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8건
경제일반

식약처, 설 명절 제수용‧선물용 식품 위반업체 115곳 적발‧조치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설 명절을 앞두고 선물용‧제수용 식품의 선제적 안전관리를 위해 식품업체를 점검했다. 식약처는 국민이 많이 구매하는 식품을 제조‧수입‧조리‧판매하는 업체 총 7717곳을 대상으로 지난 6일부터 10일까지 17개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점검했다. 이 중 식품위생법과 축산물 위생관리법 등을 위반한 115곳(1.5%)을 적발해 관할 관청에 행정처분 등을 요청했다.식약처는 점검과 함께 유통 중인 명절 선물·제수용 식품 등에 대한 수거·검사와 수입식품 통관단계 정밀검사를 실시했다. 또 온라인 부당광고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사전 예방하기 위해 온라인 광고 게시물에 대한 집중 점검도 진행했다.식품 분야(주류, 가공식품, 조리식품 등)는 총 91곳을 적발하였고, 주요 위반 내용은 ▲건강진단 미실시(32곳) ▲영업자 준수사항 위반(20곳) ▲위생적 취급기준 위반(20곳) ▲자가품질검사 위반(7곳) ▲표시기준 위반(5곳) 등이다.특히 명절 제수용으로 많이 쓰는 대구포, 오징어포 제품(조미건어포)을 취급하면서 소비기한을 약 2년 6개월가량 연장해 판매한 업체를 적발하고 유통 제품은 회수 조치, 현장에서 판매 목적으로 보관 중인 제품은 압류 조치했다.축산물 분야는 총 24곳을 적발했다. 주요 위반 내용은 ▲건강진단 미실시(9곳) ▲영업자 준수사항 위반(3곳) ▲무단허가변경(2곳) ▲신고한 업종외 영업행위(2곳) ▲표시기준 위반(2곳) ▲위생교육 미실시(2곳) ▲자가품질검사 위반(2곳) 등이다. 국내 유통 중인 ▲비타민, 홍삼 등 건강기능식품 ▲버섯, 조기, 포장육 등 농·축·수산물 총 2627건을 수거해 잔류농약, 중금속, 식중독균 등을 검사했다. 현재까지 검사가 완료된 1910건은 기준‧규격에 적합했고, 2건은 부적합 판정으로 관할 관청에서 행정처분 및 폐기할 예정이다.통관단계에서 ▲과·채가공품(삶은 고사리 등) 등 가공식품 ▲고사리·당근·명태 등 농·축·수산물 ▲복합영양소 제품 등 건강기능식품 등 총 670건을 대상으로 중금속, 동물용의약품, 잔류농약 등에 대한 정밀검사를 실시했다. 검사가 완료된 512건은 기준·규격에 적합했고 2건이 부적합 판정돼 수출국으로 반송 또는 폐기 등 조치할 계획이다.온라인 모니터링은 설 명절에 선물용으로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면역력 증진, 장 건강 등 효능·효과를 내세운 식품 등 광고 게시물 320건을 점검한 결과, 허위·과대광고 45건(14.1%)을 적발했다.주요 위반 내용은 ▲일반식품을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혼동시키는 광고 22건(48.9%) ▲식품이 질병의 예방·치료에 대한 효능·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식할 우려가 있는 광고 16건(35.6%) ▲거짓·과장 광고 5건(11.1%) ▲소비자 기만 광고 2건(4.4%)다.이번 점검에서 적발된 업체는 관할 지방식약청 또는 지자체가 행정처분한 후 6개월 이내에 다시 점검해 위반사항 개선여부를 확인한다. 통관검사에서 부적합된 수입식품은 향후 동일 제품이 수입될 경우 정밀검사(5회 연속)를 실시할 예정이다.식약처는 “앞으로도 명절 등 특정 시기에 소비가 증가하는 식품 등에 대한 사전 점검을 실시해 식품사고 예방에 최선을 다하고 소비자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온라인 부당광고를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고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이현아 기자 lalalast@edaily.co.kr 2025.01.23 10:50
연예

