틱스, 자율주행 등 미래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투자 속도를 높이고 있다. 현대차는 곧 워싱턴DC에 UAM 사업을 전담할 현지 법인 출범도 계획하고 있다. 현대차는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강력히 추진하는 '그린뉴딜' 전략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공영운 현대차 사장 경제 사절단의 일원으로 참석하기도 했다. 현대차가 대규모 투자 보따리를 미국 시장에 푸는 만큼 이번 출장길에 정 회장이 미국의 정부 관계자를 만날지도 관심사가 될 전망이다. 정 회장은 지난 2일 문재인 대통령이 주최한 4대 그룹 대표들의 청와대 오찬에도 참석하기도 했다. 정 회장은 최근 미국 시장의 판매 증가로 인해 고무적인 입장이다. 이로 인해 ‘전기차를 선점해 글로벌 리더가 되겠다’는 꿈을 이루기 위해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는 미국 시장에서 지난 3월부터 5월까지 3개월 연속 월간 최다판매 기록을 달성했다. 지난달 미국 시장에서 작년 동기 대비 66.1% 증가한 17만4043대를 판매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6.14 11:01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