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금융·보험·재테크

빚투 줄고 예적금 늘었다…은행들 ‘특판 상품’ 불티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우려에 주식 등 투자처를 알아보기보다는 '예적금'으로 시선을 돌리는 분위기다. 특히 높은 금리를 주는 한정판 '특판 상품'에 금융소비자들이 주목하고 있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매수대금과 매도대금의 평균)은 4조3009억원으로 집계됐다. 월간 기준 2020년 2월 일평균 거래대금 3조720억원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코스피가 사상 최초 3000을 돌파한 지난해 1월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17조2994억원에 달한 바 있다. 이와 비교하면 지금은 4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한 것이다. 국내 증시가 연일 바닥을 치면서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심리가 급격하게 위축되고 있는 분위기다. 반면 금리 상승으로 국내 5대 시중은행의 예적금 잔액은 늘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에 따르면 이들 은행의 지난달 말 요구불예금 잔액은 6조3512억원 늘어난 709조9635억원, 정기예금은 5조3191억원 늘어난 685조959억원을 나타냈다. 또 수시입출금식 저축성예금(MMDA) 잔액은 118조6572억원, 정기적금 잔액은 37조4643억원으로, 각각 3조1240억원, 7046억원 불었다. 전문가들이 당분간 코스피지수가 지지부진할 것으로 예측하면서 예적금에 대한 관심은 지속해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금리 인상기와 맞물려 은행들이 내놓는 '특판 상품'은 소비자의 구미를 당기고 있다. 케이뱅크가 지난달 17일 10만좌 한정으로 출시한 최고 연 5% 금리의 ‘코드K자유적금’은 10일 만에 판매가 종료됐다. 앞서 케이뱅크는 지난달 1일에도 같은 적금 상품을 같은 금리로 특판 행사를 진행했는데, 이틀 만에 10만4229좌가 팔렸다. 신한은행은 지난달 8일 30만좌 한도로 ‘신한 쏠만해 적금’을 출시했다. 신한 모바일뱅킹 신규 가입 또는 올해 첫 접속, 마케팅 동의 등의 조건을 갖춰 우대금리가 적용될 경우 최고 연 5.0% 금리가 가능하다. 또 최근 신한은행은 창업 40주년을 맞아 특판상품인 '신한 40주년 페스타 적금'을 내놨다. 주 단위로 납입하는 만기 10개월 자유 적금으로 매주 납입 여부에 따라 최고 연 4.0% 금리가 적용된다. 월 최고 30만원까지 납입 가능하며 10만좌 한도로 출시된다. 우리은행은 지난달 22일부터 연 최고 3.20% 금리를 제공하는 ‘2022 우리 특판 정기예금'을 2조원 한도로 판매하고 있다. 가입 만기를 18개월로 선택하면 최고 연 3.20%를 적용받을 수 있으며, 최소 가입 금액은 100만원이다. 금융권은 최근 주식과 코인 시장에 한파가 몰아닥치면서 대출을 내 투자하던 '빚투 현상'이 사라지고, 안전 자산인 예적금으로 눈을 돌리는 ‘역 머니무브’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말한다. 실제로 5대 시중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말 가계대출 잔액은 699조6521억원으로, 5월 말보다 1조4094억원이 줄었다. 게다가 최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은행의 지나친 이익 추구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며 은행의 '이자 장사'에 대해 경고하면서, 은행권이 예적금 금리는 높이는 추세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주식 시장이 불안정해지면서 빚투가 줄고 자연스럽게 가계대출이 감소하고 있다"며 "당분간 기준금리 인상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면서, 단기간 높은 금리를 주는 특판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2.07.04 07:00
경제

연 5% 금리에 난리… 씁쓸한 ‘초저금리 시대’