시중 유통 봄나물서 잔류농약 검출…경기도, 24kg 폐기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유통 중인 봄나물류 16종 167건을 수거해 잔류농약과 방사성 물질을 검사한 결과 4건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잔류농약이 검출돼 압류 폐기하고 행정처분을 요청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원은 지난 2일부터 13일까지 수원, 안양, 안산, 구리 등 도내 4개 공영농산물도매시장과 백화점, 대형 유통매장 등에서 봄나물류 16종을 수거해 잔류농약 341종과 요오드, 세슘 등 방사성물질 검출 여부를 조사했다. 검사한 봄나물은 곰취, 냉이, 달래, 돌나물, 머위, 미나리, 방풍나물, 봄동, 비름나물, 세발나물, 시금치, 쑥, 씀바귀, 유채 나물, 참나물, 취나물 등이다. 검사 결과 참나물 1건에서 농약 성분인 '다이아지논'이 0.13mg/kg 검출됐다. 기준치 0.01mg/kg의 13배에 달하는 수치다. 다른 참나물 1건에서도 '프로사이미돈'이 기준치(0.05mg/kg)를 초과하는 0.09mg/kg 검출됐다. 유채 나물 1건에서는 '플루디옥소닐'이 0.41mg/kg 검출돼 기준치(0.05mg/kg)를 8배 초과했다. 씀바귀 1건에서도 기준치(0.01mg/kg)를 초과하는 플루퀸코나졸이 0.08mg/kg이 나왔다. 연구원은 잔류농약 부적합 판정을 받은 봄나물 4건 24kg을 압류 폐기하고, 검사 결과를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 기관에 통보해 행정처분이 이뤄지도록 조치했다. 연구원은 "잔류농약이 일부 포함된 농산물이라도 물에 2∼3회 담가 씻은 뒤 흐르는 물에 헹구어 내면 농약 성분을 대부분 제거할 수 있는 만큼 요리하기 전 충분히 세척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03.20 10:39
경제

'살충제 달걀' 파동에 전국 판매 올스톱… 사상 초유 사태

국내 달걀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유럽에 이어 국내산 달걀에서도 살충제 성분이 검출되면서 대형마트는 물론 슈퍼마켓·편의점·온라인 쇼핑 업체 등이 일제히 달걀 판매를 중단했기 때문이다. 과거 조류인플루엔자(AI)로 인해 물량이 부족해 일부 달걀 판매가 중단된 적은 있지만 유통 기업들이 모두 달걀을 팔지 않기로 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달걀 성수기인 추석을 앞두고 '달걀 대란'을 넘어 '달걀 지옥'이 빚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살충제 달걀' 국내 상륙… 달걀 유통 사실상 전면 중단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4일 국내 친환경 산란계 농장을 대상으로 일제 잔류농약 검사를 실시하던 중 경기도 남양주·광주의 2개 산란계 농가에서 살충제 '피프로닐' '비펜트린' 성분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다고 15일 밝혔다. 국내산 달걀에서 해당 살충제가 검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이와 관련 정부는 해당 농가에서 생산된 달걀에 대한 유통·판매를 잠정 중단하고, 정밀검사 결과 부적합할 경우 전량 회수해 폐기하기로 했다.또 15일 자정부터 전국 모든 농장의 달걀 출하를 중지시키고, 3000수 이상 산란계를 사육하는 모든 상업 농장을 대상으로 3일 이내 전수 검사를 실시해 합격 농장의 달걀만 출하를 허용하기로 했다.이에 따라 이마트와 홈플러스·롯데마트 등 대형마트 3사와 CU·GS25등 전국 편의점 등도 15일부터 전국 모든 점포에서 달걀 판매를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대형마트 3사는 "고객 안심 차원에서 당분간 모든 점포에서 달걀을 판매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이와 함께 전국 2120개 매장을 운영 중인 농협하나로마트도 이날부터 달걀 판매를 전면 중단했다.편의점 씨유(CU)도 이날부터 전국 1만여 개 점포에서 생란과 가공란 및 국내산 달걀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간편식 전 제품에 대해 신규 발주와 판매를 중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GS25와 세븐일레븐도 CU와 마찬가지로 같은 날 달걀 제품에 대한 판매와 발주를 일시 중단하기로 했으며 이외에 롯데슈퍼와 홈플러스익스프레스·GS슈퍼마켓 등 주요 슈퍼마켓 체인도 판매를 중단하기로 했다.쿠팡과 위메프를 비롯한 주요 온라인 쇼핑 사이트들도 마찬가지로 생란과 구운 달걀·과자류 등 달걀 관련 제품의 판매를 전면 중단했다.한 유통 업계 관계자는 "주요 유통 채널들이 일제히 모든 달걀 제품의 판매를 중단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사상 초유의 사태에 상당한 시장 혼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달걀 없는 추석상' 우려유통 기업들의 즉각적인 달걀 판매 중단 소식에 업계에서는 성수기인 추석(10월 4일)을 앞두고 가뜩이나 고공행진 중인 달걀값이 더 뛸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국내 달걀 시장은 지난겨울 전국을 휩쓴 AI 여파로 생산 기반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아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다. 가격 역시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다.실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 달걀 평균 소매가(30개들이 특란 기준)는 7595원으로, 1년 전(5350원)보다 2245원이나 비싸다.한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외국산 달걀을 수입하는 등의 조치로 달걀 가격을 소폭 낮췄지만 이번 살충제 사태로 그동안의 노력이 수포로 돌아갈 가능성이 커졌다"며 "달걀 수입을 확대한다고 해도 절대적인 물량 부족 때문에 가격 안정을 유도하기에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또 다른 관계자는 "당분간은 달걀 수급 불안 현상이 가중되면서 가격도 더 오를 수밖에 없다"며 "달걀 성수기인 추석이 가까워질수록 '달걀 대란'을 넘어 '달걀 지옥'에 가까운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상당수 소비자들이 달걀 없이 추석상을 차리게 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이와 관련 김영록 농식품부 장관은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관계기관 회의에서 "15일 20만 수 이상 대규모 산란계 농장에 대해 전수조사를 마무리하고 16일부터는 평상시 달걀 유통량의 25% 정도가 유통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모든 산란계 농장 대상의 전수조사를 3일 내에 완료하겠다"고도 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ins.com '살충제 달걀' 파동에 전국 판매 올스톱… 사상 초유 사태 국산 계란에서 검출된 '피프로닐'은 어떤 살충제?살충제 계란 파동에 닭고기는 괜찮을까…소비자 '우려' 2017.08.15 18:13
연예

국내산 달걀서도 살충제 검출…출하 전면 중지

국내산 달걀에서도 살충제 '피프로닐' 성분이 검출됐다. 유럽서 검출돼 논란이 인 것과 같은 살충제로, 국내에서 피프로닐이 검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농림축산식품부는 15일 경기 남양주시의 농가 1곳에서 피프로닐이 검출됐다고 밝혔다.피프로닐은 가축에 기생하는 벼룩이나 진드기를 비롯한 해충을 없애는 데에 쓰이는 약품으로, 식용 목적의 가축에 대한 사용이 금지됐다.또한 경기 광주시의 농가 1곳에선 비펜트린이 0.0157mg/kg 검출돼 기준치(0.01mg/kg)를 초과했다. 비펜트린은 닭에 기생하는 진드기의 살충제로, 허용 기준치 이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이 농가의 산란계 사육 규모는 6만수로, 하루 평균 1만 7000개의 달걀을 생산한다.정부는 해당 농가에서 생산된 달걀에 대한 유통 및 판매를 잠정 중단시켰다.또 해당 달걀에 대한 정밀검사 결과를 실시해 부적합 판정시 전량 회수해 폐기할 방침이다.농식품부 관계자는 "그동안 무항생제 인증농가 대상으로 잔류농약 검사를 지속 실시해 왔으며 피프로닐이 검출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라며 "이날 자정(오전 0시)부터 모든 농장의 달걀 출하를 중지시키고, 3000수 이상 산란계를 사육하는 모든 상업 농장을 대상으로 3일 이내 전수 검사를 실시해 합격 농장의 달걀만 출하를 허용할 방침"이라고 말했다.안민구 기자 an.mingu@joins.com 2017.08.15 09:42
연예