연 1%대 이자가 만연한 ‘초저금리 시대’ 속에서 하나은행이 연 5%라는 파격적인 금리의 적금 상품을 내놓으면서 전 국민의 관심을 받았다. 여기에는 경기 둔화로 저성장·저금리 기조가 이어짐에 따라 서민 금융 심리가 팍팍해졌다는 씁쓸한 이면이 자리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하나은행의 대박 난 ‘5% 적금’ 5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하나은행이 은행 명칭에서 ‘KEB’를 떼고 새 출발 하는 것을 기념해 연 5%대 적금 상품인 '하나 더 적금'을 단 3일간 내놨다. 이에 하나은행 모바일 앱은 하루종일 접속이 지연되고 은행 창구는 고객들로 북적였다. 하나은행을 주거래로 사용하고 있다는 인모 씨는 “어제(4일) 5% 적금 대란이 있었는지도 모르고 볼 일이 있어서 하나은행에 갔는데 대기가 100명이 넘어서 무슨 일이 있나 싶었다”며 “결국 오늘 5% 적금 계좌를 앱으로 5분도 안 돼서 만들었다”고 말했다. 하나은행에 따르면 이날 오후 7시 기준 ‘하나 더 적금’의 가입 금액은 3773억1672만1814억원, 가입 계좌 수는 136만2287로 집계되며, 100만좌를 돌파했다. 적금 특판상품이 사흘 만에 3000억원을 넘게 끌어모은 것은 최근 찾아보기 힘든 실적이다. 해당 ‘하나 더 적금’은 1년 만기 상품으로 기본금리 연 3.56%에 하나은행 입출금통장으로 자동이체 등록 시 1.25%p, 온라인 채널을 통한 가입 시 0.2%p 추가 금리를 제공한다. 판매 기간은 이날 오후 5시까지 단 3일간이다. 가입금액은 10만원 이상 30만원 이하다. 별도의 가입 한도가 없으며 누구나 가입할 수 있다. 최대한도인 매달 30만원을 1년간 넣었을 경우 최고 이자는 세후 8만2650원(세전 9만7695원)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요즘 이런 상품이 드물어서 고객이 몰린 것 같다”며 “계좌에 묵혀둘 수준의 돈 30만원을 적금에 넣으면 1년에 이자 8만원 정도가 붙는 거니 부담이 없었던 것도 작용한 것 같다”고 말했다. 저금리 속 눈에 띄는 ‘고금리’ 상품 돌풍…씁쓸한 현실 티끌을 모아야 산다는 요즘의 ‘짠테크 시대’ 속에서 ‘하나 더 적금’ 돌풍은 당연하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카카오뱅크가 지난해 계좌개설 고객 1000만명 돌파를 기념해 내놓은 총 100억원 한도 연 5% 정기예금이 단 1초 만에 완판된 것 역시 같은 맥락이다. SBI저축은행도 지난해 모바일 플랫폼 ‘사이다뱅크’ 출시를 기념해 선착순 5000명을 대상으로 보기 드문 연 10% 고금리 적금 특별상품을 내놨는데, 판매 시작 2시간 21분 만에 완판됐다. 지난해 10월 핀테크 플랫폼 기업 ‘핀크’가 KDB산업은행과 협업으로 내놓은 연 5% 고금리 적금 ‘KDB xT high5 적금’은 약 3개월만에 누적 가입자가 7만명을 기록했다. 특히 핀크 ‘T high5 적금’은 우대 금리 조건을 채우면 최대 2년 동안 35만원씩 적금해 2년 후 원금 840만원에 이자 43만7500원을 받을 수 있어 앞서 선보였던 DGB대구은행과 협업한 T high5 적금의 인기를 이어갔다. 핀크 관계자는 “핀크 T high5 적금은 같은 5%대 고금리 적금이어도 만기 시 실 혜택이 가장 크다”라고 설명했다. 이런 상품들에 고객이 몰리는 데는 ‘초저금리 시대’라는 배경이 있다. 현재 주요 시중은행(신한·KB국민·하나·우리)의 1년 만기 기준 적금 금리는 연 1.20~2.40% 수준이고, 예금금리도 1년 기준 1.0~1.5% 선이다. ‘고금리’로 고객을 끌어모으던 저축은행 예금금리도 평균 연 2%대가 무너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시중은행에서 고금리 특판 적금이 나오니 더 반응이 뜨거웠다”며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같은 고금리 투자에 대한 경계심리도 높아지면서 마땅한 투자처를 찾기 어려운 고객들의 현실도 반영된 것 같다”고 말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0.02.06 07:01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