'웅진식품 오렌지주스' 당함량 높아…한잔에 1일 권고량의 47%

웅진식품 등이 판매하는 오렌지주스 한잔에 일일 섭취권고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당이 함유된 것으로 조사됐다.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의 구매율이 높은 오렌지주스 15개 제품을 대상으로 품질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조사 대상 제품은 오렌지 과즙이 95% 이상인 '오렌지 과일주스' 11개 제품과 오렌지 과즙이 10% 이상 95% 미만인 '오렌지 과일음료' 4개 제품 등 총 15개 제품이다. 조사 결과, 오렌지 과일주스의 경우 일부 제품의 1잔 내 당류 함량은 WHO(세계보건기구) 1일 섭취권고량(50g)의 47.0%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렌지 과일주스의 당 함유량은 1회 제공량 200ml(종이컵 1잔 분량) 당 평균 18.95g이었다. 웅진식품이 판매하는 '고칼슘오렌지100(23.51g)'과 '자연은365일오렌지100(23.32g)'의 당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두 제품에는 단맛을 강화하기 위해 백설탕이 함유된 것으로 확인됐다. 당류가 가장 적게 든 롯데칠성의 '델몬트오렌지100(15.7g)'과는 약 1.5배의 차이를 보였다. 오렌지 과일음료의 당류는 1회 제공량 200ml(1잔) 당 평균 15.22g으로, 해태음료 '썬키스트후레쉬오렌지(18.55g)'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다. 비타민C 함량 조사 결과에서는 해태음료가 판매하는 제품의 비타민 함량이 높았다. 제품별 1회 제공량 200ml(종이컵 1잔 분량)에 비타민C 함량은 44.60~148.98ml 수준으로 평균 80.51ml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렌지 과일주스의 비타민C는 평균 87.24mg으로, 서울우유 '365유기농아침오렌지주스(48.67mg)'에 가장 적었으며 해태음료 '썬키스트훼미리멀티비타100오렌지(147.98mg)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다. 제품별로는 약 3배 차이가 났다. 오렌지 과일음료의 비타민C는 평균 61.99mg으로, 해태음료 '썬키스트후레쉬오렌지'가 77.54m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됐다. 제품별 열량은 1회제공량 200ml(종이컵 1잔 분량) 당 55.2~111.0kcal로 제품별 약 2.0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고 안전성 조사에서는 전제품에서 중금속, 잔류농약, 미생물, 보존료가 검출되지 않아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롯데칠성 '델몬트콜드오렌지', '델몬트 스카시오렌지', 해태음료 '썬키스트후레쉬주스박스오렌지100', '썬키스트훼미리멀티비타100오렌지', '썬키스트후레쉬오렌지' 등 5개 제품이 나트륨 함량 표시 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시정이 필요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15개 중 11개 제품이 단맛을 높이기 위해 백설탕·액상과당 등을 제조시 첨가하고 있다"며 "가공식품 중 특히 음료류를 통한 당류 섭취가 늘고 있는 만큼 지속적인 당류 저감화 정책을 추진하고, 제조 시 가당을 자제하도록 노력할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소은 기자 luckysso@joongang.co.kr 2015.01.20 08:00
경제

'웅진식품 오렌지주스' 당함량 높아…한잔에 1일 권고량의 47%

웅진식품 등이 판매하는 오렌지주스 한잔에 일일 섭취권고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당이 함유된 것으로 조사됐다.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의 구매율이 높은 오렌지주스 15개 제품을 대상으로 품질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조사 대상 제품은 오렌지 과즙이 95% 이상인 '오렌지 과일주스' 11개 제품과 오렌지 과즙이 10% 이상 95% 미만인 '오렌지 과일음료' 4개 제품 등 총 15개 제품이다. 조사 결과, 오렌지 과일주스의 경우 일부 제품의 1잔 내 당류 함량은 WHO(세계보건기구) 1일 섭취권고량(50g)의 47.0%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렌지 과일주스의 당 함유량은 1회제공량 200ml(종이컵 1잔 분량) 당 평균 18.95g이었다. 웅진식품이 판매하는 '고칼슘오렌지100(23.51g)'과 '자연은365일오렌지100(23.32g)'의 당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두 제품에는 단 맛을 강화하기 위해 백설탕이 함유된 것으로 확인됐다. 당류가 가장 적게 든 롯데칠성의 '델몬트오렌지100(15.7g)'과는 약 1.5배의 차이를 보였다. 오렌지 과일음료의 당류는 1회제공량 200ml(1잔) 당 평균 15.22g으로, 해태음료 '썬키스트후레쉬오렌지(18.55g)'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다. 비타민C 함량 조사 결과에서는 해태음료가 판매하는 제품의 비타민 함량이 높았다. 제품별 1회 제공량 200ml(종이컵 1잔 분량)에 비타민C 함량은 44.60~148.98ml 수준으로 평균 80.51ml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렌지 과일주스의 비타민C는 평균 87.24mg으로, 서울우유 '365유기농아침오렌지주스(48.67mg)'에 가장 적었으며 해태음료 '썬키스트훼미리멀티비타100오렌지(147.98mg)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다. 제품별로는 약 3배 차이가 났다. 오렌지 과일음료의 비타민C는 평균 61.99mg으로, 해태음료 '썬키스트후레쉬오렌지'가 77.54m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됐다. 제품별 열량은 1회제공량 200ml(종이컵 1잔 분량) 당 55.2~111.0kcal로 제품별 약 2.0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고 안전성 조사에서는 전제품에서 중금속, 잔류농약, 미생물, 보존료가 검출되지 않아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롯데칠성 '델몬트콜드오렌지', '델몬트 스카시오렌지', 해태음료 '썬키스트후레쉬주스박스오렌지100', '썬키스트훼미리멀티비타100오렌지', '썬키스트후레쉬오렌지' 등 5개 제품이 나트륨 함량 표시 기준에 부적합 한 것으로 나타나 시정이 필요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15개 중 11개 제품이 단맛을 높이기 위해 백설탕·액상과당 등을 제조시 첨가하고 있다"며 "가공식품 중 특히 음료류를 통한 당류 섭취가 늘고있는 만큼 지속적인 당류 저감화 정책을 추진하고, 제조 시 가당을 자제하도록 노력할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이소은 기자 luckysso@joongang.co.kr 2015.01.19 12:00
경제

식약처, 진원무역·신세계푸드 '농약 바나나' 회수

기준치 이상의 농약이 검출된 일명 '농약 바나나'가 회수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시중에 유통 중인 수입 바나나(9개사·21건)에 대해 지난 22일부터 26일까지 수거·검사한 결과, 3개 업체 7건이 부적합되어 회수·압류조치했다고 27일 밝혔다.회수 대상은 시중에 판매된 진원무역(3건), 신세계 푸드(1건)가 수입한 바나나 4건이다. 진원무역의 경우 이프로디온이 0.23~1.98mg/kg이 검출되었고, 신세계푸드의 경우 0.18mg/kg이 검출됐다. 또 진원무역(2건), 수일통상(1건)이 수입한 바나나 3건은 시중에 유통되지 않고 창고에 보관돼있어 전량 압류·폐기 처분할 예정이다.식약처 관계자는 "수입식품에 대해 수출국 조사, 통관단계 수입검사, 유통단계 수거검사 등 3단계의 안전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수입 바나나에 대해서는 안전성이 확인될 때 까지 매 수입건별 잔류농약에 대해 정밀검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해당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판매업체나 구입처에 반품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소은 기자 luckysso@joongang.co.kr 2014.10.27 17:52
연예

인도산 건고추서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잔류농약 기준을 초과한 인도산 말린 고추를 유통·판매를 금지하고 회수조치중이라고 8일 밝혔다. 해당 건고추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지난해 10월과 11월 세 차례에 걸쳐 인도 '아시안 푸드 인더스트리(Asian food industries)'사로 부터 수입한 것으로 농약 에치온(Ethion)의 건고추 잔류기준인 0.07ppm을 초과(3건에서 각각 0.79ppm·0.94ppm·1.54ppm) 검출됐다. 에치온은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지 않는 농약으로 일부 국가에서는 살충제로 쓰이고 있다. 식약청 관계자는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지만 국내에 등록되지 않은 농약이라 안전성 부분에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식약청은 현재 창고에 보관중인 약 220톤의 부적합 건고추에 대해 압류조치를 하고, 나머지 부적합 건고추에 대해서는 관할 자치단체(서울시 서초구)에 회수명령 속히 조치하도록 통보하였다. 식약청 측은 즉각 이 제품을 유통과 사용을 금하고, 유통공사에 반품해 줄 것을 당부했다. 손예술 기자 [meister1@joongang.co.kr] 2012.03.08 18:26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